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가덕도란?
가덕도의 특성.
-가덕도 등대
-가덕도 척화비
-가덕도의 숭어축제
-거제도와의 연결다리(거가대교)
가덕도지역의 발전계획.
결론
가덕도란?
가덕도의 특성.
-가덕도 등대
-가덕도 척화비
-가덕도의 숭어축제
-거제도와의 연결다리(거가대교)
가덕도지역의 발전계획.
결론
본문내용
녹산산단 내 선착장에서 행사장인 대항 선착장으로 가는 배를 타면 되는데 배편 문의는 ☎(055) 552-7665로 하면 된다. 한편 이 지역에는 민박집 이외에는 숙박시설이 없으며 모텔을 이용하려면 인근 명지동으로 나와야 한다.
- 거제도와의 연결다리 (거가대교)
부산강서구 가덕도와 경남 거제시 장목면을 잇는 총연장 8.2km의 거가대교는 바다위 사장교 2곳 4.5km와 해저 침매터널 (가덕도~대죽도)3.7km를 잇는 대역사다. 2010년 완공 예정으로 11월 말 현재 공정률은 51%다.
우리나라 최초로 기록될 부산~거제 바다터널 공사가 지난 2월 시작됐다. 거제~가덕도 연결도로(거가대교) 시공사인 대우건설은 지난달 거가대교 구간 중 부산 강서구 가덕도와 대죽도 간 3.7㎞ 침매(沈埋)터널용 첫 함체(函體)를 가덕도 앞바다 수심 15m 바다 밑바닥에 투하해 설치했다. 해저터널과 달리 함체를 가라앉혀 연결하는 침매터널은 전 세계에 120여 곳이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거가대교가 처음이다. 대우건설은 함체 투하에 앞서 지난 수개월 동안 고난도 수중작업을 통해 함체가 놓일 자리의 평탄화 작업을 벌였으며, 이날 함체 침설작업에서 한치의 오차도 없이 함체를 제자리에 투하하는 데 성공했다.
침매터널용 함체는 길이 180m, 높이 10m, 폭 26.5m (왕복 4차로) 크기에다 무게만 4만7000t에 달하는 초대형 콘크리트 구조물로, 수심 50m의 수압과 규모 8.0의 지진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됐다. 가덕도와 대죽도 간 바다 밑 터널 공사에는 모두 18개 함체가 투하될 예정이다. 대우건설은 첫 투하에 성공한 함체를 비롯해 5월까지 3개 함체를 매월 1개씩 추가 투하한 뒤 2010년 초까지 봄, 가을에 번갈아가며 나머지 14개 함체를 함체 제작장인 경남 통영시 안정에서 공사현장으로 이송해 투하할 계획이다. 대우건설은 초대형 함체수송에 적합한 기상 조건을 갖춘 날을 찾기 위해 지난 50년간의 진해 앞바다의 기상을 정밀 분석하는 한편 날씨에 따른 시뮬레이션까지 실시했다. 거제~부산 연결도로 공사는 거제~대죽도 구간 사장교(4.5㎞), 대죽도~가덕도 침매터널(3.7㎞)을 건설하는 대역사로, 사업비 2조6000억원이 투입돼 2010년 말께 완공될 예정이다.
가덕도지역의 발전계획.
□ 2008년도 가덕도 발전계획
1. 부산신항만 개발
접안시설부두(9.95㎞) 30선석, 항만부지 338만평 건설 (2011년)
총 9조1,542억원투입 (정부 4조1,739억, 민자 4조 9,803억원)
▷ 2006년까지 6개 선석 개장(3월 3선석, 12월 3선석)
▷ ´07년계획 : 4선석 추가개장, 남‘컨’ 7선석 공사착공
2. 도로망 구축
광역도로 건설 : 4개 노선 21.3㎞
▷ 녹산~생곡도로확장(‘07), 명지대교(‘09), 가덕대교(’09), 제도선 확장(‘15)
지역연결 도로망 구축 : 3개노선 35.4㎞
▷ 부산~거제간 도로(‘10), 김해부원~가락(‘09), 부산~김해 경량전철(’10)
장항 ~ 천성간 교통시설물 정비 : L=5.2㎞,
3. 대항 진료소 신축 - 연면적 116㎡ 152백만원
4. 가덕도 해양관광 휴양지 개발
기 간 : ´07 ~ ´10년 → 남해안 관광벨트 사업과 연계추진
주요시설 : 항만배후시설, 크루즈, 워터프런트 → 휴양레저시설
추진사항 : 부산권 관광개발계획 용역(가덕지구)완료
※ 가덕도 장기종합개발 계획 용역완료(‘07 4월)
5. 가덕도 숭어들이 축제 개최 (4월)
6. 2007년 가덕도 투자사업
시ㆍ국가 시행사업
사 업 명
사 업 개 요
사업
기간
사 업 비
비 고
총사업비
기투자
´07투자
가덕대교
건설공사
도로개설
L=1.2km,B=35m
03~09년
1,194
590
282
건설본부
교량3담당
천성~눌차간
도로건설
도로개설
L=7km,B=20m
04~10년
2,631
337
377
건설본부
도로3담당
부산~거제
연결도로 건설
L=8.2㎞,교량6
B=4~6차로
01~10년
21,895
7,620
4,426
GK해상도로
주식회사
[단위 : 억원]
부산 강서구청이 가덕도를 4개 지구로 나눠 개발하는 \'가덕도 장기발전계획\'을 내놓았으나 2조 원에 달하는 재원 조달과 눌차만 매립 등의 문제가 남아 있어 \'장밋빛 청사진\'에 불과한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부산 강서구청은 2020년까지 국제교류·관광·레저·휴양 중심의 미래형 도시로 가덕도를 개발하기 위해 24일 오후 3시 구청 7층 대회의실에서 \'가덕도 장기발전계획수립용역 최종 보고회\'를 갖는다.
