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CASE STUDY *
1. 대상자의 건강력
1) 입원동기
2) 주호소
3) 가족력
2.대상자의 건강양식
[ 교 환 ]
① 순환
② 심장
③ 신체 통합성
④ 산소공급
3.신체검사
4.진단검사(임상병리검사 및 특수검사)
1) 일반 혈액 검사
5. 약물
6. 간호진단
#1. 천루술 및 혈종배액술과 관련된 통증
#2. 대상자의 안전 지식부족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7. 문헌고찰 - SDH (subdural hematoma, 경막하 혈종)
1. 대상자의 건강력
1) 입원동기
2) 주호소
3) 가족력
2.대상자의 건강양식
[ 교 환 ]
① 순환
② 심장
③ 신체 통합성
④ 산소공급
3.신체검사
4.진단검사(임상병리검사 및 특수검사)
1) 일반 혈액 검사
5. 약물
6. 간호진단
#1. 천루술 및 혈종배액술과 관련된 통증
#2. 대상자의 안전 지식부족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7. 문헌고찰 - SDH (subdural hematoma, 경막하 혈종)
본문내용
20mg
*효능: 임신성 고혈압을 포함한 응급성고혈압, 급성심근경색에 의한 고혈압, 마취 시의 혈압강하
*용법/용량: 50mg을 1분 이상에 걸쳐 정맥주사함. 최대 200mg까지 투여가능.
*금기: 이 약의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중증의 장기 저혈압 환자, 서맥, 고혈압에 의한 우심부전 환자, 급성 심근경색 및 고혈압 환자, 당뇨병환자, 기관지 천식 등
*부작용: 정신신경계(현기증, 두통), 과민증(발진), 소회기계(오심, 구토), 순환기계(기립성 저혈압), 호흡기계(비충혈, 코막힘), 근골격계(때때로 관절염 등), 기타(피로, 권태감)
9)Nimodipine 5cc
*효능: 동맥류성 지주막하출혈후의 뇌혈관 경련에 의한 허혈성 신경장애의 예방 및 치료
*용법/용량: 점적 정맥주사→시간당 1mg(5㎖)(체중 kg당 15㎍)으로 시작하여 2시간 이상 투여함. 내성이 좋고 특히 현저한 혈압강하가 일어나지 않는 한 2시간 이후부터 시간당 2㎎(10㎖)(체중 kg당 30㎍)으로 증량할 수 있음.
*금기: 이 약 및 약의 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환자.
*부작용: 소화기계(때때로 구역이 발생), 중추신경계(두통), 순환기계(저혈압, 서맥), 면역기계(때때로 발진)
10)Naloxone 6㎎
*효능: 뇌졸중, 뇌출혈로 인한 허혈성 뇌신경 장해, 뇌척수 좌상, 안면마비 및 사지 마비.
*용법/용량: 초회량 0.4~4.0㎎을 정맥주사 후 1일 4~8㎎을 5% 포도당 주사액 또는 생리식염수 1000㎖에 혼합하여 서서히 정맥주사
*금기: 이 약의 과민증 환자
*부작용: 구역, 구토, 발한, 저혈압, 폐부종, 드물게 경련 등.
11)Botropase
*효능: 출혈 및 1차, 2차 출혈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
*용법/용량: 성인 1일 1~2KU, 소아 1일 0.3~1KU 정주 혹은 근주
*금기: 이 약과 구성 성분에 과민 반응 환자, 혈전증색전증 환자, 혈관내 산재된 응고 증후 환자, 트롬빈을 투여중인 환자
*부작용: 드물게 쇽을 일으킬수 있음, 과민반응(가려움증, 발진, 두드러기), 주사부위(발진, 가려움증)
6. 간호진단
#1.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사정할 수 없음.
-객관적 자료: 18일 아침 seizure있은 후, 의식이 저하되고
◇목표
-궁극적 목표: 호흡을 힘이 들지 않게 정상적으로 하며, 호흡곤란을 호소하지 않는다.
-세부적 목표: 객담의 양과 농도가 감소한다.
◇계획 및 수행
-대상자의 호흡수, 호흡음, 호흡 깊이, 호흡곤란의 호소 여부, SPO₂정도를 계속적으로 사정한다.
-객담의 농도와 양을 관찰하여 그 양상을 사정한다.
-기관지 확장제(Ventolin)를 사용하여 폐의 확장을 돕는다.
-객담용해제(Muteran)를 사용하여 객담의 양과 농도를 줄인다.
-필요시에 대상자에게 산소를 공급(1L/min)한다.
-객담이 나올 경우, 삼키지 않고 뱉어낼 수 있도록 대상자에게 교육한다.
-호흡 곤란 호소 시, 숨을 깊게 들이쉬고 내쉬게 한다.
-누워있을 때 호흡곤란이 있을 경우, 머리 쪽의 침상을 약간 들어 호흡에 좋은 position을 취하게 한다.
◇평가
-가래가 아직은 나오나, 그 양과 농도가 줄었다(5/4; 가래가 계속 나온다고 호소→5/8; 가래가 많이 줄었다고 말하심 & 5/1; 가래가 시큼하고 노란색→5/8; 가래의 노란색이 옅어졌고 시큼한 맛이 없어졌다고 하심).
