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본문내용
채권, 지역개발공채 등
특수채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법인이 발행하는 채권
-예금보험기금채권, 한국전력채권 등
금융채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은행이 발행한 채권
-통화안정증권, 산업금융채권, 주택금융채권 등
회사채
-주식회사가 발행하는 채권
-금융기관이 원리금지급을 보증하면 보증사채, 그렇지 않으면 무보증사채
4. 이자지급방법에 따른 분류
-채권투자의 중요수익은 이자수익인데 이러한 이자수익을 채권투자자가 어떤 방법으로 얻게 되는가에 따라서 채권을 분류할 수 있다.
이표채
-정기적으로 정해진 이자를 지급받고 만기에 원금을 상환받는 채권을 말하는데 대부분의 회사채와 3년 미만의 국고채가 대표적이다.
할인채
-순수할인채라고도 하는데 이자를 지급하지 않고 만기에 원금만 상환하는 채권으로서, 이자를 지급하지 않는 대신 그만큼 할인하여 발행되는 채권이다. 재정증권, 통화안정증권, 산업금융채권, 장기신용채권 등이 이러한 형태를 취하는 경우가 많다.
복리채
-만기 이전에는 이자를 지급하지 않고 대신에 이자를 복리에 재투자하여 만기 상환시에 원금과 이자가 함께 지급되는 채권을 복리채라 한다. 국민주택채권, 지역개발공채 등이 이러한 형태로 발행된다.
//////// 10/2주차 강의자료 ///////
1. 채권수익률과 채권가격의 관계
-채권수익률이란 은행에서의 예금이자율과 같은 개념이다.
-즉, 채권을 구입해서 만기까지 보유할 경우에 얻게 되는 수익률을 연단위로 표시한 것이라서 채권수익률을 만기수익률이라고도 부른다. 그런데 이러한 채권수익률을 알게 되면 특정한 채권에 대해서 미래에 들어오게 될 이자와 원금을 할인해서 그 채권의 현재 거래가격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채권수익률을 할인율이라고도 한다.
-채권가격은 채권을 보유할 때에 들어오게 될 현금흐름을 현재가치로 평가해서 산출한 값!
이때 현재가치를 산출할 때에 할인율로 사용하는 것이 채권수익률인 것임
예
-액면금액이 10000원이고 표면금리가 연 8%, 이자는 연 1회 지급하고 만기가 3년 남은 채권이 있다고 하자. 이 채권을 보유하면 1년 후 800원의 이자를 받고, 2년 후 800원의 이자를 받고 만기가 되는 3년 후에는 원금과 이자 10800원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 때에 채권수익률이 연 10%라고 하면 이러한 채권의 가격은 다음과 같이 9,502원이 된다.
800/(1+0.1)+800/(1+0.1)^2+10800/(1+0.1)^3 = 9502원
그런데 만약 채권 수익률이 15%라고 하면 채권가격은 다음과 같이 8401원이 된다.
800/(1+0.15)+800/(1+0.15)^2+10800/(1+0.15)^3 = 9502원
이처럼 채권수익률이 올라가면 채권가격은 떨어지고 반대로 채권수익률이 내려가면 채권가격은 상승한다. 즉 채권수익률과 채권가격은 역관계에 있는 것이다.
2. 채권수익률의 변동
-채권수익률은 고정된 것이 아니며, 국내외 금융시장의 여건 변화에 따라 약간씩 변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채권가격도 달라진다.
-채권가격은 채권수익률과 역관계
채권수익률이 상승하면 채권가격이 하락하고 채권수익률이 하락하면 채권가격이 상승한다.
3. 채권수익률의 외적 변동요인
-채권수익률의 변동요인으로는 먼저 경제전반적인 요인을 들 수 있는데, 이를 외적 변동요인이라고 한다.
채권의 수요와 공급
-정부나 기업들이 채권을 많이 발행하여 채권시장에 공급이 많아지면 채권가격은 내리고 채권수익률은 올라간다.
-반대로 채권수요가 많으면 채권가격은 상승하고 채권수익률은 떨어진다.
통화량
=정부가 시중 통화량을 줄이는 금융긴축을 실시하면 시중 자금사정은 어려워지고 채권매도 물량이 늘어나면서 채권가격은 떨어지고 이에 따라서 채권수익률은 올라간다.
반대로 시준통화량을 늘리면 채권에 대한 수요가 늘어서 채권가격은 상승하고 채권수익률은 떨어진다.
물가수준
-물가가 오르면 일반적으로 채권수익률도 올라간다. 이는 채권투자자가 물가상승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므로 채권의 발행주체는 낮은 가격으로 발행해야만 채권을 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4. 채권수익률의 내적변동요인
-채권자체 또는 채권발행주체의 특성변화로 채권수익률이 변동하는 것을 내적변동요인이라고 한다.
