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ntroduction
(1) 개요
(2) 연혁
(3) 비전
(4) 경영이념
(5) 혁신
2. 환경 분석
(1) 산업 환경 분석
(2) 시장 환경 분석
3. SWOT 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STP 분석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5. 4P 분석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6. 향후 전략
(1) 고객 유출 현상 방지
(2) 브랜드 차별화 및 이미지 홍보
(3) 유통경로 단순화
(1) 개요
(2) 연혁
(3) 비전
(4) 경영이념
(5) 혁신
2. 환경 분석
(1) 산업 환경 분석
(2) 시장 환경 분석
3. SWOT 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STP 분석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5. 4P 분석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6. 향후 전략
(1) 고객 유출 현상 방지
(2) 브랜드 차별화 및 이미지 홍보
(3) 유통경로 단순화
본문내용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다른 할인매장의 경우도 소비자가 원하는 웬만한 상품들은 모두 갖추고 있지만, 대개 식품이나 생활용품에 치중하고 있는 경우가 상당하다.
하지만 다이소의 경우는 몇 가지 생활용품이나 식료품에 비중을 차지하는 할인마트와는 다르게 여러 상품들을 모두 갖추고 있다. 또한 한 가지 품목에 대한 깊이가 매우 깊다. 물 담는 양동이 하나 만도 수십여 종에 이른다. 고객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가장 좋은 전략이라 할 수 있겠다.
아성산업 시절부터 구축해온 강력한 유통망을 토대로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 주방용품류에서부터 10~20대 젊은 층을 공략하기 위한 화장품/미용용품과 문구/완구류에 이르기 까지 총 2만 5천여 종에 이르는 우리 생활에 필요한 거의 모든 제품을 취급할 만큼 다양한 상품 구색을 보이며 소비자에게 많은 선택권을 제공하고 있다. 이 중 2천여 종의 제품(주방용품, 생활 잡화, 여성필수품)을 주력제품으로 2개월 주기로 제품을 순환 시키는 순환식 제품구성 시스템을 시행하고 있다.
제품의 원산지는 개장초기에는 일본제품과 국내제품이 7:3 정도의 비율로 일본제품의 비율을 월등히 높게 유지했으나, 현재 제품의 원산지는 원가 절감상의 이유로 국내제품과 중국제품의 비율을 높게 늘려 국내제품 52%, 중국제품 42%, 기타(일본제품 포함) 6%의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2) 품질의 신뢰성
다이소에 처음 들여오는 제품은 총 4단계의 검증 프로세스를 거친다. 가장 아래 부분에는 해당 카테고리를 담당하는 직원이 있고, 그 위에는 담당 팀장이, 그 위에는 17년 경력의 제품 총괄 상무가, 마지막으로는 2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박정부 회장이 있다. 매달 새롭게 추가되는 제품은 400~500개 정도인데, 이 모든 제품을 박회장이 직접 최종 결정한다.
4단계 검증 프로세스를 거치는 것만으로도 신제품이 실패할 확률은 거의 없다. 하지만 다이소는 자만하지 않고 여기에 하나를 더했다. 바로 소비자의 반응을 지켜보는 것이다. 실제로 담당 직원이 판단하기 어려운 제품의 경우 3~5개의 매장에서 보름간의 테스트 판매를 거친다. 테스트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소비자 반응을 이끌어 낸 제품만 살아남아 다음 단계로 올라간다. 내놓는 제품마다 소비자의 뜨거운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이런 노력이 있기 때문이다.
(2) Price
1) 원가 절감
먼저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은 1000원이라는 가격을 맞추는 비결이다. 유리컵 제조업체인 A사가 개당 1100원짜리 제품을 만들어 납품을 의뢰하는 상황을 생각해보자. 보통의 유통업체들은 제조업체가 제시한 가격에 이윤을 더해 판매 가격을 정한다. 하지만 다이소에서는 판매가가 이미 1000원으로 정해져 있다. 제조업체가 제시하는 가격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는 이유이다. 다이소는 A사에게 개당 500원으로 맞춰오라는 주문을 한다.
다이소의 요구를 들은 A사는 “말도 안 되는 소리”라며 펄쩍 뛴다. 제품 원가가 1000원이 넘는데 무슨 수로 500원짜리 제품을 만드냐며 화를 낸다. 방법을 찾기 위해 다이소는 직접 제조공장으로 찾아간다.
“당신네 공장은 현재 가동률이 80% 정도인 것 같군요. 어차피 비싼 돈 주고 산 설비인 만큼 가동률은 높을수록 좋을 거요. 남는 20%로 우리 제품을 만드시오. 대신 우리 제품 원가에는 직접비(재료비, 노동자 인건비 등 제품을 만드는 데 직접적으로 들어가는 비용)만 계산하는 거요.”
A사는 ‘그런 계산이면 제품 원가를 800원까지는 낮출 수 있겠네’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여전히 500원을 맞추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 때 다이소로부터 또 하나의 매력적인 제안이 들어온다.
