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목차
Ⅰ. 서 론
Ⅱ. 1920년대의 시대적 배경
Ⅲ. 미국소설의 주제로서의 American Dream
Ⅳ. 미국소설에 표현된 American Dream
1. The Great Gatsby
1) American Dream의 추구
2) Gatsby와 American Dream
3) Gatsby의 어떤 점에서 American Dream을 찾을 수 있나?
4) 자신의 이상을 가지고 신의 업무에 충실
5) 순수한 꿈, 이상주의 추구
6) 자신의 신념 목표를 위해 끊임없는 노력
7) 물질주의의 상징 - Daisy, Tom, Myrtle
8) 자신의 꿈에 끝까지 충실한 태도, Nick을 통한 가치 인정
9) Nick의 꿈의 좌절
10) The great 이 적합하지 않은 이유
(1) 추구하는 이상의 대상(Daisy)에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측면에서 볼 때
(2) 이상을 추구하는데 있어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볼 때
(3) Gatsby를 도덕적인 측면에서 볼 때
2. An American Tragedy
1) Clyde와 American Dream
2) Clyde의 꿈의 파멸
Ⅴ. 결론
※ 참고문헌 ※
Ⅱ. 1920년대의 시대적 배경
Ⅲ. 미국소설의 주제로서의 American Dream
Ⅳ. 미국소설에 표현된 American Dream
1. The Great Gatsby
1) American Dream의 추구
2) Gatsby와 American Dream
3) Gatsby의 어떤 점에서 American Dream을 찾을 수 있나?
4) 자신의 이상을 가지고 신의 업무에 충실
5) 순수한 꿈, 이상주의 추구
6) 자신의 신념 목표를 위해 끊임없는 노력
7) 물질주의의 상징 - Daisy, Tom, Myrtle
8) 자신의 꿈에 끝까지 충실한 태도, Nick을 통한 가치 인정
9) Nick의 꿈의 좌절
10) The great 이 적합하지 않은 이유
(1) 추구하는 이상의 대상(Daisy)에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측면에서 볼 때
(2) 이상을 추구하는데 있어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볼 때
(3) Gatsby를 도덕적인 측면에서 볼 때
2. An American Tragedy
1) Clyde와 American Dream
2) Clyde의 꿈의 파멸
Ⅴ. 결론
※ 참고문헌 ※
본문내용
much of her,\' I ventured. \'You can\'t repeat the past.\' (p.174 1~2)
\'Oh, you want too much!\' she cried to Gatsby. \'I love you now - isn\'t that enough? I can\'t help what\'s past.\' She began to sob helplessly. (p.204 1~3)
⇒ 결혼한 Daisy에게 예전의 모습으로 완전히 돌아오길 바라는 것은 Tom과의 이혼을 뜻하고 이는 Tom과 Daisy 그리고 그들의 딸 Pammy로 이루어진 가정의 파탄을 뜻함.
\'What kind of a row are you trying to cause in my house anyhow?\' (p.199)
\'I suppose the latest thing is to sit back and let Mr Nobody from Nowhere make love to you wife.~\' (p.200 7~9)
⇒ Gatsby의 Daisy를 향한 마음은 낭만적이고 순수하기는 하나 이미 Tom이 부인이 된 Daisy를 5년 전의 상황으로 돌이키려는 것은. 외형적으로 Myrtle Wilson과 불륜관계를 맺고 있는 Tom과 마찬가지로 다른 이를 생각지 않고 사랑에 집착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임.
② 가족에 대한 무관심
\'Very well. Had you seen him lately?\'
\'He come out to see me two years ago and bought me the house I live in now. of course we was broke up when he run off from home, but I see now there was a reason for it. He knew he had a big future in front of him. And ever since he made a success he was very generous with me.\' (p.259 5-11)
Gatsby는 가출을 해서 성공하였지만 아버지에게 신경을 쓰지 않고 겨우 2년 전에서야 집 하나 달랑 사주고 아들로서의 의무를 다했다고 한다.
③ 지나친 과소비
There was music from my neighbour\'s house through the summer nights. (p.80 1-2)
At least once a fortnight a corps of caterers came down with several hundred feet of canvas and enough coloured lights to make a Christmas tree of Gatsby\'s enormous garden. (p.81 2-5)
=>여름 내내 파티를 열었던 점
When I was here last I tore my gown on a chair, and he asked me my name and address - inside of a week I got a package from Croirier\'s with a new evening gown in it.\'
\'Did you keep it?\' asked Jordan.
\'Sure I did. I was going to wear it to-night, but it was too big in the bust and had to be altered. It was gas blue with lavender beads. Two hundred and sixty, five dollars.\' (p.86 4-12)
=>한 여인의 옷이 의자에 찢어 졌을 때 265달러나 하는 값비싼 옷을 선물로 준 점.
It was a rich cream colour, bright with nickel, swollen here and there in its monstrous length with triumphant hat-boxes and supper-boxes and tool-boxes, and terraced with a labyrinth of wind-shields that mirrored a dozen suns. Sitting down behind many layers of glass in a sort of green leather conservatory, we started to town. (p.112 16-22)
=>값비싼 차에 대한 설명.
