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국어 억양의 정의
Ⅱ. 국어 억양의 종류
1. 문중억양
2. 문말억양
Ⅲ. 국어 억양의 기능
Ⅳ. 국어 서술문의 억양
Ⅴ. 국어 의문문의 억양
1. 예-아니오 의문문
2. 의문사 의문문
3. 선택 의문문
4. 되물음 의문문(echo question)
5. 수사 의문문(rhetorical question)
Ⅵ. 국어 명령문의 억양
Ⅶ. 국어 평서문의 억양
Ⅷ. 일본어의 억양
1. 자신의 모국어의 억양을 일본어에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단계
2. 문말의 피치상승을 습득한 단계
3. 「……ですか․ますか」의 문말억양을 습득한 단계
4. 문말에서 2拍째에 악센트핵이 있는 의문문의 억양표현을 습득한 단계
5. 문말에서 2拍째에 악센트핵이 있고 마지막拍이 「ん」인 의문문의 억양표·현을 습득한 단계
참고문헌
Ⅱ. 국어 억양의 종류
1. 문중억양
2. 문말억양
Ⅲ. 국어 억양의 기능
Ⅳ. 국어 서술문의 억양
Ⅴ. 국어 의문문의 억양
1. 예-아니오 의문문
2. 의문사 의문문
3. 선택 의문문
4. 되물음 의문문(echo question)
5. 수사 의문문(rhetorical question)
Ⅵ. 국어 명령문의 억양
Ⅶ. 국어 평서문의 억양
Ⅷ. 일본어의 억양
1. 자신의 모국어의 억양을 일본어에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단계
2. 문말의 피치상승을 습득한 단계
3. 「……ですか․ますか」의 문말억양을 습득한 단계
4. 문말에서 2拍째에 악센트핵이 있는 의문문의 억양표현을 습득한 단계
5. 문말에서 2拍째에 악센트핵이 있고 마지막拍이 「ん」인 의문문의 억양표·현을 습득한 단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국어 억양의 정의, 국어 억양의 종류, 국어 억양의 기능, 국어 서술문의 억양, 국어 의문문의 억양, 국어 명령문의 억양, 국어 평서문의 억양, 일본어의 억양 분석
Ⅰ. 국어 억양의 정의
Ⅱ. 국어 억양의 종류
1. 문중억양
2. 문말억양
Ⅲ. 국어 억양의 기능
Ⅳ. 국어 서술문의 억양
Ⅴ. 국어 의문문의 억양
1. 예-아니오 의문문
2. 의문사 의문문
3. 선택 의문문
4. 되물음 의문문(echo question)
5. 수사 의문문(rhetorical question)
Ⅵ. 국어 명령문의 억양
Ⅶ. 국어 평서문의 억양
Ⅷ. 일본어의 억양
1. 자신의 모국어의 억양을 일본어에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단계
2. 문말의 피치상승을 습득한 단계
3. 「……ですかますか」의 문말억양을 습득한 단계
4. 문말에서 2拍째에 악센트핵이 있는 의문문의 억양표현을 습득한 단계
5. 문말에서 2拍째에 악센트핵이 있고 마지막拍이 「ん」인 의문문의 억양표·현을 습득한 단계
참고문헌
Ⅰ. 국어 억양의 정의
억양(intonation)이란 말의 가락(speech melody)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음악에 가락이 있듯이 말에도 목소리의 높낮이(pitch)가 엮어내는 말의 가락이 있음이 사실이다. 또한 그와 같은 억양은 말하는 사람의 태도를 나타내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자음과 모음 등으로 이루어진 낱말은 각기 사전에 정의된 뜻을 갖고 있으나, 그러한 낱말이 어떤 특정한 억양으로 발음될 때에는 낱말이 지닌 원래의 뜻 이외에 화자(speaker)의 태도가 전달됨을 다음의 예에서 알 수 있다.
(ㄱ) 예↘ (ㄴ) 예↘
위와 같이 두 가지를 발음하면 보통 목소리의 중간 높이에서 낮은 소리로 내려가는 (ㄱ)은 특별한 관심을 나타내지 않는 사무적인 태도를 나타내는데 비해, 더 높은 데서 목소리의 중간 높이 정도로 내려오는 (ㄴ)은 관심을 표명하는 명쾌한 태도를 나타낸다. 긍정적인 대답의 뜻을 지닌 ‘예’라는 같은 낱말이 위의 (ㄱ)과 (ㄴ)에서 전체적인 의미의 차이를 보임은 순전히 억양의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영근은 “억양이란 목소리의 높낮이가 엮어내는 말의 가락(speech melody)이며, 이 억양은 크게 두 가지의 기능을 갖고 있다. 문법적인 기능과 말하는 사람의 태도를 나타내는 기능이다”라고 하였고, 이호영은 “억양이란 말의 가락이며, 이를 좀 더 정확하게 정의하면, 억양은 문장들에 얹히는 높낮이의 형태(pitch pattern)이다”라고 하였다. 이로 미루어 보면, 억양이란 발화시에 나타나는 목소리의 높낮이 가락이며, 문법적인 기능과 화자의 태도를 나타내는 기능이 있다.
