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관 장
1. 배출관장(Cleansing enema)
2.글리세린 관장(Glycerin enema)
3. 구풍관장(Carminative enema)
4. 정체관장(Retention enema)
5. Finger enema
도뇨
1. 단순도뇨(catheterization)
2. 유치도뇨(Retention catheterization)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관리
1. 요로감염 역학
2. 요로감염의 종류
3. 요로감염의 주요 원인균
4. 인공정체 도뇨를 하는 경우
5. 요로감염 경로
6. 도뇨관 관리
1. 배출관장(Cleansing enema)
2.글리세린 관장(Glycerin enema)
3. 구풍관장(Carminative enema)
4. 정체관장(Retention enema)
5. Finger enema
도뇨
1. 단순도뇨(catheterization)
2. 유치도뇨(Retention catheterization)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관리
1. 요로감염 역학
2. 요로감염의 종류
3. 요로감염의 주요 원인균
4. 인공정체 도뇨를 하는 경우
5. 요로감염 경로
6. 도뇨관 관리
본문내용
팽창시키거나 장 점막을 자극하여 연동운동을 일으 켜 배변을 유도한다.
2)용액: Tap water나 3% 비누물 500~1000㏄(10배와 2배로 농축된 비눗물용액이 있다.)
3)준비물: 40.5~43℃의 처방된 관장용액 500~1000㏄, 관장통, 직장튜브, 관장통과 직장튜브를 연결할 관, Tube clamp(kelly), 수용성 윤활제, 수온계, 방수포, 화장지, 대변기, 일회용 장갑, 곡반
4)방법
(1)손을 씻는다.
(2)환자에게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용액이 주입될 때 가득차는 듯한 느낌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한다.
(3)스크린이나 커텐을 사용하여 프라이버시를 제공한다.
(4)오른쪽 다리를 굴절시켜 좌측위를 취해준다(Lt. Sim\'s position, 근거: 좌측위는 중력에 의해 S상결장과 하행 결장으로 용액이 잘 흘러가도록 한다.)
(5)환자의 둔부 밑에 방수포를 칸다.
(6)장갑을 끼고 관상통에 배액관과 직장튜브를 연결한 후 clamp로 잠근다.
(7)직장튜브를 곡반에 대고, clamp를 약간 열어 용액을 흐르게 하여 튜브내의 공기를 뺀 후 다시 잠근다(근거: 용액보다 공기가 먼저 대장안으로 들어가면 장벽을 팽창시켜 불필 요한 불편감과 연동운동을 일으키고 변의를 자극한다.)
(8)성인은 튜브 길이의 5㎝, 어린이는 2.5㎝ 정도 윤활제를 바른다.
(9)위쪽 둔부를 약간 밀어올려 항문을 노출시킨후 직장튜브끝을 항문에 잠깐 대었다가 배 꼽을 향한 각도로 천천히 직장내로 삽입한다.(삽입길이는 연령에 따라 다르다. 성인: 7.5~10㎝, 어린이:5~10㎝)
(10)튜브를 내괄약근을 통과할 때 저항이 있으면 환자가 숨을 크게 쉬도록 하고 용액을 조금 흘려 보낸다. 저항이 계속되면 튜브를 뽑고 주치의에게 알린다(근거: 심호흡과 적은 양의 용액은 괄약근을 이완시킨다.)
(11)저하이 없으면 clamp를 열어 관장통을 직장 위에 적당한 높이로 올린다.(성인: 30~45㎝, 영아:7.5㎝)
(12)용액을 천천히 주입한다.
(13)환자의 피부 색깔, 발한, 호흡곤란에 대하여 사정한다.(근거: 대장에서는 수분을 흡수 하므로 반복해서 시행하면 수분과 전해질의 불균형을 초래하면서 수분중독을 일으킨다.)
(14)용액이 전부 들어 갔거나 환자가 더 이상 참을 수 없어 대변 보기를 원하면 tube clamp를 잠그고, 항문에서 직장튜브를 제거한다.