보고회에 앞서 23일 공개된 장기발전계획 자료에 따르면 가덕도를 4개 지구로 나눠 눌차만과 성북·동선 지역의 눌차지구는 신항과 해양관광지를 배후 지원하는 맞춤형 주거단지로, 천성·대항 지역의 가덕유원지구는 체험형 해양테마파크, 어촌체험시설, 산지 활용형 관광시설로 개발된다. 외양포 지역의 대항 도시자연공원은 해양전쟁사 박물관과 문화체험 시설이 들어서고 동쪽 산지부인 도시자연공원지구는 최대한 생태를 보존하고 탐방로 정비, 케이블카 설치 등이 계획돼 있다.
이 계획의 관건은 2020년까지 총 소요 사업비 2조 원을 조달할 수 있을지 여부다. 구청은 민자 유치와 함께 국비와 지방비 지원을 받아 순차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지만 일선 구청에서 수조 원대의 사업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이 많다.
또 40여만 평 눌차만 매립이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에 반영이 돼 있지 않다는 점과 매립을 반대하는 환경단체의 반발도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습지와 새들의 친구\' 김경철 사무국장은 \"매립으로 눌차만이 개발되면 인접한 진우도와 녹산 갯벌 쪽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고 생태계 파괴는 필연적\"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강서구청 관계자는 \"눌차만 매립을 통해 가덕도를 개발하는 것은 구청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며 \"다음달 눌차만 매립을 위해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 변경을 요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결론.
어디를 선정해야 할지 보다 한번에 생각이 떠올랐다.
내가 사는곳 거제도... 거기와 연결되는 부산의 한곳...,처음에는 어느곳인지는 몰랐지만 조사하고 확인해보니 가덕도라는 부산의 한 섬이었다.
고등학교
- 거제도와의 연결다리 (거가대교)
부산강서구 가덕도와 경남 거제시 장목면을 잇는 총연장 8.2km의 거가대교는 바다위 사장교 2곳 4.5km와 해저 침매터널 (가덕도~대죽도)3.7km를 잇는 대역사다. 2010년 완공 예정으로 11월 말 현재 공정률은 51%다.
우리나라 최초로 기록될 부산~거제 바다터널 공사가 지난 2월 시작됐다. 거제~가덕도 연결도로(거가대교) 시공사인 대우건설은 지난달 거가대교 구간 중 부산 강서구 가덕도와 대죽도 간 3.7㎞ 침매(沈埋)터널용 첫 함체(函體)를 가덕도 앞바다 수심 15m 바다 밑바닥에 투하해 설치했다. 해저터널과 달리 함체를 가라앉혀 연결하는 침매터널은 전 세계에 120여 곳이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거가대교가 처음이다. 대우건설은 함체 투하에 앞서 지난 수개월 동안 고난도 수중작업을 통해 함체가 놓일 자리의 평탄화 작업을 벌였으며, 이날 함체 침설작업에서 한치의 오차도 없이 함체를 제자리에 투하하는 데 성공했다.
침매터널용 함체는 길이 180m, 높이 10m, 폭 26.5m (왕복 4차로) 크기에다 무게만 4만7000t에 달하는 초대형 콘크리트 구조물로, 수심 50m의 수압과 규모 8.0의 지진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됐다. 가덕도와 대죽도 간 바다 밑 터널 공사에는 모두 18개 함체가 투하될 예정이다. 대우건설은 첫 투하에 성공한 함체를 비롯해 5월까지 3개 함체를 매월 1개씩 추가 투하한 뒤 2010년 초까지 봄, 가을에 번갈아가며 나머지 14개 함체를 함체 제작장인 경남 통영시 안정에서 공사현장으로 이송해 투하할 계획이다. 대우건설은 초대형 함체수송에 적합한 기상 조건을 갖춘 날을 찾기 위해 지난 50년간의 진해 앞바다의 기상을 정밀 분석하는 한편 날씨에 따른 시뮬레이션까지 실시했다. 거제~부산 연결도로 공사는 거제~대죽도 구간 사장교(4.5㎞), 대죽도~가덕도 침매터널(3.7㎞)을 건설하는 대역사로, 사업비 2조6000억원이 투입돼 2010년 말께 완공될 예정이다.
