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학 전염병관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건학 전염병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6. 전염병의 예방

전염병의 예방(prevention of communicable diseases) 대책
1. 병원소 제거
2. 전염력의 감소
3. 병원소 격리
4. 환경위생 관리
5. 전염원에 대한 대책
1)병인에 대한 대책
2) 환경(감염경로)에 대한 대책
3) 숙주의 감수성에 대한 대책

7. 급성 전염병 관리
1)소화기계 전염병
예방대책
(1) 장티푸스 typhoid fever
(2) 콜레라 cholera
(3) 세균성 이질
(4) 파라티푸스 paratyphoid fever
(5) 유행성 간염
2) 호흡기계 전염병
(1) 디프테리아 diphtheria
(2) 백일해 pertusis
(3) 홍역 measles
(4) 성홍열 scarlet fever
(5) 유행성 이하선염mumps
(6) 풍진 german measles : rubella
(7) 인플루엔자 influenza
(8) 수두(작은 마마)
3) 절족동물 매개 전염병
(1) 말라리아 malaria
(2) 일본뇌염 japanese encephalitis
(3) 유행성 출혈열 epidemic hemorrhagic fever
(4) 쓰쓰가무시병 tsutsugamushi disease
(5) 페스트
(6) 발진티푸스
(7) 발진열

4) 동물 매개 전염병
(1) 렙토스피라증 leptospirosis
(2) 탄저 anthrax

8. 만성 전염병 관리
1)결핵tuberculosis
2) 나병 leprosy
3) 성병 (venereal disease): S.T.D(sexually transmitted disease)
(1) 매독 syphilis
(2) 임질 gonorrhea
(3) 후천성 면역결핍증 acquire immune deficiency syndrome, AIDS)
4) B형 간염
9. 비전염성 질환 관리
1) 비전염성 질환의 개념
(1) 비전염성 질환의 중요성
(2) 비전염성 질환의 역학적 특성
(3) 비전염성 질환의 발생요인
(4) 비전염성 질환의 예방

