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3D 인식의 원리
3. 3DTV 소개
1) 3DTV란?
2) 3DTV 방송 방식
가) Side-by-Side
나) Top-Bottom
다) Line Interleave
라) Column Interleave
마) Checker board
바) dual stream
3) 3DTV 구현 방식
가) 적청안경방식
나) 편광안경방식
다) 셔터안경방식
라) 렌티큘러방식
마) 시차배리어방식
4. 3DTV 시장의 성장 요인
1) 실감영상에 대한 높은 선호도
2) TV 시장의 기능성 경쟁시대 진입
3) 수익성 개선 효과
4) 영화배급사나 콘텐츠업체들의 적극적 대응
5. 3DTV 관련 동향
1) 전 세계 3DTV 방송 현황
2) 3D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동향
가) 미국
나) 일본
다) 유럽
라) 우리나라
3) 3DTV 시장 현황 및 전망
6. 3DTV 산업의 해결과제
1) 3DTV의 기술적 한계 극복
가) 인체공학적 개선 필요
나) 무안경식 기술 개발
다) 휘도가 낮아지는 단점 개선
2) 다양한 3D 콘텐츠 확보
3)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경험 제공
4) 3D 관련 기술 표준화 작업의 완료
참고자료
2. 3D 인식의 원리
3. 3DTV 소개
1) 3DTV란?
2) 3DTV 방송 방식
가) Side-by-Side
나) Top-Bottom
다) Line Interleave
라) Column Interleave
마) Checker board
바) dual stream
3) 3DTV 구현 방식
가) 적청안경방식
나) 편광안경방식
다) 셔터안경방식
라) 렌티큘러방식
마) 시차배리어방식
4. 3DTV 시장의 성장 요인
1) 실감영상에 대한 높은 선호도
2) TV 시장의 기능성 경쟁시대 진입
3) 수익성 개선 효과
4) 영화배급사나 콘텐츠업체들의 적극적 대응
5. 3DTV 관련 동향
1) 전 세계 3DTV 방송 현황
2) 3D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동향
가) 미국
나) 일본
다) 유럽
라) 우리나라
3) 3DTV 시장 현황 및 전망
6. 3DTV 산업의 해결과제
1) 3DTV의 기술적 한계 극복
가) 인체공학적 개선 필요
나) 무안경식 기술 개발
다) 휘도가 낮아지는 단점 개선
2) 다양한 3D 콘텐츠 확보
3)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경험 제공
4) 3D 관련 기술 표준화 작업의 완료
참고자료
본문내용
이러한 원리를 렌티큘러 시트에 응용하여 상을 입체로 보이게 하는 기술이 렌티큘러(Lenticular)방식이다. 렌티큘러 시트 뒤에 좌안과 우안의 위치를 계산하여 전면에 배치된 렌티큘러 렌즈를 통해 좌/우안 영상을 디스플레이 화소에 분리하여 일정한 깊이를 가지고 있는 입체로 인식하게 만든다. 렌티큘러방식을 이용하면 낮은 비용과 안경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2D와 3D 전환이 불가능하고 3D 해상도가 떨어지며 Lens 부착 기술이 따로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시차배리어방식
시차배리어 방식은 렌티큘러 시트 대신 배리어 플레이트를 이용하는 것으로 기본 원리는 렌티큘러 방식과 동일하다. 배리어 플레이트는 얇은 투명판 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불투명한 줄무늬가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좌/우측 눈이 볼 때 배리어의 투명한 틈을 통해 보이는 디스플레이 픽셀을 분할하여 영상을 다르게 보여주어 입체감을 느끼게 한다.
