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육과학
A. 이론적교육과학
B. 교육의 역사기술학
(2) 교육의 철학
A. 이론적교육과학
B. 교육의 역사기술학
(2) 교육의 철학
본문내용
해 지각되어 있는 모든 과제들을 준수할 수 있는가? 물론 아니다. 그런 까닭에 브레진카는 자신의 학문계획안을 확대해야만 한다. 일관되게 그는 분석철학과 일치되게 (1)교육과학에 (2)교육의 철학과 (3)실천적 교육학을 보충하였다. 그 다음에 그는 세부적으로 넓은 의미에서의 교육과학을 a.이론적 교육과학과 b.교육의 역사기술학으로 분절한다. 교육의 역사기술학은 전반적으로 이론적 교육과학의 원리들에 따라 기초가 잡힌다. 교육의 철학의 영역은 마찬가지로 c.교육적 진술들의 인식론과 d.도덕철학으로 세분된다. 그 다음에 실천적 교육학(교사론, 학교경영론 등)은 e.“실천적 기술론”의 구상안을 재수용하면서 전개시킨다.』-교육과학의 영역으로 5개 영역을 설명함.
※ 교육과학
1. 교육과학: 이론적 교육과학, 교육의 역사기술학
2. 교육철학: 교육적 진술들의 인식론, 도덕철학
3. 실천적 교육학: 실천적 기술론
(1) 교육과학
『“곧 교육 목표들의 성취를 위한 조건들의 탐구. 교육과학은 단지 사실들만을 기술하는 학문이 아니라, 오히려 하나의 목적론적이고 인과적-분석(위해서 수반하는)적으로 방향을 갖춘 학문이다”』→ 목적달성을 위한 학문이다!
『이로부터 따라나오는 것은“....교육과학의 대상은 현실이 지닌 교육적으로 중요한 여러 측면들이라는 점이다.······‘교육과학’으로 표시되는 진술의 체계들은, 결국! 상호(공동)주관적으로 검증 가능한 것들인 현실 영역(객관 영역)에 관한 명제들 속에서 ‘교육’에 정보를 제공하는 체계들이다”』
- ‘교육’: 교육관련 종사자, 학생, 학부모, 선생님 등.
A. 이론적교육과학
『이론적 교육과학은, 브레진카에게 있어서 종종 단지 교육과학이라고만 표시되는데, 법칙적인 지식의 획득을 목표로 삼는다.·······포퍼와 알베르트에 연결해서 그 다음에는 이론들의 획득이 학문적 연구의 과제로서 표시된다. 하나의 이론(이론적 법칙들의 집합)이라는 말로 이해되는 것은, “논리적으로 서로 결합된 법칙적 가설들의 전체인데, 그 가설들은 이러한 영역의 현상들의 거동(변동)을 설명(과거)하고 예측(미래)하기 위해 이끌어내야만 하는 것들이다”·······학문적인 진술들로서 그것들은 그 다음에 상호 주관적으로 검증 가능해야 마땅하다. 이론적 진술들을 귀납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고 믿는 고전적 실증주의와는 구분된 채 브레진카는 포퍼의 반증의 원리를 떠맡는다.』
· 반증의 원리 사례
“모든 백조들은 희다”라는 명제는 “희지 않은 백조들은 없다”라는 식으로 정식화될 수 있다. 그렇다면 언젠가 하나의 검은 백조가 목격된다면, 그것에 의거해 “있다-명제”가, 이른바 “검은 백조들이 있다”(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은 백조들이 있다!)가 정신화될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인 “없다-명제”를 반박 내지 반증하는 기초 명제이다. 그 경우에 귀납 추리를 통해 하나의 득수한 명제로부터 일반 명제의 허위가 추론된다.
1) 이론적 교육 과학의 인식 획득
* 법칙 : 일반 명제(전칭명제, 보편명제)
- 시간적 공간적으로 보편타당성을 지닌 일반 명제.
예) 모든 성대 교육 대학원생들은 열심히 공부한다. - 확률적(개연적) 법칙
→일반명제 조건 갖춤, 그러나 시간 공간적 보편타당성 조건을 갖추지 못함.