“그 대신 남들이 1만 개 주문할 때 우리는 10만 개를 주문하겠소. 그것도 몽땅 현금으로. 앞으로 차차 알게 되겠지만, 우리는 결코 어음거래를 하지 않소. 한일맨파워를 통해 일본 다이소와 한국 다이소 모두에 제품을 동시 공급할 테니, 그렇게 알고 10만 개를 다음 달까지 납품해 주시오.”
500원에 10만 개면… 5000만원이다. 그것도 한 방에 현금 거래로. A사와 같은 중소 제조업체에게 이런 거래는 흔치 않다. 안 그래도 현금 유동성이 딸리는 A사의 사장은 조금 흔들린다. 하지만 그렇다고 모든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니다. 여전히 500원이라는 가격은 팔수록 밑진다. 잠시 망설인다. 이 때, 다이소의 박회장은 또 다른 제안을 한다.
“당신이 뭘 고민하는지 우린 잘 알고 있소. 제품을 좀 봅시다. 가격을 낮추는 세 번째 비결을 알려드리지요.”
A사 사장이 가져온 크리스탈 컵을 보며 박회장은 이렇게 말한다.
“우리는 제품의 본질적인 기능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일단 소비자들이 집에 가져가자마자 바로 버리는 포장을 없애주세요. 중요한 건 제품 그 자체입니다. 또 여기 표면에 무늬가 많이 들어가 있는데, 이런 부분도 제거해 주세요. 물론 그렇다고 디자인을 무시하는 건 아닙니다. 단지 과도하게 들어간 장식을 제거하라는 말이지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같은 유리라도 좀 더 단단하면서 싼 재료가 있다면 그걸로 바꿔주세요. 크리스탈 잔을 사는 소비자들이 기대하는 것은 결국 예쁘면서도 잘 깨지지 않는 제품이니까.”
A사 사장은 결국 흔쾌히 제안을 수락한다. 박회장이 가르쳐준 대로라면 제품 단가를 450원까지 낮출 수 있다. 이제 남은 것은 제시간 내에 제품을 만드는 것뿐이다. A사 사장은 계약서에 서명한 후 바쁘게 공장으로 뛰어간다.
이렇게 다이소는 저가의 상품 구매를 위해 직접 제조사를 방문하여 20년간의 노하우를 통해 알게 된 원가 절감 방안을 제안한다. 공장 가동률을 올리기 위한 대량 주문, 포장과 과도한 장식 제거, 원재료의 교체 등을 통해 제품이 다이소에서 판매될 수 있을 만큼 저렴하게 제작되도록 한다.
2) 저렴한 가격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이소는 제조사와 함께 머리를 맞대고 원가 절감에 대해 계속해서 노력을 하고, 그로인해 2만 5천여 제품의 가격대가 1,000원짜리가 60%로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1,500원짜리 3~4%, 2,000원짜리 30%, 3,000원짜리 7~8%로 구성되어 질 수 있게 된다.
‘1,000원
하지만 다이소의 경우는 몇 가지 생활용품이나 식료품에 비중을 차지하는 할인마트와는 다르게 여러 상품들을 모두 갖추고 있다. 또한 한 가지 품목에 대한 깊이가 매우 깊다. 물 담는 양동이 하나 만도 수십여 종에 이른다. 고객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가장 좋은 전략이라 할 수 있겠다.
아성산업 시절부터 구축해온 강력한 유통망을 토대로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 주방용품류에서부터 10~20대 젊은 층을 공략하기 위한 화장품/미용용품과 문구/완구류에 이르기 까지 총 2만 5천여 종에 이르는 우리 생활에 필요한 거의 모든 제품을 취급할 만큼 다양한 상품 구색을 보이며 소비자에게 많은 선택권을 제공하고 있다. 이 중 2천여 종의 제품(주방용품, 생활 잡화, 여성필수품)을 주력제품으로 2개월 주기로 제품을 순환 시키는 순환식 제품구성 시스템을 시행하고 있다.
제품의 원산지는 개장초기에는 일본제품과 국내제품이 7:3 정도의 비율로 일본제품의 비율을 월등히 높게 유지했으나, 현재 제품의 원산지는 원가 절감상의 이유로 국내제품과 중국제품의 비율을 높게 늘려 국내제품 52%, 중국제품 42%, 기타(일본제품 포함) 6%의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2) 품질의 신뢰성
다이소에 처음 들여오는 제품은 총 4단계의 검증 프로세스를 거친다. 가장 아래 부분에는 해당 카테고리를 담당하는 직원이 있고, 그 위에는 담당 팀장이, 그 위에는 17년 경력의 제품 총괄 상무가, 마지막으로는 2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박정부 회장이 있다. 매달 새롭게 추가되는 제품은 400~500개 정도인데, 이 모든 제품을 박회장이 직접 최종 결정한다.
