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모음][자음][음운현상][운율][은유][영어 시][영어 일기]영어의 역사, 영어의 모음, 영어의 자음, 영어의 음운현상, 영어의 운율, 영어 은유, 영어와 영어 시, 영어와 영어일기 분석(모음, 자음, 음운현상)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어][모음][자음][음운현상][운율][은유][영어 시][영어 일기]영어의 역사, 영어의 모음, 영어의 자음, 영어의 음운현상, 영어의 운율, 영어 은유, 영어와 영어 시, 영어와 영어일기 분석(모음, 자음, 음운현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영어의 역사

Ⅱ. 영어의 모음
1. 전설모음(前舌母音, Front Vowels)
2. 후설모음(後舌母音, Back Vowels)
3. 중설모음(中舌母音, Central Vowels)

Ⅲ. 영어의 자음
1. 파열음
2. 비음
3. 마찰음
4. 파찰음
5. 설측음

Ⅳ. 영어의 음운현상
1. 음의 전이(Transition)
1) 자음에서 자음으로의 음의 전이
2) 자음에서 모음으로의 음의 전이
2. 강음(strong form)과 약음(weak form)

Ⅴ. 영어의 운율

Ⅵ. 영어의 은유
1. Conduit metaphor
2. 구조적 은유(structural metaphor)
1) ARGUMENT IS JOURNEY : 논쟁의 진행을 개념화
2) ARGUMENT IS A WAR: 논쟁의 세기나 힘에 대한 개념화
3) ARGUMENT IS CONTAINER: 논쟁의 내용차원을 개념화
4) ARGUMENT IS BUILDING :논쟁의 내용, 진행, 질에 초점, 개념화
3. 지향적 은유(orientational metaphor)
1) HAPPY IS UP : SAD IS DOWN
2) CONSCIOUS IS UP : UNCONSCIOUS IS DOWN
3) GOOD IS UP : BAD IS DOWN
4. 존재론적 은유(ontological metaphor)
1) INFLATION IS AN ENTITY
2) THE MIND IS A MACHINE

Ⅶ. 영어와 영어 시
1. alliteration두운(頭韻)
2. assonance유운(類韻)
3. ballad stanza담시연(譚詩聯)
4. blank verse무운시(無韻詩)
5. English or Shakespearian sonnet
6. free verse자유시
7. heroic couplet
8. Italian or Petrarchan sonnet
9. limerick 5행 속요(俗謠)
10. memory devices / mnemonic devices
11. sestina
12. sonnet
13. Spenserian stanza
14. stanzas연(聯)
15. terza rima
16. tetrameter couplet
17. villannelle