-호흡곤란의 호소가 많이 줄었다(5/4오전중; ventolin의 D/C, 5/4오후중~5/8일; 산소투여 일시적인 중지).
[추가 진단 목록]
#2.객담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 불능
#3.기구 삽입으로 인한 감염 위험성
*효능: 임신성 고혈압을 포함한 응급성고혈압, 급성심근경색에 의한 고혈압, 마취 시의 혈압강하
*용법/용량: 50mg을 1분 이상에 걸쳐 정맥주사함. 최대 200mg까지 투여가능.
*금기: 이 약의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중증의 장기 저혈압 환자, 서맥, 고혈압에 의한 우심부전 환자, 급성 심근경색 및 고혈압 환자, 당뇨병환자, 기관지 천식 등
*부작용: 정신신경계(현기증, 두통), 과민증(발진), 소회기계(오심, 구토), 순환기계(기립성 저혈압), 호흡기계(비충혈, 코막힘), 근골격계(때때로 관절염 등), 기타(피로, 권태감)
9)Nimodipine 5cc
*효능: 동맥류성 지주막하출혈후의 뇌혈관 경련에 의한 허혈성 신경장애의 예방 및 치료
*용법/용량: 점적 정맥주사→시간당 1mg(5㎖)(체중 kg당 15㎍)으로 시작하여 2시간 이상 투여함. 내성이 좋고 특히 현저한 혈압강하가 일어나지 않는 한 2시간 이후부터 시간당 2㎎(10㎖)(체중 kg당 30㎍)으로 증량할 수 있음.
*금기: 이 약 및 약의 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환자.
*부작용: 소화기계(때때로 구역이 발생), 중추신경계(두통), 순환기계(저혈압, 서맥), 면역기계(때때로 발진)
10)Naloxone 6㎎
*효능: 뇌졸중, 뇌출혈로 인한 허혈성 뇌신경 장해, 뇌척수 좌상, 안면마비 및 사지 마비.
*용법/용량: 초회량 0.4~4.0㎎을 정맥주사 후 1일 4~8㎎을 5% 포도당 주사액 또는 생리식염수 1000㎖에 혼합하여 서서히 정맥주사
*금기: 이 약의 과민증 환자
*부작용: 구역, 구토, 발한, 저혈압, 폐부종, 드물게 경련 등.
11)Botropase
*효능: 출혈 및 1차, 2차 출혈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
*용법/용량: 성인 1일 1~2KU, 소아 1일 0.3~1KU 정주 혹은 근주
*금기: 이 약과 구성 성분에 과민 반응 환자, 혈전증색전증 환자, 혈관내 산재된 응고 증후 환자, 트롬빈을 투여중인 환자
*부작용: 드물게 쇽을 일으킬수 있음, 과민반응(가려움증, 발진, 두드러기), 주사부위(발진, 가려움증)
6. 간호진단
#1.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사정할 수 없음.
-객관적 자료: 18일 아침 seizure있은 후, 의식이 저하되고
◇목표
-궁극적 목표: 호흡을 힘이 들지 않게 정상적으로 하며, 호흡곤란을 호소하지 않는다.
-세부적 목표: 객담의 양과 농도가 감소한다.
◇계획 및 수행
-대상자의 호흡수, 호흡음, 호흡 깊이, 호흡곤란의 호소 여부, SPO₂정도를 계속적으로 사정한다.
-객담의 농도와 양을 관찰하여 그 양상을 사정한다.
-기관지 확장제(Ventolin)를 사용하여 폐의 확장을 돕는다.
-객담용해제(Muteran)를 사용하여 객담의 양과 농도를 줄인다.
-필요시에 대상자에게 산소를 공급(1L/min)한다.
-객담이 나올 경우, 삼키지 않고 뱉어낼 수 있도록 대상자에게 교육한다.
-호흡 곤란 호소 시, 숨을 깊게 들이쉬고 내쉬게 한다.
-누워있을 때 호흡곤란이 있을 경우, 머리 쪽의 침상을 약간 들어 호흡에 좋은 position을 취하게 한다.
◇평가
-가래가 아직은 나오나, 그 양과 농도가 줄었다(5/4; 가래가 계속 나온다고 호소→5/8; 가래가 많이 줄었다고 말하심 & 5/1; 가래가 시큼하고 노란색→5/8; 가래의 노란색이 옅어졌고 시큼한 맛이 없어졌다고 하심).
-호흡곤란의 호소가 많이 줄었다(5/4오전중; ventolin의 D/C, 5/4오후중~5/8일; 산소투여 일시적인 중지).
[추가 진단 목록]
#2.객담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 불능
#3.기구 삽입으로 인한 감염 위험성
추천자료
경막하 출혈(두부손상) 케이스 스터디
SAH 지주막하 출혈 case study
성인 간호학 CASE ( 신경외과 케이스 )-T-SDH(Traumatic Subdural Hematoma) 대상자 CASE
[간호학과] NSICU(신경외과중환자실) acute SDH (급성 경막하 혈종・출혈/Acute Su...
지주막하 출혈 case study/지주막하 출혈 간호과정/지주막하 출혈 간호진단/지주막하 출혈 문...
<간호학> 성인간호학 지주막하출혈 케이스
신경외과(뇌출혈)
지주막하출혈CASE
지주막하출혈 case - 지주막하출혈 간호 케이스 연구 및 지주막하출혈 증상과 병태생리 합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