(15)관장액이 어느 정도 보유되어 있도록 화장지로 항문을 단단히 누른다.(근거:관장 용액 에 따라 보유기간이 다르나 보통 10~15분이 효과적이다.)
(16)환자가 대변기나 이동식 변기 또는 화장실을 사용하도록 돕는다.
(17)직장튜브는 휴지에 싸서 곡반에 놓든가 원래 튜브를 쌌던 포장지에 말아 놓고 장갑을 벗는다.
(18)환자를 도와 휴지로 항문 부위를 닦도록 하고 변기를 치운다.
관장의 결과나 효과를 말해주고 gas 배출을 했는지, 어지럽거나 복통, 오심, 또는 배변시 항문에 불편감이 없었는지 물어본다.
(19)방수포를 치우고 침상을 정리한다.
(20)환자 상태를 사정하고 관장한 것을 기록한다.
시간과 날짜. 관장의 종류, 배출액의 색깔, 농도, 양과 환자의 반응을 기록하고 특이사항 은 보고한다.
2.글리세린 관장(Glycerin enema)
1)준비물: 글리세린 용액(글리세린과 미지근한 물을 1:1로 섞는다) 60㏄를 50㏄ 주사기에 넣어 준비한다.
Nelaton catheter(9Fr. or 10Fr.), 수용성 윤활제, 장갑, 방수포
2)방법
⑴환자에게 과정을 설명한다.
⑵환자는 좌측위를 취해준다.(Lt. Sim\'s position)
⑶환자의 둔부 밑에 방수포를 깐다.
⑷장갑을 끼고 관장용액이 담긴 주사기와 Nelaton catheter를 연결한다.
⑸용액을 통과시켜 카테터내의 공기를 제거한다.
⑹카테터 끝에 윤활제를 바른다.
⑺카테터를 부드럽게 직장내로 삽입한다.
⑻용액을 천천히 주입한다.
⑼용액이 전부 주입된 후 카테러를 제거한다.
⑽배출 관장 ⒀~(19)까지 동일하다.
3. 구풍관장(Carminative enema)
1)목적:장내 가스를 배출시켜 가스로 인한 팽만을 완화한다.
2)용액: 중조60g, 설탕30g, 글리세린 20㏄를 물에 녹여서 total 300㏄ 되게 한다.
4. 정체관장(Retention enema)
1)Kayexalate enema
(1)목적: Hyperkalemia의 치료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1일 4회까지, 4~6hr 간격으로 함)
(2)용액: Kallimate 50g과 20% Sorbitol 100㏄또는 200㏄
2)Lactulose enema
(1)목적: P.S.E(Portal systemic enceonalooathy)를 치료하기 위함이다.(Retension 동안Proximal colon을 채우기 위해 머리를 올리고 환자를 오른쪽으로 굴린다.)
(2)용액: Lactulose 200㏄와 물 300㏄.
5. Finger enema
1)목적: Fecal impaction으로 나타나는 통증과 불편감을 줄이고 정상 배변을 할 수 있다.
2)준비물: 대변기 및 변기 덮개, 방수포, 화장지, 장갑, 수용성 윤활제
3)방법
⑴환자에게 목적을 설명한다.
⑵환자는 좌측위를 취해준다.(Lt. Sim\'s position)
⑶환자의 둔부 밑에 방수포를 깐다.
⑷장갑을 끼고 검지에 윤활제를 바른다.
⑸항문에 검지를 부드럽게 넣고 배꼽 방향으로 움직인다.
⑹대변 주위를 부드럽게 맛사지 한다.
⑺딱딱한 덩어리가 깨지도록 손가락을 움직인다.
⑻대변이 항문 주위로 모이게 한 후 조금씩 제거하여 대변기에 담는다.
⑼Fecal impaction 제거에 대해 기록하고 대변에 관련된 자료와 환자의 반응을 기록한다.
