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본문내용
1-1 영화서설, 영화탄생, 움직임의 재현
1. 영화탄생
1) 영화는 문화의 보고
- 영화는 이제 1세기를 지낸 문화의 보고 있다.
- 영화는 100년사는 다른 어떤 예술사와 역사의 1000년사와도 비교될 수 없을 만큼 놀랄만한 성장을 보여주었다.
- 영화는 움직임의 재현을 영상으로 성취한 종합예술이다.
- 영화예술이 갖는 종합예술성의 위력은 인간 상상력의 한계를 뛰어넘어 무한한 상상의 세계를 창조한다.
2) 동굴벽화의 의미
- 8개의 다리를 가진 멧돼지를 그린 원시시대의 동굴벽화는 움직임의 재현을 성취하고자 한 원시인의 욕망이었다.
- 이집트의 미이라도 영원한 시간을 쟁취하고자 노력하였던 영화의 본질을 구현하는 선인들의 꿈이었다.
- 영화의 본질은 시간과 공간의 지배를 통한 현실의 재현이 목적이다.
3) 영화 탄생의 흔적들
- 움직임의 재현을 성취한 오늘의 영화가 발명되기까지 그 고증은 명확하게 알려져 있다.
- 영화예술의 기술적인 여건의 삼위일체 = 카메라 + 필름 + 영사기
- 영화탄생에 대한 고증은 고대학자들이 제시한 시각적 잔상의 논리에서 시작하였다.
- 최초로 활동사진을 대중 앞에 영사하기 전까지의 노력은 인공광원을 이용해서 상을 투사하는 것이었다. 그 다음 투사된 영상을 연속시킴으로서 움직이는 영상을 실현하고자 했다.
- 중세기 마술적 환상의 매직랜턴(magic lantern)이 보여준 영상의 스크린화와 사진술이 발명한 필름에 이르기까지 과학적 산물의 삼위일체로 탄생한 영사의 재현을 영화라 정의 하였다.
2. 움직임의 재현을 시도한 발명품
1) 환등의 원리와 움직임의 착란
- 16세가 다빈치 Leonardo da Vinci의 암상자 원리는 암실에 투사된 영상을 얻는 최초의 방법이었다.
- 17세기 수학자 키르체 Athanaslus Kircher는 암상자 원리와는 반대로 인공광으로 상을 투사하는 이동카메라 옵스큐라를 만들었다. 바로 오늘날 환등기의 원리와 같은것이다.
- 1842년 로제 Peter Mark Roget는 우리가 어떤 물체를 보고나서 그것이 사라진 후 1/10초동안 그것을 보고 있는 것처럼 착각하는 현상을 발견했다.
- 1826년 영국의 의사, 파리스 John Ayroton Paris는 회전요지경(그리서어명으로 쏘마트로프 Thanmatrope)를 만들었다. 이 기구는 양면에 그림이 있는 단순한 판자 원판으로 한 면에는 새, 반대면에는 새장이 그려져 있다. 판자 원판이 돌아가면 새장에 갇힌 새의 모습을 연출하게 된다.
2) 애니메이션
- 영국의 수학자 아너 Willliam George Honer는 1834년 연속동작의 그림을 그려 놓고 움직이는 그림을 볼 수 있도록 만든 조트로프 Zoetrope를 발명했다. 오늘날 만화영화의 기초를 확립한 발명품이다.
- 1870년 말 레이노드 Emile Reynaue는 셔터원리와 환등을 결합한 프락시 노스코프 Praxinoscope를 개발하여 시각 극장 Theatre optique을 운영했다.
- 프락시노스코프는 조트로프를 개조한 것으로 오늘의 만화영화와 다를 바 없다.
3) 사진술의 개발
- 빛에 민감한 질산은을 이요한 감광유제의 개발은 영상을 기록할 수 있는 최초의 발견이었다.
- 1816년 니
1. 영화탄생
1) 영화는 문화의 보고
- 영화는 이제 1세기를 지낸 문화의 보고 있다.
- 영화는 100년사는 다른 어떤 예술사와 역사의 1000년사와도 비교될 수 없을 만큼 놀랄만한 성장을 보여주었다.
- 영화는 움직임의 재현을 영상으로 성취한 종합예술이다.
- 영화예술이 갖는 종합예술성의 위력은 인간 상상력의 한계를 뛰어넘어 무한한 상상의 세계를 창조한다.
