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의 이해 기말범위 타이핑입니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나무의 이해 기말범위 타이핑입니다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추운 날씨)
*목조주택 - 북미
21세기의 새로운 주거문화
*(LOHAS : LIFE STYLE OF HEALTH AND SUSTAINABLE)
모든 일상이 손끝 하나로 - 옷장 앞에서 옷을 입고 벗지 않고 여러 벌을 코디해보고, 집 밖에서도 가스밸브를 잠글 수 있다.
현관 - 현관 앞에는 산책로가 뻗어 있고 분수대에서 시원하게 물이 흐른다.
옥상 - 스파를 즐기며 맨발로 잔디밭을 산책한다.
*유비쿼터스
주거환경
생활양식에 따라 다르다.
우리는 온돌문화의 생활습관을 갖고 있다.
계절에 따라 겨울에는 온돌, 여름에는 마루에서 생활
주택의 설계에 있어서 신발을 벗고 사는 우리의 특성에 맞는 거실의 바닥소재가 매우 중요함.
마루의 선택 (접착제(포름알데히드))
주거공간에서 마루가 차지하는 비율이 크다.
마루판 재료의 설계나 선택에 있어서 걷기 쉽고 피로감이 적은 재료를 선택해야 된다.
적당한 탄력과 딱딱함이 있는 내구성이 뛰어난 재료를 선택해야 된다.
마루판의 경우 콘크리트 바닥에 접착제를 붙인 것과 바닥에 장선과 멍에를 깔고 그 위에 마루를 깐 것에는 충격을 흡수하는데 차이가 있다. (*I빔)
체육관에서 운동을 할 경우 콘크리트 바닥에 직접 마루판을 붙인 곳에서 운동을 하는 것을 연상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접착제 : 포름알데히드
목재의 부성분(*피톤치드)과 주거환경
목재의 미량 성분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다.
옛날의 주거환경 - 천연자원의 재료를 사용
최근의 주거 형태를 보면
<초가집> <목조주택>작은 나무
*성경-삼나무(cypress), 따뜻한 지방, 제주도 감귤농장의 방풍림, 내구성 강함, 모기 한 마리 없음(피톤치드 때문), 우리나라에 많이 없음.
*소나무(우리나라)-나이테 촘촘, 강함, 소나무 재선충→위기
화강암, 봄 건조→잘 자람, 송진함유 - 사용은 어려우나 송진을 이용.
목질패널제품
합판(단판+접착제)
OSB(스텐드+접착제)
파티클보드(파티클+접착제)
MDF(파이버로 만들어짐)
I빔
간벌재, 소경재==>패널에 적합
목제의 구조(단열, 습도조절)
<소나무> 가도관, 수지구,
<참나무> 도관(큰 구멍)
*IT기술의 발전과 함께 자재도 따라가줘야 함.
주거공간에서 목질패널제품
마루판 (HDF)
씽크대 (파티클보드) ==>90년대 중반 만불돌파
붙박이장 (MDF)
신발장
벽지
나무와 생활(11주차)
지구온난화의 주범
자동차 =>1500만대, 하이브리드카
에어콘 =>전기, 석유, 프레온가스
공장연기→휘발성유기화합물
소, 양 등 가축의 방귀 →메탄 가스
걷고 싶은 거리 (휴식, 온도↓)
대학로
보행로와 산책로
*센트럴파크 - 맨하튼 중심. 미래를 내다보고 만듦.
공원
청계천 - 도심의 온도가 낮아짐
양재천
서울숲
한강시민공원
서울 올림픽 공원
*텍사스 주 - 샌안토니오(남부 지방, 따뜻함.), 2004년 NBA 우승팀. 도시 중심에 하천이 흘러감. 주민들의 반대로 하천 살림→관광지
목재체험교실
미국 미시시피주립대학교 임산공학과에서 초등학생을 상대로 목재체험교실 개최
(93년 부터). *미시시피주 - 마크트웨인, 혼다
wood magic science show
*<나무비누방울> - 참나무(도관)
학교교실은 목재로
최근 교육인적자원부의 주최로 Edu Expo가 개막됐다.