Ⅱ. 국어 억양의 종류
억양의 종류에는 상승조, 하강조, 평탄조억양이 있다. 이영길에서는 하강조, 상승조의 억양의미를 각 ‘진술, 의문’이 아닌 ‘단언, 호소’로 보고 있다. 이것은 다시 말해 하강조는 화자 중심이고 상승조는 청자중심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이 장에서는 문중억양, 문말억양 順으로 살피도록 하겠다.
1. 문중억양
문중억양은 발화에서 마지막 음조군을 제외한 음조군말에 놓인다. 문중억양에는 평탄조억양이 일반적으로 쓰인다. 문중억양은 음조군과 음조군을 이어줄 뿐이지 여기에 ‘단언, 호소’의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평탄조 억양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여기에 어떤 표현적 의미(호소)를 더하고자 할 때에는 끝을 약간 상승시킨다.
(1) ## 우\'리집이 → & \'외:려 잘 살았재 ## (우리집이 오히려 잘 살았지)
(2) ## \'그:전애는 → & \'당:산재를 지내고 → & 그\'
Ⅰ. 국어 억양의 정의
Ⅱ. 국어 억양의 종류
1. 문중억양
2. 문말억양
Ⅲ. 국어 억양의 기능
Ⅳ. 국어 서술문의 억양
Ⅴ. 국어 의문문의 억양
1. 예-아니오 의문문
2. 의문사 의문문
3. 선택 의문문
4. 되물음 의문문(echo question)
5. 수사 의문문(rhetorical question)
Ⅵ. 국어 명령문의 억양
Ⅶ. 국어 평서문의 억양
Ⅷ. 일본어의 억양
1. 자신의 모국어의 억양을 일본어에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단계
2. 문말의 피치상승을 습득한 단계
3. 「……ですかますか」의 문말억양을 습득한 단계
4. 문말에서 2拍째에 악센트핵이 있는 의문문의 억양표현을 습득한 단계
5. 문말에서 2拍째에 악센트핵이 있고 마지막拍이 「ん」인 의문문의 억양표·현을 습득한 단계
참고문헌
Ⅰ. 국어 억양의 정의
억양(intonation)이란 말의 가락(speech melody)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음악에 가락이 있듯이 말에도 목소리의 높낮이(pitch)가 엮어내는 말의 가락이 있음이 사실이다. 또한 그와 같은 억양은 말하는 사람의 태도를 나타내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자음과 모음 등으로 이루어진 낱말은 각기 사전에 정의된 뜻을 갖고 있으나, 그러한 낱말이 어떤 특정한 억양으로 발음될 때에는 낱말이 지닌 원래의 뜻 이외에 화자(speaker)의 태도가 전달됨을 다음의 예에서 알 수 있다.
(ㄱ) 예↘ (ㄴ) 예↘
위와 같이 두 가지를 발음하면 보통 목소리의 중간 높이에서 낮은 소리로 내려가는 (ㄱ)은 특별한 관심을 나타내지 않는 사무적인 태도를 나타내는데 비해, 더 높은 데서 목소리의 중간 높이 정도로 내려오는 (ㄴ)은 관심을 표명하는 명쾌한 태도를 나타낸다. 긍정적인 대답의 뜻을 지닌 ‘예’라는 같은 낱말이 위의 (ㄱ)과 (ㄴ)에서 전체적인 의미의 차이를 보임은 순전히 억양의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영근은 “억양이란 목소리의 높낮이가 엮어내는 말의 가락(speech melody)이며, 이 억양은 크게 두 가지의 기능을 갖고 있다. 문법적인 기능과 말하는 사람의 태도를 나타내는 기능이다”라고 하였고, 이호영은 “억양이란 말의 가락이며, 이를 좀 더 정확하게 정의하면, 억양은 문장들에 얹히는 높낮이의 형태(pitch pattern)이다”라고 하였다. 이로 미루어 보면, 억양이란 발화시에 나타나는 목소리의 높낮이 가락이며, 문법적인 기능과 화자의 태도를 나타내는 기능이 있다.
Ⅱ. 국어 억양의 종류
억양의 종류에는 상승조, 하강조, 평탄조억양이 있다. 이영길에서는 하강조, 상승조의 억양의미를 각 ‘진술, 의문’이 아닌 ‘단언, 호소’로 보고 있다. 이것은 다시 말해 하강조는 화자 중심이고 상승조는 청자중심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이 장에서는 문중억양, 문말억양 順으로 살피도록 하겠다.
1. 문중억양
문중억양은 발화에서 마지막 음조군을 제외한 음조군말에 놓인다. 문중억양에는 평탄조억양이 일반적으로 쓰인다. 문중억양은 음조군과 음조군을 이어줄 뿐이지 여기에 ‘단언, 호소’의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평탄조 억양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여기에 어떤 표현적 의미(호소)를 더하고자 할 때에는 끝을 약간 상승시킨다.
(1) ## 우\'리집이 → & \'외:려 잘 살았재 ## (우리집이 오히려 잘 살았지)
(2) ## \'그:전애는 → & \'당:산재를 지내고 → & 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