Ⅷ. 영어와 영어일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인정하기 힘들지만 매달의 일수를 기억하기 편하게 하기 위해 만든 mnemonic rhyme이 있다.
11. sestina
여섯 개의 6행연과 결구 마지막 3행연으로 된 시 형태로 모두 압운하지 않으나 첫째 연 각 행의 마지막 단어가 다른 연의 마지막 단어가 된다.(비록 다른 의별한 방법으로 되긴 하지만) 마지막 연은 이 단어들을 특별한 방법으로, 반 행마다 하나씩 쓴다. Auden의 “Hearing of harvest rotting in the valley”은 세스티나이다.
12. sonnet
주로 한연으로 되어 있으며 몇 가지 관련된 압운 형식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러나 항상 14행이며 주로 약강 5보격으로 씌어진다. 소네트는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시의 형태로 이탈리아어로는 <작은 소리>, 즉 소곡(小曲)이라는 뜻이다.
13. Spenserian stanza
약강 5보격(iambic pentameter)의 여덟 행과 소위 알렉산더격이라고 하는 약강 6보격(iambic hexameter)으로 ababbcbcc로 압운한다. Spenser가 The Faerie Queene을 위해 고안하였고 Keat와 Byron에 의해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
14. stanzas연(聯)
각각의 구체적인 의미를 가진 행들의 집합이며 주로 각 연은 공백으로 다른 연과 분리된다.
15. terza rima
3운구법(三韻句法) 3행으로 된 연으로 Dante가 신곡(神曲)에서 썼으며 약강 5보격의 각 연(aba)은 다음 연과 압운을 통해 연결된다.(bcb, cdc, etc.)
16. tetrameter couplet
4보격의 압운한 두 행.(iambic or trochaic tetrameter)
17. villannelle
다섯 개의 3행연과 하나의 4행연으로 된 형태로 이탈리아에서 유래된 프랑스 시형이었으나 영시에서도 사용됨. 두 개의 압운음(押韻音)만 전체 시에서 허용되며 최초의 연의 첫째 행과 셋째 행이 다음 연의 셋째 행에 교대로 끝까지 반복된다.
Ⅷ. 영어와 영어일기
매일 영어로 일기를 쓰게 되면 그날 배우거나 공부한 것을 복습하고 활용해 봄으로써 기억을 더 잘 할 수 있다. 우리가 아기 때부터 우리말을 배워온 것을 생각해 보면 같은 말을 수 백 번 반복해서 듣고 말해 보았기 때문에 우리말을 잘 하는 것이다. 영어도 마찬가지로 배운 것을 늘 반복하여 복습하고 실제로 써보는 기회를 많이 가져야 잘 할 수 있다. 그래서 영어일기 쓰기야말로 좋은 영어공부 방법이라 하겠다.
영어에 자신감을 가지며 자기의 영어실력을 점검해 나갈 수 있다. 영어로 일기를 쓴다는 사실 하나로 영어에 대한 자신감이 생기고, 또 날마다 자신의 영어 실력을 점검해 나감으로써 영어공부를 더 많이 하게 된다.
영어 단어를 많이 익히게 됨은 물론 영어 단어를 연결하여 잘 말할 수 있게 된다. 영어일기를 쓰려면 우선 영어단어를 많이 알아야 하는데 모르는 영어 단어를 묻거나 책에서 찾아 익히게 되고 일기를 씀으로써 단어들을 연결하여 문장으로 표현하는 능력이 향상된다.
우리말로 일기를 쓸 때와 같은 방법으로 하루 중에서 가장 중요하거나 인상 깊었던 일을 중심으로 먼저 제목을 정해서(야구, 음식, 옷, 쇼핑, 학원에서 있었던 일, 친구와의 재미있었던 일 등) 제목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머리 속에 간추려 정리해서 영어로 쓴다.
영어단어를 모를 경우엔 우리말로 쓴다. 자신의 영어실력으로 쓸 수 없는 말은 사전, 책 등을 찾아보거나, 다른 사람에게 물어서 쓰도록 하고 그래도 잘 안 되는 경우엔 그냥 우리말로 쓴다. 점차 영어실력이 향상되면 영어로만 쓰도록 한다.
문장을 짧고 간단히 써도 된다. 우리말로 쓸 때는 좀 길게 쓸 수 있지만 영어로 쓰려면, 모르는 단어도 많고 단어를 연결해서 쓰는 힘이 부족하니까 처음에는 간단하고 짧은 말로 쓴다.
가능한 영어 책에 있는 표현을 이용해서 쓴다. 우리말을 영어로 그대로 바꿔 놓으면 말이 안 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나는 자러간다”를 영어로 옮길 때 “I go to sleep.\"보다는 ”I go to bed.\"로 표현한다. 이처럼, 영국인이나 미국인이 생각하고 표현하는 말을 자연스럽게 익혀 써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남이 쓴 영어일기나 영어일기 책을 많이 읽어보는 것이 좋다.
일기를 쓰기 싫을 때는 앞으로 하고 싶은 일이나 책을 읽은 내용, 공부한 내용, 주위의 어떤 것에 대한 느낌 등에 대해 쓰면 된다. 일기의 내용이 반드시 중요하거나 기록에 남길만한 큰 사건이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말을 배우기 위해서는 남의 말을 많이 듣고 자신이 그 말을 직접 해 보아야 하고, 글을 잘 쓰려면 남이 쓴 글을 많이 읽고 또 직접 글을 써 보는 연습을 많이 해야 한다. 영어를 배우기 위해서도 역시 남이 말하는 영어를 많이 듣고 직접 영어로 말해보고, 또 남이 써 놓은 영어 표현을 많이 읽고 써 보아야 한다. 특히, 영어로 말해보는 연습을 하려면 듣고 대답해 주는 사람이 있어야 하는데 반해서 영어 쓰기 연습은 혼자 할 수 있으니까 영어를 꾸준히 공부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동사의 과거형, 3인칭 단수형, 명사의 복수형 등은 한꺼번에 공부하기보다는 차근차근 하나씩 익혀 나가면 된다. 동사의 과거형은 규칙동사와 불규칙동사가 있는데 규칙동사는 원형에 -(e)d를 붙이며, 불규칙동사는 숫자가 많지 않고 사전의 뒤쪽 부분에 따로 정리되어 있어서 찾아보기가 쉽다.
이 책의 “Help me!!!” 난에 있는 단어들을 참고하여 일기를 쓰도록 하고 가능한 일기를 쓸 때는 여러분이 가지고 있는 영어사전이나 영어 책 등을 찾아보면서 쓰는 습관을 가지도록 합시다. 그렇게 함으로써, 틀리지 않고 올바른 영어를 익힐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곽용자(2000), 장르간 영어 리듬의 연계성과 적용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논문
▷ 권응호(1989), 기본영어문법I, 학일출판사
▷ 이영헌(2000), 현대 영어학의 이해, 조선대학교출판부
▷ 전상범(2000), 영어음성학개론, 을유문화사
▷ J.L. Dillard, 미국 영어의 역사, 한국문화사
▷ Thomas pyles, John Algeo 저, 영어발달사

키워드

  • 가격7,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0.11.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87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