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CVA case study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뇌졸중 CVA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뇌졸중 CVA case study

본문내용

량의 언어반응
적절하고 지남력이 있다.
5
지남력이 없고 혼돈된 말을 한다.
4
부적절하고 혼란된 말을 한다.
3
이해할 수 없는 소리를 낸다.
2
소리를 내지 못한다.
1
최량의 운동반응
명령에 따른다.
6
통증자극에 국제성 반응이 있다.
5
통증자극에 도피성 반응을 보인다.
4
통증자극에 이상반응을 보인다.
3
통증자극에 이상신전 반응을 보인다.
2
운동반응이 없다.
1
운동반응 (1~5점)
RT LT
( ) ( )
( ) ( )
Ⅱ 간 호 과 정
1)간호사정
1.일반정보
이름
김 ㅇ ㅇ
성별 / 나이
M / 72
입원일
2010/08/19
직업

입원경로
응급실
입원방법
119
진단명
CVA
정보제공자
보호자

170cm
몸무게
68kg
혈액형
A+
종교

2.입원동기
2010.8.19 새벽 2시경 화장실 가려고 일어나다가 왼쪽 팔/다리 힘 풀려 못 일어나 119통해 본원 ER visit
주증상
Lt. hemiparesis for 1 day
3.과거경력
HTN, DM, LC, Thrombocytopenia, 허리디스크 수술
4.최근투약
고혈압약, 당뇨약
5.가족병력
없음
6.알레르기
없음
7.신체사정
통증
무릎, 허리 쑤심
호흡기문제
없음
의 치
없음
기형
없음
시력 장애
없음
피부 상태
정상
수면 장애
없음
신경계
Lt. Hemiparesis
청력 장애
없음
동공 크기
대칭
순환기계
정상
호흡기계
정상
소화기계
정상
보조 기구
없음
비뇨기계
Foley cath
의식 상태
혼돈
근골격
약함(왼쪽)
체중 변화
3년동안 10kg 감량
지남력
사람(있음)
장소,시간(없음)
가계도
2) 투약정보
약품
용량/용법
효능
부작용 및 금기증
Tamipool
본제에 주사용 증류수 5ml를 가볍게 흔들어 녹인다음, 5분 이내에 정맥주사용 포도당액
수액제로 영양을 공급받는 환자의 비타민 유지요법
과량 투여시 비타민A 및 D에 대한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Lantus
피하주사 해야 하며 1일 1회 하루 중 어느 때라도 투여할 수 있으며, 1일 용량은 환자에 따라 결정된다.
6세 이상의 소아와 청소년 및 성인에서의 인슐린 요법을 필요로 하는 당뇨병
저혈당증, 지방이영양증 등이 올 수 있다.
Mannitol
1회 체중 kg당 1-3g을 15%, 20%, 25%액으로 점적 정주 (1일 최대량: 200g)
두개내압강하 및 뇌용적의 축소가 필요한 경우, 안내압 강하가 필요한 경우
드물게 두통, 구역, 구토, 어지러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Mucosten
0.9% 생리식염수 또는 포도당액으로 1:1 희석하여 주사
급·만성 기관지염, 기관지 확장증, 기관지 천식, 수술후 폐합병증 등에서의 객담 배출
드물게 두드러기, 가려움, 발진, 두통, 이명, 기관지경련(특히 천식환자)등이 나타날 수 있다.
Marutin
1회50mg 1일 3-4회 정맥 또는 근육주사
위십이지장궤양, 수술 후 궤양, 상부소화관출혈
신장을 통해 배설되므로 중증 신장애 환자에서 이 약의 혈장 농도가 증가 하므로 투여량을 감소시킨다.
Lasix
1일 1회 20∼80㎎을 연일 또는 격일 경구투여
고혈압, 울혈성심부전, 신성부종, 간성부종
뇨배출이 부분적으로 폐쇄되어 있는 환자는 특히 치료초기에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한다
Amodipin
1일 1회 5mg을 경구투여
고혈압, 관상동맥의 고정폐쇄 또는 혈관수축에 의한 심근성 허혈증
1) 중증의 저혈압 환자
2) 투석을 해야 하는 신부전증 환자
3) 진단검사
항목
정상범주
결과
임상적의의
WBC
4-10(X10^3/UL)
5.3
증가:급성감염,악성종양,순환장애
감소:세균감염,약이나 급성백혈병등
RBC
4.3-5.3(X10^6/UL)
2.87
증가:심한설사,탈수,급성약중독
감소:빈혈,골수기능부전,용혈성빈혈
Hgb
12-17(G/dl)
9.4
증가:만성폐색성폐진환,용혈성심부전
감소:빈혈,임신,간경화,심한출혈
Hct
35-51(%)
28
증가:적아세포증,
감소:빈혈,백혈병등
MCV
81-102(fl)
97.3
증가:비타민B12결핍성빈혈,화학요법
감소:철분결핍성빈혈,지중해성빈혈
MCH
27-32(pg)
32.6
MCHC
30-35(g/dl)
33.5
PLT
140~380(X10^3)
57
감소:출혈, 간질환
ESR
0~10(mm/hr)
0.025
뇌졸중의 경우 높은 수치에서는 예후가 좋지 않다는 보고도 있다.
Glucose
70-120(mg/dl)
162
증가:당뇨병, 혈압상승
AST
35↓(IU/L)
38
증가:급성간염,폐색성황달,골격근장애,
간질환, 심근경색
ALT
40↓(IU/L)
17
ALP
75~270
174
LDH
278~472(IU/L)
154
pH
4.6-8.0
7.498
증가:요도감염
P.
35~45
31.8
P
75~100
76.9
4) 간호과정
1# 장시간 부동자세로 인한 피부손상 위험성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부분 부분 redness 관찰됨
간호 진단
장시간 부동자세로 인한 피부손상 위험성
목표
피부상태를 깨끗이 유지한다.
간호 계획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체위변경을 2시간 마다 한다.
○필요시 에어 매트리스나 물침대를 사용한다.
간호 수행
○환의를 원피스로 갈아입힘
○피부상태 자주 사정함
○2시간마다 back care 시행함
○에어 매트리스를 사용함
평가
○redness 남아 있으나 피부상태가 호전되고 있음
2# 운동/감각 부족과 관련된 변비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변비 6일째 이며, 복부팽만 관찰됨
간호 진단
운동/감각 부족과 관련된 변비
목표
대변을 보게 하고, 복부팽만을 감소시킴
간호 계획
○수분섭취를 늘인다.
○복부 마사지를 시행한다.
○필요시 배변 완하제를 투여하거나 관장을 시행한다.
간호 수행
○수분 섭취를 늘임(100→200ml 2D*E, N)
○복부 마사지 시행함
○Glycerin enema 50cc 시행함
평가
○환자는 대변을 다량 봄
○복부팽만이 감소함
Ⅳ 참 고 문 헌
성인간호학 下2 제 3판, 현문사 박정숙外
성인간호학 3 제 2판, 현문사 김조자外
최신임상간호메뉴얼 2, 현문사
드러그인포 www.druginfo.co.kr
임상실습지침서 (2010)

키워드

뇌졸중,   CVA,   cerebral,   case
  • 가격2,2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12.04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18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