※관장 시행을 위한 지침
(1)직장용 튜브의 크기는 어른은 22Fr.~30Fr., 어린이의 경우 영아는 12Fr., 학령전후 어 린이는 14Fr.~18Fr.가 적당하다.
(2)관장용액의 적정온도
어른 40.5°~43℃, 어린이 37.7°~40.5℃, 유류 정체관장 33℃→온도가 너무 높으면 대장 점막에 손상을 일으키고 너무 낮으면 괄약근의 경련을 일으킨다.
(3)관장용액의 적정량
관장종류, 환자의 나이, 체
2)용액: Tap water나 3% 비누물 500~1000㏄(10배와 2배로 농축된 비눗물용액이 있다.)
3)준비물: 40.5~43℃의 처방된 관장용액 500~1000㏄, 관장통, 직장튜브, 관장통과 직장튜브를 연결할 관, Tube clamp(kelly), 수용성 윤활제, 수온계, 방수포, 화장지, 대변기, 일회용 장갑, 곡반
4)방법
(1)손을 씻는다.
(2)환자에게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용액이 주입될 때 가득차는 듯한 느낌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한다.
(3)스크린이나 커텐을 사용하여 프라이버시를 제공한다.
(4)오른쪽 다리를 굴절시켜 좌측위를 취해준다(Lt. Sim\'s position, 근거: 좌측위는 중력에 의해 S상결장과 하행 결장으로 용액이 잘 흘러가도록 한다.)
(5)환자의 둔부 밑에 방수포를 칸다.
(6)장갑을 끼고 관상통에 배액관과 직장튜브를 연결한 후 clamp로 잠근다.
(7)직장튜브를 곡반에 대고, clamp를 약간 열어 용액을 흐르게 하여 튜브내의 공기를 뺀 후 다시 잠근다(근거: 용액보다 공기가 먼저 대장안으로 들어가면 장벽을 팽창시켜 불필 요한 불편감과 연동운동을 일으키고 변의를 자극한다.)
(8)성인은 튜브 길이의 5㎝, 어린이는 2.5㎝ 정도 윤활제를 바른다.
(9)위쪽 둔부를 약간 밀어올려 항문을 노출시킨후 직장튜브끝을 항문에 잠깐 대었다가 배 꼽을 향한 각도로 천천히 직장내로 삽입한다.(삽입길이는 연령에 따라 다르다. 성인: 7.5~10㎝, 어린이:5~10㎝)
(10)튜브를 내괄약근을 통과할 때 저항이 있으면 환자가 숨을 크게 쉬도록 하고 용액을 조금 흘려 보낸다. 저항이 계속되면 튜브를 뽑고 주치의에게 알린다(근거: 심호흡과 적은 양의 용액은 괄약근을 이완시킨다.)
(11)저하이 없으면 clamp를 열어 관장통을 직장 위에 적당한 높이로 올린다.(성인: 30~45㎝, 영아:7.5㎝)
(12)용액을 천천히 주입한다.
(13)환자의 피부 색깔, 발한, 호흡곤란에 대하여 사정한다.(근거: 대장에서는 수분을 흡수 하므로 반복해서 시행하면 수분과 전해질의 불균형을 초래하면서 수분중독을 일으킨다.)
(14)용액이 전부 들어 갔거나 환자가 더 이상 참을 수 없어 대변 보기를 원하면 tube clamp를 잠그고, 항문에서 직장튜브를 제거한다.
(15)관장액이 어느 정도 보유되어 있도록 화장지로 항문을 단단히 누른다.(근거:관장 용액 에 따라 보유기간이 다르나 보통 10~15분이 효과적이다.)
(16)환자가 대변기나 이동식 변기 또는 화장실을 사용하도록 돕는다.
(17)직장튜브는 휴지에 싸서 곡반에 놓든가 원래 튜브를 쌌던 포장지에 말아 놓고 장갑을 벗는다.