4단계 검증 프로세스를 거치는 것만으로도 신제품이 실패할 확률은 거의 없다. 하지만 다이소는 자만하지 않고 여기에 하나를 더했다. 바로 소비자의 반응을 지켜보는 것이다. 실제로 담당 직원이 판단하기 어려운 제품의 경우 3~5개의 매장에서 보름간의 테스트 판매를 거친다. 테스트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소비자 반응을 이끌어 낸 제품만 살아남아 다음 단계로 올라간다. 내놓는 제품마다 소비자의 뜨거운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이런 노력이 있기 때문이다.
(2) Price
1) 원가 절감
먼저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은 1000원이라는 가격을 맞추는 비결이다. 유리컵 제조업체인 A사가 개당 1100원짜리 제품을 만들어 납품을 의뢰하는 상황을 생각해보자. 보통의 유통업체들은 제조업체가 제시한 가격에 이윤을 더해 판매 가격을 정한다. 하지만 다이소에서는 판매가가 이미 1000원으로 정해져 있다. 제조업체가 제시하는 가격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는 이유이다. 다이소는 A사에게 개당 500원으로 맞춰오라는 주문을 한다.
다이소의 요구를 들은 A사는 “말도 안 되는 소리”라며 펄쩍 뛴다. 제품 원가가 1000원이 넘는데 무슨 수로 500원짜리 제품을 만드냐며 화를 낸다. 방법을 찾기 위해 다이소는 직접 제조공장으로 찾아간다.
“당신네 공장은 현재 가동률이 80% 정도인 것 같군요. 어차피 비싼 돈 주고 산 설비인 만큼 가동률은 높을수록 좋을 거요. 남는 20%로 우리 제품을 만드시오. 대신 우리 제품 원가에는 직접비(재료비, 노동자 인건비 등 제품을 만드는 데 직접적으로 들어가는 비용)만 계산하는 거요.”
A사는 ‘그런 계산이면 제품 원가를 800원까지는 낮출 수 있겠네’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여전히 500원을 맞추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 때 다이소로부터 또 하나의 매력적인 제안이 들어온다.
“그 대신 남들이 1만 개 주문할 때 우리는 10만 개를 주문하겠소. 그것도 몽땅 현금으로. 앞으로 차차 알게 되겠지만, 우리는 결코 어음거래를 하지 않소. 한일맨파워를 통해 일본 다이소와 한국 다이소 모두에 제품을 동시 공급할 테니, 그렇게 알고 10만 개를 다음 달까지 납품해 주시오.”
500원에 10만 개면… 5000만원이다. 그것도 한 방에 현금 거래로. A사와 같은 중소 제조업체에게 이런 거래는 흔치 않다. 안 그래도 현금 유동성이 딸리는 A사의 사장은 조금 흔들린다. 하지만 그렇다고 모든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니다. 여전히 500원이라는 가격은 팔수록 밑진다. 잠시 망설인다. 이 때, 다이소의 박회장은 또 다른 제안을 한다.
“당신이 뭘 고민하는지 우린 잘 알고 있소. 제품을 좀 봅시다. 가격을 낮추는 세 번째 비결을 알려드리지요.”
A사 사장이 가져온 크리스탈 컵을 보며 박회장은 이렇게 말한다.
“우리는 제품의 본질적인 기능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일단 소비자들이 집에 가져가자마자 바로 버리는 포장을 없애주세요. 중요한 건 제품 그 자체입니다. 또 여기 표면에 무늬가 많이 들어가 있는데, 이런 부분도 제거해 주세요. 물론 그렇다고 디자인을 무시하는 건 아닙니다. 단지 과도하게 들어간 장식을 제거하라는 말이지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같은 유리라도 좀 더 단단하면서 싼 재료가 있다면 그걸로 바꿔주세요. 크리스탈 잔을 사는 소비자들이 기대하는 것은 결국 예쁘면서도 잘 깨지지 않는 제품이니까.”
A사 사장은 결국 흔쾌히 제안을 수락한다. 박회장이 가르쳐준 대로라면 제품 단가를 450원까지 낮출 수 있다. 이제 남은 것은 제시간 내에 제품을 만드는 것뿐이다. A사 사장은 계약서에 서명한 후 바쁘게 공장으로 뛰어간다.
이렇게 다이소는 저가의 상품 구매를 위해 직접 제조사를 방문하여 20년간의 노하우를 통해 알게 된 원가 절감 방안을 제안한다. 공장 가동률을 올리기 위한 대량 주문, 포장과 과도한 장식 제거, 원재료의 교체 등을 통해 제품이 다이소에서 판매될 수 있을 만큼 저렴하게 제작되도록 한다.
2) 저렴한 가격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이소는 제조사와 함께 머리를 맞대고 원가 절감에 대해 계속해서 노력을 하고, 그로인해 2만 5천여 제품의 가격대가 1,000원짜리가 60%로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1,500원짜리 3~4%, 2,000원짜리 30%, 3,000원짜리 7~8%로 구성되어 질 수 있게 된다.
‘1,000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