본문내용

염의예방은동물예방접종을포함한동물의탄저병관리와밀접한관계가있다.동물을다루는업무의경우주의가필요하며,양모,모피,뼈,기타동물제품은처리하게전에소독을해야한다.탄저병이의심되는동물사체는처리하기전에혈액을채취하여탄저병의유무를확인한후탄저균에감염된동물사체는소각하거나깊게묻도록한다.사람에게투여할수있는백신이있지만,탄저균을다루는실험실종사자를포함하여탄저균에지속적인노출위험성이있는사람과같은특수한경우가아니면일반적으로추천되지는않는다.
페스트와 황열은 우리나라에서 발생 예가 없으며, 발진티푸스, 두창, 재귀열, 발진열 등은 1960년대 초기 EH는 중기 이후에 보고 예가 없다. 관견병, 홀리오, 일본뇌염도 발생 사례가 보고된 것이 10~20년가량 되어 점차 감소 추세임.
그러나 국가 간 교류가 빈번하고 장기간 발생 사례가 없어 집단의 면역이 약화되어 있기 때문에 크게 유행할 가능성은 언제나 존재한다.
8. 만성 전염병 관리
유병률이나 사망률에서 국민건강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1)결핵tuberculosis
신체의 모든 장기에 전염되는 전염병 전염성이 문제시 되는 것은 폐결핵. 가장많이 이환됨 우리나라의 경우 전염병중 가장 많이 걸리는 질병 망국병으로 일컬어지기도 했음.
많이 감소한 질병이나 무분별한 약물 남용으로 난치성의 내성균을 보유한 환자가 문제되고 있다.
결핵 관리의 어려운 점
치료기간이 오래걸림
치료를 중단하면 균이 내성이 생겨 치료가 더욱 어렵다.
증상 : 피로감 발열 체중감소 증상이 심해지면 기침 흉통 객혈 등의 증상이 나타남
병원체 : Mycobacterium tuberculosis로 항산성 간균으로 그람 양성이다.결핵의 형태
예방방법 : 인공 능동면역 방법에 의한 것이 있으며, 평상시 건강을 관리하여 숙주의 저항력을 키우고 조기진단 및 조기치료로 중증화를 예방하고, 전염성 환자는 개인위생 및 가족의 검진을 필수적으로 하고, 환자의 추구관리를 하여 전파를 최소화한다.
2) 나병 leprosy
‘한센씨병’이라고도 함.
중세 유럽에서 대유행했던 만성 전염병 환자는 철저하게 격리되어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전파경로는 1940년대의 효과적인 치료약재(DDS) 개발로 현재는 발생이 드문 질병이다.
발병위치:피부,말초신경계,상기도
전세계 나병의 분포
증상 : 피부 말초 신경의 손상
나병의 유형
나종형, 결절형, 및 중간형
나종형은 점차 중증으로 되어 결절형으로 이해하여 곧 결절부분이 파괴된다.
코가 주저앉고 말초신경의 침범이 심하여 감각을 상실하게 됨.
병원체 : Mycobacterium leprae로 결핵균과 같은 그람 음성의 항산성 간균이다.나종나병의 피부병변
예방방법 : 환자 발견, 전염성 환자의 격리치료 및 환자와의 접촉자에 대한 검진이 필요하다.
3) 성병 (venereal disease): S.T.D(sexually transmitted disease)
1983년에 성병(VD)이란 용어 대신에 세계보건기구에서는 S.T.D, 즉, 성전파질병으로 부르고 있다.
(1) 매독 syphilis
성기의 구진 무통성 하감 등의 1차적 병변, 피부발진등의 2차적 증상과 장기간(약4년)의 잠재기를 거친 후 심맥관계와 중추 신경계에 병변을 보이는 3차적 증상을 나타냄
모체를 통하여 감염된 태아는 유산이나 사산되는 경우가 있으며, 출생할 경우에는 선천성 매독에 걸리게 된다. 태아의 감염은 임신 16주 이전에는 일어나지 않으므로 임신과 동시에 매독검사를 받고, 감염 시에는 태반이 형성되기 전에 치료를 하여야 함.
병원체 : Treponema pallidum으로 나선균이다.
병원소 : 환자(사람)
(2) 임질 gonorrhea
비임균성 요도염과 함께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질병
남성 : 소변시 통증을 동반, 요도에서 고름이 나고 심해지면 부고환염 등이 나타날 수 있음
여성 : 요도염과 자궁경관염의 증상이 약하게 나타나고 심해지면 자궁내막염, 난관염 등이 나타나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함.
병원체 : Neisseria gonorrhea로서 그람 음성 쌍구균이다.
임균
병원소 : 환자(사람)
(3) 후천성 면역결핍증 acquire immune deficiency syndrome, AIDS)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1981년 6월 처음 환자가 발생이 보고된 후 전 세계적으로 환자의 발생이 급격히 늘고 있는 질병으로 이환된 후 치료방법이 아직까지 개발 되지 않았다.
병원체에 감염된 환자는 면역체계의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이상이 생겨 후천적으로 항체를 생산하지 못하게 된다.
제 3군전염병으로 관리
병원체 :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발병위치:림프구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HIV)
병원소 : 환자 및 감염자(사람)
4) B형 간염
A형, B형, C 형, 및 D형 E형 이 있으며 G형이 최근 연구되고 있다.
A형은 급성 전염병인 유행성 간염
B형 간염(hepatitis B)에 감염된 사람은 치료가 잘 안되고 만성으로 이환되며 치사율이 높은 특성이 있다.
우리나라는 B형 간염 감염률이 선진국에 비해 월등히 놓고 간암 등의 발생도 놓아 지정 전염병에서 1995년 제 3군 전염병으로 입법화 함. 증상은 피로감 식욕감퇴 발열 오한 심한 경우 황달 등이 나타남
병원체 : B형 간염 virus(DNA virus)
병원소 : 환자 및 보균자
9. 비전염성 질환 관리
1) 비전염성 질환의 개념
노년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비전염성 질환, 즉 만성퇴행성 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정의
정상이 아닌 모든 손상과 이상을 포함. 즉, 영속성인 불구상태, 회복 불가능한 병변, 재활을 위한 특별훈련의 필요성이나 장기간의 보호나 감시의 필요성 중에서 최소한 1가지 이상을 가지고 있는 상태
퇴행성(degenerative), 대사성(metabolic), 신생물성(neoplastic) 기전을 갖는 병원균
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당뇨병, 녹내장, 만성 호흡기질환, 류머티스성 관절염 등.
(1) 비전염성 질환의 중요성
전염병과 기생충질환이 극히 제한된 인구집단을 제외하고는 거의 없거나 현저히 감소하였다.
전염병의 효과적인 관리로 사망률이 급격히 감소되어 국민의 평
  • 가격3,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11.12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85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