예) 모든 위성은 태양 주위를 공존한다. (일반명제)
→시간 공간적 보편타당성 조건을 갖춤
⇒100% 참 : 법칙
예) 모든 순수한 물은 (1기압에서)100°C에서 끓는다.
타당해짐
* 전칭명제는 가언적-조건적 명제로 바꿀 수 있다.
- 어떤 것이 위성(순수한 물)이면 그것을 ~공전할(~끓을) 것이다.
if~ , ---------(가정법)
『그 다음에 브레진카는, 전통적인 교육적 언어가 지닌 성격,
※ 교육과학
1. 교육과학: 이론적 교육과학, 교육의 역사기술학
2. 교육철학: 교육적 진술들의 인식론, 도덕철학
3. 실천적 교육학: 실천적 기술론
(1) 교육과학
『“곧 교육 목표들의 성취를 위한 조건들의 탐구. 교육과학은 단지 사실들만을 기술하는 학문이 아니라, 오히려 하나의 목적론적이고 인과적-분석(위해서 수반하는)적으로 방향을 갖춘 학문이다”』→ 목적달성을 위한 학문이다!
『이로부터 따라나오는 것은“....교육과학의 대상은 현실이 지닌 교육적으로 중요한 여러 측면들이라는 점이다.······‘교육과학’으로 표시되는 진술의 체계들은, 결국! 상호(공동)주관적으로 검증 가능한 것들인 현실 영역(객관 영역)에 관한 명제들 속에서 ‘교육’에 정보를 제공하는 체계들이다”』
- ‘교육’: 교육관련 종사자, 학생, 학부모, 선생님 등.
A. 이론적교육과학
『이론적 교육과학은, 브레진카에게 있어서 종종 단지 교육과학이라고만 표시되는데, 법칙적인 지식의 획득을 목표로 삼는다.·······포퍼와 알베르트에 연결해서 그 다음에는 이론들의 획득이 학문적 연구의 과제로서 표시된다. 하나의 이론(이론적 법칙들의 집합)이라는 말로 이해되는 것은, “논리적으로 서로 결합된 법칙적 가설들의 전체인데, 그 가설들은 이러한 영역의 현상들의 거동(변동)을 설명(과거)하고 예측(미래)하기 위해 이끌어내야만 하는 것들이다”·······학문적인 진술들로서 그것들은 그 다음에 상호 주관적으로 검증 가능해야 마땅하다. 이론적 진술들을 귀납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고 믿는 고전적 실증주의와는 구분된 채 브레진카는 포퍼의 반증의 원리를 떠맡는다.』
· 반증의 원리 사례
“모든 백조들은 희다”라는 명제는 “희지 않은 백조들은 없다”라는 식으로 정식화될 수 있다. 그렇다면 언젠가 하나의 검은 백조가 목격된다면, 그것에 의거해 “있다-명제”가, 이른바 “검은 백조들이 있다”(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은 백조들이 있다!)가 정신화될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인 “없다-명제”를 반박 내지 반증하는 기초 명제이다. 그 경우에 귀납 추리를 통해 하나의 득수한 명제로부터 일반 명제의 허위가 추론된다.
1) 이론적 교육 과학의 인식 획득
* 법칙 : 일반 명제(전칭명제, 보편명제)
- 시간적 공간적으로 보편타당성을 지닌 일반 명제.
예) 모든 성대 교육 대학원생들은 열심히 공부한다. - 확률적(개연적) 법칙
→일반명제 조건 갖춤, 그러나 시간 공간적 보편타당성 조건을 갖추지 못함.
예) 모든 위성은 태양 주위를 공존한다. (일반명제)
→시간 공간적 보편타당성 조건을 갖춤
⇒100% 참 : 법칙
예) 모든 순수한 물은 (1기압에서)100°C에서 끓는다.
타당해짐
* 전칭명제는 가언적-조건적 명제로 바꿀 수 있다.
- 어떤 것이 위성(순수한 물)이면 그것을 ~공전할(~끓을) 것이다.
if~ , ---------(가정법)
『그 다음에 브레진카는, 전통적인 교육적 언어가 지닌 성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