2) 동굴벽화의 의미
- 8개의 다리를 가진 멧돼지를 그린 원시시대의 동굴벽화는 움직임의 재현을 성취하고자 한 원시인의 욕망이었다.
- 이집트의 미이라도 영원한 시간을 쟁취하고자 노력하였던 영화의 본질을 구현하는 선인들의 꿈이었다.
- 영화의 본질은 시간과 공간의 지배를 통한 현실의 재현이 목적이다.
3) 영화 탄생의 흔적들
- 움직임의 재현을 성취한 오늘의 영화가 발명되기까지 그 고증은 명확하게 알려져 있다.
- 영화예술의 기술적인 여건의 삼위일체 = 카메라 + 필름 + 영사기
- 영화탄생에 대한 고증은 고대학자들이 제시한 시각적 잔상의 논리에서 시작하였다.
- 최초로 활동사진을 대중 앞에 영사하기 전까지의 노력은 인공광원을 이용해서 상을 투사하는 것이었다. 그 다음 투사된 영상을 연속시킴으로서 움직이는 영상을 실현하고자 했다.
- 중세기 마술적 환상의 매직랜턴(magic lantern)이 보여준 영상의 스크린화와 사진술이 발명한 필름에 이르기까지 과학적 산물의 삼위일체로 탄생한 영사의 재현을 영화라 정의 하였다.
2. 움직임의 재현을 시도한 발명품
1) 환등의 원리와 움직임의 착란
- 16세가 다빈치 Leonardo da Vinci의 암상자 원리는 암실에 투사된 영상을 얻는 최초의 방법이었다.
- 17세기 수학자 키르체 Athanaslus Kircher는 암상자 원리와는 반대로 인공광으로 상을 투사하는 이동카메라 옵스큐라를 만들었다. 바로 오늘날 환등기의 원리와 같은것이다.
- 1842년 로제 Peter Mark Roget는 우리가 어떤 물체를 보고나서 그것이 사라진 후 1/10초동안 그것을 보고 있는 것처럼 착각하는 현상을 발견했다.
- 1826년 영국의 의사, 파리스 John Ayroton Paris는 회전요지경(그리서어명으로 쏘마트로프 Thanmatrope)를 만들었다. 이 기구는 양면에 그림이 있는 단순한 판자 원판으로 한 면에는 새, 반대면에는 새장이 그려져 있다. 판자 원판이 돌아가면 새장에 갇힌 새의 모습을 연출하게 된다.
2) 애니메이션
- 영국의 수학자 아너 Willliam George Honer는 1834년 연속동작의 그림을 그려 놓고 움직이는 그림을 볼 수 있도록 만든 조트로프 Zoetrope를 발명했다. 오늘날 만화영화의 기초를 확립한 발명품이다.
- 1870년 말 레이노드 Emile Reynaue는 셔터원리와 환등을 결합한 프락시 노스코프 Praxinoscope를 개발하여 시각 극장 Theatre optique을 운영했다.
- 프락시노스코프는 조트로프를 개조한 것으로 오늘의 만화영화와 다를 바 없다.
3) 사진술의 개발
- 빛에 민감한 질산은을 이요한 감광유제의 개발은 영상을 기록할 수 있는 최초의 발견이었다.
- 1816년 니
추천자료
예술로서의 영화
영화는 예술인가.
예술 영화측면에서 동성애
예술과 영화에 대하여......
(현대예술의 이해) 예술이 궁금하다 서평
사이버학습의 이해와 장점과 단점 분석
[공연예술의 이해와 감상] 공연예술의 장르인 카바레의 역사를 근대의 정치사와의 연관성을 ...
[취미趣味와 예술 D형] 교재 12장 [취미로서의 음악 감상]의 내용을 참조하시면서 영화, 문학...
취미趣味와 예술 D형 (미녀는 괴로워) 교재 12장 [취미로서의 음악 감상]의 내용을 참조하시...
방송통신대학 (취미와예술 D) A+ 받은 "시네마천국 "영화 독후감입니다.
(중국공연예술 A형) 교재 제14장과 제15장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20세기 초부터 21세기 초에 ...
(중국공연예술 B형) 교재 348-377쪽에 제목이 나와 있는 중국영화 가운데 한 편을 각자 선택...
중국공연예술 B형 패왕별희(覇王別姬) ※교재 348-377쪽에 제목이 나와 있는 중국영화 가운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