구현방식
장점
단점
안경방식
적청안경방식
2D에 적용가능
색재현성, 입체감 표현 떨어짐
눈의 피로와 두통을 쉽게 유발
편광안경방식
저비용/ 경량 편광안경
고휘도(2D/3D)
3D 상하 시야각 협소
수직해상도 1/2 저하
Glass 합착 공정 필요
셔텨안경방식
2D/3D 패널 공용 가능
해상도 저하 없음
합착 공정 불필요
고비용 셔터 안경
고속응답속도 필요/시분할 방식
깜빡거림 발생
무안경방식
렌티큘러방식
낮은 비용
2D/3D 전환 불가
렌즈 부착 기술 필요
시차배리어방식
2D/3D 전환 가능
공정 난이도 낮음
3D 휘도 개선 불가
3D 해상도 1/2 저하
Glass 합착 공정 필요
3DTV 시장의 성장 요인
2000년대에는 TV시장이 CRT에서 LCD로 대체되면서 혁명적 변화가 있었다. 전 세계적으로 LCD-TV 교체 수요가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현재 LCD-TV 비중은 연간 TV판매량의 80%에 육박하고 있다. 이후 LCD-TV의 성숙화가 가속되면서, TV세트업체들은 LED라는 새로운 광원을 통해 화질경쟁을 유발하며 지난 2009년에 LED-TV(LED-BLU를 탑재한 LCD-TV)를 출시하여 선풍적 인기를 끌면서 시장 성장을 견인하였다. 그러나 앞으로는 TV시장이 화질경쟁에서 벗어나 기능성 경쟁 시대로 진입할 것으로 보이며, 다음과 같은 이유로 3DTV가 TV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실감영상에 대한 높은 선호도
인간은 평면영상이 아닌 입체감이 부여된 실감영상을 보고자 하는 욕망을 오랜 시간 꿈꾸어왔다. 실감영상의 초기에 해당되는 3D 디스플레이가 이미 150년 전부터 시도되었으며, 인간은 80% 이상의 정보를 눈을 통해서 얻기 때문에 3D로 구현되는 실감영상에 더욱 더 집착하게 되었다. 인간은 대부분의 정보를 두 눈을 통해 얻고 있기 때문에 실감영상을 보게 되면 더욱 더 잘 기억하고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3D 디스플레이는 방송용뿐만 아니라 교육용이나 게임용, 영화용 등에 적용될 경우 더욱 매력적인 매체가 될 수 있다.
TV 시장의 기능성 경쟁시대 진입
LCD-TV 세트시장은 ‘08년 이후 LED라는 새로운 광원을 탑재하여 화질경쟁과 디자인경쟁을 진행해 왔다. 그러나 현재는 1㎝도 되지 않는 매우 얇은 두께의 LED-TV가 출시되고 있어 더 이상의 화질경쟁이나 디자인경쟁은 큰 의미가 없어 보인다. 따라서 앞으로는 TV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해서 소비자를 유혹하고자 3DTV를 출시하여 기능성 경쟁시대로 진입할 전망이다. 실감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시각적 만족도를 극대화시키겠다는 전략이다. 사실, 그 동안 TV 세트업체들이 3D 기능을 부여하지 못한 것은 기술적 어려움이라기보다는 상업성과 시장 인프라 형성 여부 등에 기인한 것이며, 프리미엄급 시장에서 충분히 합리적인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는 3DTV가 소비자의 호응도 향상과 시장인프라 형성 등으로 2010년 이후부터는 충분히 상업성을 가지며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수익성 개선 효과
기존 LED-TV의 경우 2010년을 정점으로 범용제품이 되면서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TV세트업체들이 ASP를 유지하고 개선시키기 위해 프리미엄급 제품으로 3DTV를 주목하고 공격적으로 신규모델을 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TV세트업체 입장에서는 3D 기능을 부가하는데 올라가는 원가는 그다지 높지 않은 반면, 판매가격은 상대적으로 훨씬 높게 책정할 수 있기 때문에 수익성 개선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영화배급사나 콘텐츠업체들의 적극적 대응