가덕도지역의 발전계획.
□ 2008년도 가덕도 발전계획
1. 부산신항만 개발
접안시설부두(9.95㎞) 30선석, 항만부지 338만평 건설 (2011년)
총 9조1,542억원투입 (정부 4조1,739억, 민자 4조 9,803억원)
▷ 2006년까지 6개 선석 개장(3월 3선석, 12월 3선석)
▷ ´07년계획 : 4선석 추가개장, 남‘컨’ 7선석 공사착공
2. 도로망 구축
광역도로 건설 : 4개 노선 21.3㎞
▷ 녹산~생곡도로확장(‘07), 명지대교(‘09), 가덕대교(’09), 제도선 확장(‘15)
지역연결 도로망 구축 : 3개노선 35.4㎞
▷ 부산~거제간 도로(‘10), 김해부원~가락(‘09), 부산~김해 경량전철(’10)
장항 ~ 천성간 교통시설물 정비 : L=5.2㎞,
3. 대항 진료소 신축 - 연면적 116㎡ 152백만원
4. 가덕도 해양관광 휴양지 개발
기 간 : ´07 ~ ´10년 → 남해안 관광벨트 사업과 연계추진
주요시설 : 항만배후시설, 크루즈, 워터프런트 → 휴양레저시설
추진사항 : 부산권 관광개발계획 용역(가덕지구)완료
※ 가덕도 장기종합개발 계획 용역완료(‘07 4월)
5. 가덕도 숭어들이 축제 개최 (4월)
6. 2007년 가덕도 투자사업
시ㆍ국가 시행사업
사 업 명
사 업 개 요
사업
기간
사 업 비
비 고
총사업비
기투자
´07투자
가덕대교
건설공사
도로개설
L=1.2km,B=35m
03~09년
1,194
590
282
건설본부
교량3담당
천성~눌차간
도로건설
도로개설
L=7km,B=20m
04~10년
2,631
337
377
건설본부
도로3담당
부산~거제
연결도로 건설
L=8.2㎞,교량6
B=4~6차로
01~10년
21,895
7,620
4,426
GK해상도로
주식회사
[단위 : 억원]
부산 강서구청이 가덕도를 4개 지구로 나눠 개발하는 \'가덕도 장기발전계획\'을 내놓았으나 2조 원에 달하는 재원 조달과 눌차만 매립 등의 문제가 남아 있어 \'장밋빛 청사진\'에 불과한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부산 강서구청은 2020년까지 국제교류·관광·레저·휴양 중심의 미래형 도시로 가덕도를 개발하기 위해 24일 오후 3시 구청 7층 대회의실에서 \'가덕도 장기발전계획수립용역 최종 보고회\'를 갖는다.
보고회에 앞서 23일 공개된 장기발전계획 자료에 따르면 가덕도를 4개 지구로 나눠 눌차만과 성북·동선 지역의 눌차지구는 신항과 해양관광지를 배후 지원하는 맞춤형 주거단지로, 천성·대항 지역의 가덕유원지구는 체험형 해양테마파크, 어촌체험시설, 산지 활용형 관광시설로 개발된다. 외양포 지역의 대항 도시자연공원은 해양전쟁사 박물관과 문화체험 시설이 들어서고 동쪽 산지부인 도시자연공원지구는 최대한 생태를 보존하고 탐방로 정비, 케이블카 설치 등이 계획돼 있다.
이 계획의 관건은 2020년까지 총 소요 사업비 2조 원을 조달할 수 있을지 여부다. 구청은 민자 유치와 함께 국비와 지방비 지원을 받아 순차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지만 일선 구청에서 수조 원대의 사업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이 많다.
또 40여만 평 눌차만 매립이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에 반영이 돼 있지 않다는 점과 매립을 반대하는 환경단체의 반발도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습지와 새들의 친구\' 김경철 사무국장은 \"매립으로 눌차만이 개발되면 인접한 진우도와 녹산 갯벌 쪽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고 생태계 파괴는 필연적\"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강서구청 관계자는 \"눌차만 매립을 통해 가덕도를 개발하는 것은 구청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며 \"다음달 눌차만 매립을 위해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 변경을 요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결론.
어디를 선정해야 할지 보다 한번에 생각이 떠올랐다.
내가 사는곳 거제도... 거기와 연결되는 부산의 한곳...,처음에는 어느곳인지는 몰랐지만 조사하고 확인해보니 가덕도라는 부산의 한 섬이었다.
고등학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