만기와 액면 이자율
-채권가격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보듯이 채권의 만기(잔존기간)나 액면이자율에 EK라서 채권수익률은 달라진다.
현금화 가능성
-시장에서 수요가 많아서 언제든지 현금화시킬 수 있는 채권을 유동성이 높은 채권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채권은 높은가격으로 거래되기 때문에 채권수익률이 낮은 편이다.
채무불이행 가능성
-채권을 발행한 주체가 원리금을 상환하지 못하는 경우를 채무불이행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가능서잉 높은 채권은 낮은 가격으로 거래되기 때문에 채권수익률이 높은 수준이다.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특히 높은 채권의 경우에는 그 수익률이 매우 높지만 위험 또한 크다고 할 수 있다.
5. 채권등급평가란?
-채권등급평가란 어떤 평가기관이 어느 채권의 원금과 이자가 약속대로 상환될 수 있는가를 평가하여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쉬운 기호로 등급을 매기는 것을 말한다.
채권등급평가의 목적
-특정 채권의 채무불이행위험에 대한 정보를 투자자에게 전달함으로써 투자자를 보호하는데 있다.
6. 채권등급의 내용
-세계적으로 가장 권위있는 신용평가기관은 미국의 무디스(Moody\'s investor\'s service), S&P(Standard and poor\'s corportion)이다.
-여기서 특히 채무불이행 위험이 높은 채권의 경우(무디스의 Ba1, S&P의 BB+이하등급)에는 투기적 성격이 높은 채권으로서 정크본드(junk bond)라고 한다.
7. 학습정리
채권투자의 개요
-채권이란 정부, 지방자치단체, 기업이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빌리면서 발행하는 유가증권이다.
-채권은 액면가, 액면이자율, 만기의 3가지는 반다시 표기되어야 한다.
-채권의 장점은 비교적 안전하고, 현금화가 쉽고, 담보로 이용가능하며, 관리가 용이하고 수익이 비교적 높다는 것이다.
-채권은 발행주체에 따라 국채, 지방채, 특수채, 금융채, 회사채가 있다.
-채권은 이자지급방법에 따라 이표채, 할인채, 복리채로 구분된다.
-채권의 수익률이란 채권을 구이
특수채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법인이 발행하는 채권
-예금보험기금채권, 한국전력채권 등
금융채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은행이 발행한 채권
-통화안정증권, 산업금융채권, 주택금융채권 등
회사채
-주식회사가 발행하는 채권
-금융기관이 원리금지급을 보증하면 보증사채, 그렇지 않으면 무보증사채
4. 이자지급방법에 따른 분류
-채권투자의 중요수익은 이자수익인데 이러한 이자수익을 채권투자자가 어떤 방법으로 얻게 되는가에 따라서 채권을 분류할 수 있다.
이표채
-정기적으로 정해진 이자를 지급받고 만기에 원금을 상환받는 채권을 말하는데 대부분의 회사채와 3년 미만의 국고채가 대표적이다.
할인채
-순수할인채라고도 하는데 이자를 지급하지 않고 만기에 원금만 상환하는 채권으로서, 이자를 지급하지 않는 대신 그만큼 할인하여 발행되는 채권이다. 재정증권, 통화안정증권, 산업금융채권, 장기신용채권 등이 이러한 형태를 취하는 경우가 많다.
복리채
-만기 이전에는 이자를 지급하지 않고 대신에 이자를 복리에 재투자하여 만기 상환시에 원금과 이자가 함께 지급되는 채권을 복리채라 한다. 국민주택채권, 지역개발공채 등이 이러한 형태로 발행된다.
//////// 10/2주차 강의자료 ///////
1. 채권수익률과 채권가격의 관계
-채권수익률이란 은행에서의 예금이자율과 같은 개념이다.
-즉, 채권을 구입해서 만기까지 보유할 경우에 얻게 되는 수익률을 연단위로 표시한 것이라서 채권수익률을 만기수익률이라고도 부른다. 그런데 이러한 채권수익률을 알게 되면 특정한 채권에 대해서 미래에 들어오게 될 이자와 원금을 할인해서 그 채권의 현재 거래가격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채권수익률을 할인율이라고도 한다.
-채권가격은 채권을 보유할 때에 들어오게 될 현금흐름을 현재가치로 평가해서 산출한 값!
이때 현재가치를 산출할 때에 할인율로 사용하는 것이 채권수익률인 것임
예
-액면금액이 10000원이고 표면금리가 연 8%, 이자는 연 1회 지급하고 만기가 3년 남은 채권이 있다고 하자. 이 채권을 보유하면 1년 후 800원의 이자를 받고, 2년 후 800원의 이자를 받고 만기가 되는 3년 후에는 원금과 이자 10800원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 때에 채권수익률이 연 10%라고 하면 이러한 채권의 가격은 다음과 같이 9,502원이 된다.