영화배급사나 콘텐츠업체들이 3D 영상화에 적극적인 이유는 3D 영화는 복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영화 수익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아직까지 3D 영상을 불법으로 촬영할 수 있는 캠코더나 카메라가 보편적이지 않아 불법 복제가 불가능하며, 일반 비디오카메라로 3D 영화를 촬영하면 화면을 정상적으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해적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영화배급사나 콘텐츠업체들이 3D 디스플레이 시장 성장에 더욱 더 적극적인 점도 3DTV 시장 성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3DTV 관련 동향
전 세계 3DTV 방송 현황
3D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동향
최근 디스플레이 기술 선진국에서는 많은 투자와 연구 수행으로 차세대 영상매체, 방송통신, 게임, 의료 등 광범위한 응용분야를 가진 3D 디스플레이에 관한 기술 및 시스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3D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핵심기술 연구개발 동향은 미국, 일본, 유럽을 중심으로 기술선점을 위해 각각 독립적인 형태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미국
미국에서는 이미 ARPA(Advanced Visual Display System) 연구과제의 하나인 ‘3D 입체영상 및 그래픽 디스플레이 기술개발’을 비롯하여 NASA, AT&T, MIT 대학 등을 중심으로 항공 우주, 방송통신, 국방, 의료 등의 응용을 목적으로 ‘실감 3차원 다중매체’ 개발이 추진 중에 있다. 이미 IBM은 DLP 기반 저가용 프로젝션 3DTV를 개발하였고, 2006년도부터는 Indight Media사와 미국 디스플레이 컨소시움(US Display consortium)의 공동 주최로 ‘3D BIZ-EX\'이라는 워크
시차배리어방식
시차배리어 방식은 렌티큘러 시트 대신 배리어 플레이트를 이용하는 것으로 기본 원리는 렌티큘러 방식과 동일하다. 배리어 플레이트는 얇은 투명판 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불투명한 줄무늬가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좌/우측 눈이 볼 때 배리어의 투명한 틈을 통해 보이는 디스플레이 픽셀을 분할하여 영상을 다르게 보여주어 입체감을 느끼게 한다.
구현방식
장점
단점
안경방식
적청안경방식
2D에 적용가능
색재현성, 입체감 표현 떨어짐
눈의 피로와 두통을 쉽게 유발
편광안경방식
저비용/ 경량 편광안경
고휘도(2D/3D)
3D 상하 시야각 협소
수직해상도 1/2 저하
Glass 합착 공정 필요
셔텨안경방식
2D/3D 패널 공용 가능
해상도 저하 없음
합착 공정 불필요
고비용 셔터 안경
고속응답속도 필요/시분할 방식
깜빡거림 발생
무안경방식
렌티큘러방식
낮은 비용
2D/3D 전환 불가
렌즈 부착 기술 필요
시차배리어방식
2D/3D 전환 가능
공정 난이도 낮음
3D 휘도 개선 불가
3D 해상도 1/2 저하
Glass 합착 공정 필요
3DTV 시장의 성장 요인
2000년대에는 TV시장이 CRT에서 LCD로 대체되면서 혁명적 변화가 있었다. 전 세계적으로 LCD-TV 교체 수요가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현재 LCD-TV 비중은 연간 TV판매량의 80%에 육박하고 있다. 이후 LCD-TV의 성숙화가 가속되면서, TV세트업체들은 LED라는 새로운 광원을 통해 화질경쟁을 유발하며 지난 2009년에 LED-TV(LED-BLU를 탑재한 LCD-TV)를 출시하여 선풍적 인기를 끌면서 시장 성장을 견인하였다. 그러나 앞으로는 TV시장이 화질경쟁에서 벗어나 기능성 경쟁 시대로 진입할 것으로 보이며, 다음과 같은 이유로 3DTV가 TV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실감영상에 대한 높은 선호도
인간은 평면영상이 아닌 입체감이 부여된 실감영상을 보고자 하는 욕망을 오랜 시간 꿈꾸어왔다. 실감영상의 초기에 해당되는 3D 디스플레이가 이미 150년 전부터 시도되었으며, 인간은 80% 이상의 정보를 눈을 통해서 얻기 때문에 3D로 구현되는 실감영상에 더욱 더 집착하게 되었다. 인간은 대부분의 정보를 두 눈을 통해 얻고 있기 때문에 실감영상을 보게 되면 더욱 더 잘 기억하고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3D 디스플레이는 방송용뿐만 아니라 교육용이나 게임용, 영화용 등에 적용될 경우 더욱 매력적인 매체가 될 수 있다.