\'I\'ve got a man in England who buys me clothes, he sends over a selection of things at the beginning of each season, spring and fall.\' (p.150 13-15)
=>계절마다 옷을 영국으로부터 받는다는 점
2. An American Tragedy
1) Clyde와 American Dream
Dreiser의 대표작으로 인정되는 An American Tragedy를 통해 구현된 주인공 Clyde Griffiths는 전형적인 미국의 비극상을 그린 인물이었다. 이 작품을 통해 Dreiser는 미국인들이 꿈꾸는 물질적인 성공인 American Dream에 맹목적으로 빠져 드는 미국인들의 가치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한 미국인의 비극을 통해 올바른 정신적 가치관과 인생을 보다 진지하게 살아 갈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Dreiser가 묘사하는 인간상은 American dilemma의 한 표본이 되고 있다. 어떤 의미에서 Clyde가 겪은 정신적, 육체적 번민과 고민은 현대 미국인의 고민이고 그가 걷는 파멸의 길은 미국적인 비극상 이라 하겠다.
미국의 한 비극적 희생자를 깊이 관찰한 이 작품은 3부로 나누어 볼 수가 있다. 1부에서는 가두설교를 하는 선교단 가족의 장남인 Clyde는 모든 것을 종교에서 구하는 가난한 광신적 가정을 떠나 소위 American Dream을 위해 부와 환락의 도시로 나와 drug store의 소다 판매원으로 일하다가 호텔의 bell-boy로 취직한다. 호텔에서 Clyde는 동료들과 어울려 경이로운 부의 세계를 경험하며 환락을
\'Oh, you want too much!\' she cried to Gatsby. \'I love you now - isn\'t that enough? I can\'t help what\'s past.\' She began to sob helplessly. (p.204 1~3)
⇒ 결혼한 Daisy에게 예전의 모습으로 완전히 돌아오길 바라는 것은 Tom과의 이혼을 뜻하고 이는 Tom과 Daisy 그리고 그들의 딸 Pammy로 이루어진 가정의 파탄을 뜻함.
\'What kind of a row are you trying to cause in my house anyhow?\' (p.199)
\'I suppose the latest thing is to sit back and let Mr Nobody from Nowhere make love to you wife.~\' (p.200 7~9)
⇒ Gatsby의 Daisy를 향한 마음은 낭만적이고 순수하기는 하나 이미 Tom이 부인이 된 Daisy를 5년 전의 상황으로 돌이키려는 것은. 외형적으로 Myrtle Wilson과 불륜관계를 맺고 있는 Tom과 마찬가지로 다른 이를 생각지 않고 사랑에 집착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임.
② 가족에 대한 무관심
\'Very well. Had you seen him lately?\'
\'He come out to see me two years ago and bought me the house I live in now. of course we was broke up when he run off from home, but I see now there was a reason for it. He knew he had a big future in front of him. And ever since he made a success he was very generous with me.\' (p.259 5-11)
Gatsby는 가출을 해서 성공하였지만 아버지에게 신경을 쓰지 않고 겨우 2년 전에서야 집 하나 달랑 사주고 아들로서의 의무를 다했다고 한다.
③ 지나친 과소비
There was music from my neighbour\'s house through the summer nights. (p.80 1-2)
At least once a fortnight a corps of caterers came down with several hundred feet of canvas and enough coloured lights to make a Christmas tree of Gatsby\'s enormous garden. (p.81 2-5)
=>여름 내내 파티를 열었던 점
When I was here last I tore my gown on a chair, and he asked me my name and address - inside of a week I got a package from Croirier\'s with a new evening gown in it.\'
\'Did you keep it?\' asked Jordan.
\'Sure I did. I was going to wear it to-night, but it was too big in the bust and had to be altered. It was gas blue with lavender beads. Two hundred and sixty, five dollars.\' (p.86 4-12)
=>한 여인의 옷이 의자에 찢어 졌을 때 265달러나 하는 값비싼 옷을 선물로 준 점.
It was a rich cream colour, bright with nickel, swollen here and there in its monstrous length with triumphant hat-boxes and supper-boxes and tool-boxes, and terraced with a labyrinth of wind-shields that mirrored a dozen suns. Sitting down behind many layers of glass in a sort of green leather conservatory, we started to town. (p.112 16-22)
=>값비싼 차에 대한 설명.
\'I\'ve got a man in England who buys me clothes, he sends over a selection of things at the beginning of each season, spring and fall.\' (p.150 13-15)
=>계절마다 옷을 영국으로부터 받는다는 점
2. An American Tragedy
1) Clyde와 American Dream
Dreiser의 대표작으로 인정되는 An American Tragedy를 통해 구현된 주인공 Clyde Griffiths는 전형적인 미국의 비극상을 그린 인물이었다. 이 작품을 통해 Dreiser는 미국인들이 꿈꾸는 물질적인 성공인 American Dream에 맹목적으로 빠져 드는 미국인들의 가치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한 미국인의 비극을 통해 올바른 정신적 가치관과 인생을 보다 진지하게 살아 갈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Dreiser가 묘사하는 인간상은 American dilemma의 한 표본이 되고 있다. 어떤 의미에서 Clyde가 겪은 정신적, 육체적 번민과 고민은 현대 미국인의 고민이고 그가 걷는 파멸의 길은 미국적인 비극상 이라 하겠다.
미국의 한 비극적 희생자를 깊이 관찰한 이 작품은 3부로 나누어 볼 수가 있다. 1부에서는 가두설교를 하는 선교단 가족의 장남인 Clyde는 모든 것을 종교에서 구하는 가난한 광신적 가정을 떠나 소위 American Dream을 위해 부와 환락의 도시로 나와 drug store의 소다 판매원으로 일하다가 호텔의 bell-boy로 취직한다. 호텔에서 Clyde는 동료들과 어울려 경이로운 부의 세계를 경험하며 환락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