800/(1+0.1)+800/(1+0.1)^2+10800/(1+0.1)^3 = 9502원
그런데 만약 채권 수익률이 15%라고 하면 채권가격은 다음과 같이 8401원이 된다.
800/(1+0.15)+800/(1+0.15)^2+10800/(1+0.15)^3 = 9502원
이처럼 채권수익률이 올라가면 채권가격은 떨어지고 반대로 채권수익률이 내려가면 채권가격은 상승한다. 즉 채권수익률과 채권가격은 역관계에 있는 것이다.
2. 채권수익률의 변동
-채권수익률은 고정된 것이 아니며, 국내외 금융시장의 여건 변화에 따라 약간씩 변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채권가격도 달라진다.
-채권가격은 채권수익률과 역관계
채권수익률이 상승하면 채권가격이 하락하고 채권수익률이 하락하면 채권가격이 상승한다.
3. 채권수익률의 외적 변동요인
-채권수익률의 변동요인으로는 먼저 경제전반적인 요인을 들 수 있는데, 이를 외적 변동요인이라고 한다.
채권의 수요와 공급
-정부나 기업들이 채권을 많이 발행하여 채권시장에 공급이 많아지면 채권가격은 내리고 채권수익률은 올라간다.
-반대로 채권수요가 많으면 채권가격은 상승하고 채권수익률은 떨어진다.
통화량
=정부가 시중 통화량을 줄이는 금융긴축을 실시하면 시중 자금사정은 어려워지고 채권매도 물량이 늘어나면서 채권가격은 떨어지고 이에 따라서 채권수익률은 올라간다.
반대로 시준통화량을 늘리면 채권에 대한 수요가 늘어서 채권가격은 상승하고 채권수익률은 떨어진다.
물가수준
-물가가 오르면 일반적으로 채권수익률도 올라간다. 이는 채권투자자가 물가상승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므로 채권의 발행주체는 낮은 가격으로 발행해야만 채권을 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4. 채권수익률의 내적변동요인
-채권자체 또는 채권발행주체의 특성변화로 채권수익률이 변동하는 것을 내적변동요인이라고 한다.
만기와 액면 이자율
-채권가격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보듯이 채권의 만기(잔존기간)나 액면이자율에 EK라서 채권수익률은 달라진다.
현금화 가능성
-시장에서 수요가 많아서 언제든지 현금화시킬 수 있는 채권을 유동성이 높은 채권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채권은 높은가격으로 거래되기 때문에 채권수익률이 낮은 편이다.
채무불이행 가능성
-채권을 발행한 주체가 원리금을 상환하지 못하는 경우를 채무불이행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가능서잉 높은 채권은 낮은 가격으로 거래되기 때문에 채권수익률이 높은 수준이다.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특히 높은 채권의 경우에는 그 수익률이 매우 높지만 위험 또한 크다고 할 수 있다.
5. 채권등급평가란?
-채권등급평가란 어떤 평가기관이 어느 채권의 원금과 이자가 약속대로 상환될 수 있는가를 평가하여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쉬운 기호로 등급을 매기는 것을 말한다.
채권등급평가의 목적
-특정 채권의 채무불이행위험에 대한 정보를 투자자에게 전달함으로써 투자자를 보호하는데 있다.
6. 채권등급의 내용
-세계적으로 가장 권위있는 신용평가기관은 미국의 무디스(Moody\'s investor\'s service), S&P(Standard and poor\'s corportion)이다.
-여기서 특히 채무불이행 위험이 높은 채권의 경우(무디스의 Ba1, S&P의 BB+이하등급)에는 투기적 성격이 높은 채권으로서 정크본드(junk bond)라고 한다.
7. 학습정리
채권투자의 개요
-채권이란 정부, 지방자치단체, 기업이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빌리면서 발행하는 유가증권이다.
-채권은 액면가, 액면이자율, 만기의 3가지는 반다시 표기되어야 한다.
-채권의 장점은 비교적 안전하고, 현금화가 쉽고, 담보로 이용가능하며, 관리가 용이하고 수익이 비교적 높다는 것이다.
-채권은 발행주체에 따라 국채, 지방채, 특수채, 금융채, 회사채가 있다.
-채권은 이자지급방법에 따라 이표채, 할인채, 복리채로 구분된다.
-채권의 수익률이란 채권을 구이
추천자료
2012년 2학기 금융투자의이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2년 2학기 금융투자의이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3년 하계계절시험 금융투자의이해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3년 2학기 금융투자의이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4년 하계계절시험 금융투자의이해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금융투자의이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금융투자의이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금융투자의이해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5년 2학기 금융투자의이해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5년 2학기 금융투자의이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금융투자의이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금융투자의이해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금융투자의이해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경영학과 금융투자의이해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