TV 시장의 기능성 경쟁시대 진입
LCD-TV 세트시장은 ‘08년 이후 LED라는 새로운 광원을 탑재하여 화질경쟁과 디자인경쟁을 진행해 왔다. 그러나 현재는 1㎝도 되지 않는 매우 얇은 두께의 LED-TV가 출시되고 있어 더 이상의 화질경쟁이나 디자인경쟁은 큰 의미가 없어 보인다. 따라서 앞으로는 TV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해서 소비자를 유혹하고자 3DTV를 출시하여 기능성 경쟁시대로 진입할 전망이다. 실감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시각적 만족도를 극대화시키겠다는 전략이다. 사실, 그 동안 TV 세트업체들이 3D 기능을 부여하지 못한 것은 기술적 어려움이라기보다는 상업성과 시장 인프라 형성 여부 등에 기인한 것이며, 프리미엄급 시장에서 충분히 합리적인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는 3DTV가 소비자의 호응도 향상과 시장인프라 형성 등으로 2010년 이후부터는 충분히 상업성을 가지며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수익성 개선 효과
기존 LED-TV의 경우 2010년을 정점으로 범용제품이 되면서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TV세트업체들이 ASP를 유지하고 개선시키기 위해 프리미엄급 제품으로 3DTV를 주목하고 공격적으로 신규모델을 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TV세트업체 입장에서는 3D 기능을 부가하는데 올라가는 원가는 그다지 높지 않은 반면, 판매가격은 상대적으로 훨씬 높게 책정할 수 있기 때문에 수익성 개선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영화배급사나 콘텐츠업체들의 적극적 대응
영화배급사나 콘텐츠업체들이 3D 영상화에 적극적인 이유는 3D 영화는 복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영화 수익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아직까지 3D 영상을 불법으로 촬영할 수 있는 캠코더나 카메라가 보편적이지 않아 불법 복제가 불가능하며, 일반 비디오카메라로 3D 영화를 촬영하면 화면을 정상적으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해적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영화배급사나 콘텐츠업체들이 3D 디스플레이 시장 성장에 더욱 더 적극적인 점도 3DTV 시장 성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3DTV 관련 동향
전 세계 3DTV 방송 현황
3D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동향
최근 디스플레이 기술 선진국에서는 많은 투자와 연구 수행으로 차세대 영상매체, 방송통신, 게임, 의료 등 광범위한 응용분야를 가진 3D 디스플레이에 관한 기술 및 시스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3D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핵심기술 연구개발 동향은 미국, 일본, 유럽을 중심으로 기술선점을 위해 각각 독립적인 형태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미국
미국에서는 이미 ARPA(Advanced Visual Display System) 연구과제의 하나인 ‘3D 입체영상 및 그래픽 디스플레이 기술개발’을 비롯하여 NASA, AT&T, MIT 대학 등을 중심으로 항공 우주, 방송통신, 국방, 의료 등의 응용을 목적으로 ‘실감 3차원 다중매체’ 개발이 추진 중에 있다. 이미 IBM은 DLP 기반 저가용 프로젝션 3DTV를 개발하였고, 2006년도부터는 Indight Media사와 미국 디스플레이 컨소시움(US Display consortium)의 공동 주최로 ‘3D BIZ-EX\'이라는 워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