목재교실은 교육환경의 질적 향상을 위해 중요하다.
그윽한 나무 향기와 따뜻한 색감에 마음이 편안해진다.
목재교실이야말로 인성교육에 좋다.
쓰레기 발생량
1995년에 쓰레기 종량제 시행 (지방은 1996년)
나무, 종이 관련 쓰레기 발생량 (2000년 미국에서 40%에 이른다.)
*플라스틱→플라스틱(재활용) : 생산성 없음.
*플라스틱+목재→목질플라스틱패널(우리나라는 수입, 비쌈), 발코니 전용창, 데크
알콜생산
폐목재, 나무로부터 알콜생산
셀룰로스->알콜
자동차 연료(브라질, 북미, 유럽)
옥수수 줄기로 알콜 생산(미국)
사탕수수줄기로 알콜 생산(브라질)
개소홀(개스+알콜)
에탄올-술, 메탄올-못 먹음
나무의 재활용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흡수원
나무를 목재로 사용하면 탄소저장고의 역할
한번 사용한 나무, 종이를 재활용하여 다시 사용한다면 이것보다 환경 친화적인 행위는 없다.
종이와 문화(12주차)
학습목표
- 나무를 이용한 종이의 종류 및 이용에 대해서 강의한다.
*종이를 만들기 위해 나무를 해섬(pulp 펄프)세계시장 유통→종이
*우리나라 펄프 100% 수입
*미국 미시시피 주, 알라바마 주(현대자동차) →참나무이용→동해펄프(울산) = 펄프를 만듦→잡지(월간지, 주간지)=종이 재질이 좋음.
*태평양, 샌프란시스코, 골든게이트 브릿지(1920-원유발견도 이때쯤)
→인천공항 가는 길, 영종도 연결(갯벌 위 다리, 편도3차 왕복 6차선 )
→아직도 골든게이트 브릿지 이용(출근 길 갓길- 교통체증 해소) =100~200년 앞을 내다봄
종이의 기원
- 기원전 3000년경에 고대 이집트 사람들이 나일강 유역에서 자라는 수초인 파피루스의 잎을 말린 다음, 그것을 물레 불려 얇게 잘라 다시 붙여서 사용한 것이 오늘날 종이의 기원이 된 것이다.
-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사람들은 돌, 나무, 금속 그리고 동물의 뼈나 가죽을 이용해 문자를 기록했다.
*파피루스의 잎 (=갈대)
*해인사 팔만대장경(나무에 경판을 씀)
종이의 추억
- 종이 - 어린 시절의 빛 바랜 기억들이 연상됩니다.
- 학창시절 - 갱지같이 거칠고 얇은 시험지에 한자 한자 꾹꾹 눌러가며 글씨를 썼던, 그리고 가끔은 틀린 글씨를 지우려다 종이를 찢어먹었던 기억들, 그리고 신학기마다 흥분된 마음으로 준비한 공책과 스케치 북, 종이는 추억 속에 맴 돌고 있습니다.
- 사랑의 화살 - 종이학
- 컴퓨터 - 글씨를 직접 종이에 쓰는 것보다 컴퓨터 자판을 누르는 것이 훨씬 더 편하게 느끼는 시대에 살고 있다.
*1980년대 전영록 - 종이학
*종이를 만들기 위해
①침엽수 보다는 활엽수를 사용한다.(송진때문에)
→침엽수로도 만들 수 있긴하다. 어떤 나라에서는 침엽수로 만들기도 함
②목재 성분 중에 셀룰로스 이용. 리그닌 제거(굵은 철사 - 셀룰로스, 콘크리트 - 리그닌)
③목재

키워드

  • 가격2,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12.13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29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