(18)환자를 도와 휴지로 항문 부위를 닦도록 하고 변기를 치운다.
관장의 결과나 효과를 말해주고 gas 배출을 했는지, 어지럽거나 복통, 오심, 또는 배변시 항문에 불편감이 없었는지 물어본다.
(19)방수포를 치우고 침상을 정리한다.
(20)환자 상태를 사정하고 관장한 것을 기록한다.
시간과 날짜. 관장의 종류, 배출액의 색깔, 농도, 양과 환자의 반응을 기록하고 특이사항 은 보고한다.
2.글리세린 관장(Glycerin enema)
1)준비물: 글리세린 용액(글리세린과 미지근한 물을 1:1로 섞는다) 60㏄를 50㏄ 주사기에 넣어 준비한다.
Nelaton catheter(9Fr. or 10Fr.), 수용성 윤활제, 장갑, 방수포
2)방법
⑴환자에게 과정을 설명한다.
⑵환자는 좌측위를 취해준다.(Lt. Sim\'s position)
⑶환자의 둔부 밑에 방수포를 깐다.
⑷장갑을 끼고 관장용액이 담긴 주사기와 Nelaton catheter를 연결한다.
⑸용액을 통과시켜 카테터내의 공기를 제거한다.
⑹카테터 끝에 윤활제를 바른다.
⑺카테터를 부드럽게 직장내로 삽입한다.
⑻용액을 천천히 주입한다.
⑼용액이 전부 주입된 후 카테러를 제거한다.
⑽배출 관장 ⒀~(19)까지 동일하다.
3. 구풍관장(Carminative enema)
1)목적:장내 가스를 배출시켜 가스로 인한 팽만을 완화한다.
2)용액: 중조60g, 설탕30g, 글리세린 20㏄를 물에 녹여서 total 300㏄ 되게 한다.
4. 정체관장(Retention enema)
1)Kayexalate enema
(1)목적: Hyperkalemia의 치료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1일 4회까지, 4~6hr 간격으로 함)
(2)용액: Kallimate 50g과 20% Sorbitol 100㏄또는 200㏄
2)Lactulose enema
(1)목적: P.S.E(Portal systemic enceonalooathy)를 치료하기 위함이다.(Retension 동안Proximal colon을 채우기 위해 머리를 올리고 환자를 오른쪽으로 굴린다.)
(2)용액: Lactulose 200㏄와 물 300㏄.
5. Finger enema
1)목적: Fecal impaction으로 나타나는 통증과 불편감을 줄이고 정상 배변을 할 수 있다.
2)준비물: 대변기 및 변기 덮개, 방수포, 화장지, 장갑, 수용성 윤활제
3)방법
⑴환자에게 목적을 설명한다.
⑵환자는 좌측위를 취해준다.(Lt. Sim\'s position)
⑶환자의 둔부 밑에 방수포를 깐다.
⑷장갑을 끼고 검지에 윤활제를 바른다.
⑸항문에 검지를 부드럽게 넣고 배꼽 방향으로 움직인다.
⑹대변 주위를 부드럽게 맛사지 한다.
⑺딱딱한 덩어리가 깨지도록 손가락을 움직인다.
⑻대변이 항문 주위로 모이게 한 후 조금씩 제거하여 대변기에 담는다.
⑼Fecal impaction 제거에 대해 기록하고 대변에 관련된 자료와 환자의 반응을 기록한다.
※관장 시행을 위한 지침
(1)직장용 튜브의 크기는 어른은 22Fr.~30Fr., 어린이의 경우 영아는 12Fr., 학령전후 어 린이는 14Fr.~18Fr.가 적당하다.
(2)관장용액의 적정온도
어른 40.5°~43℃, 어린이 37.7°~40.5℃, 유류 정체관장 33℃→온도가 너무 높으면 대장 점막에 손상을 일으키고 너무 낮으면 괄약근의 경련을 일으킨다.
(3)관장용액의 적정량
관장종류, 환자의 나이, 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