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부정문 실현의 방법
2.1 부정문 실현의 방법
2.2 부정문 실현의 제약
2.2.1 ‘아니’ 부정문
2.2.2 ‘못’ 부정문
2.2.3 ‘말다’ 부정문
3. 부정문에서 부정이 미치는 범위
4. 부정 부사 ‘아니’와 ‘못’의 쓰임과 의미
4.1 단순 부정․의도 부정과 능력 부정
4.1.1 ‘아니’ 부정문(단순 부정․의도 부정)
4.1.2 ‘못’ 부정문(능력 부정)
4.2 용언 진술 내용의 객관적․주관적 부정 수식.
4.2.1 용언 진술 내용의 객관적 부정 수식
4.2.2 용언 진술 내용의 주관적 수식
5. 마무리
참고문헌
2. 부정문 실현의 방법
2.1 부정문 실현의 방법
2.2 부정문 실현의 제약
2.2.1 ‘아니’ 부정문
2.2.2 ‘못’ 부정문
2.2.3 ‘말다’ 부정문
3. 부정문에서 부정이 미치는 범위
4. 부정 부사 ‘아니’와 ‘못’의 쓰임과 의미
4.1 단순 부정․의도 부정과 능력 부정
4.1.1 ‘아니’ 부정문(단순 부정․의도 부정)
4.1.2 ‘못’ 부정문(능력 부정)
4.2 용언 진술 내용의 객관적․주관적 부정 수식.
4.2.1 용언 진술 내용의 객관적 부정 수식
4.2.2 용언 진술 내용의 주관적 수식
5. 마무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현대 국어 부정문
1. 들어가며.
다음 문장을 살펴보면, 첫째 문장에 나타나 있는 의미가 그 다음 두 문장에서는 부정의 뜻을 나타내고 있다. 그것은 첫 번째 문장에는 ‘만났다’라는 동사가 쓰였고, 그 다음 두 문장에서는 ‘만나지 않았다’, ‘만나지 못했다’라는 동사가 쓰였기 때문이다.
석인이는 음악회에서 윤경이를 만났다.
석인이는 음악회에서 윤경이를 만나지 않았다.
석인이는 음악회에서 윤경이를 만나지 못했다.
위의 첫째 번 문장과 같은 긍정 표현에 대하여, 그 다음 두 문장처럼 언어 내용의 의미를 부정하는 문법 기능을 부정이라 한다. 부정문은 부정을 나타내는 부사 ‘아니(안)’나 ‘못’을 쓰거나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용언 ‘아니다, 아니하다(않다); 못하다;말다’를 써서 만든다.
여기서는 현형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를 바탕으로 부정문 실현의 방법과 그 의미를 간단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또 부정부사 ‘아니(안)’와 ‘못’의 쓰임과 의미에 대하여 논란이 되고 있는 사항을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2. 부정문 실현의 방법
2.1 부정문 실현의 방법
부정문을 실현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 형식이 있다. 첫째, 부정 부사 ‘아니’나 ‘못’ 다음에 용언을 이어 구성하는 형식이다.
명은이는 아직 민석이를 안 만났다.
명은이는 아직 민석이를 못 만났다.
*서술어가 ‘체언 + 이다’로 된 문장의 부정은 이 체언에 보격조사를 붙이고, 서술격 조사 ‘이다’ 대신 ‘아니다’를 쓴다.
철수는 학생회장이다.
철수는 학생회장이 아니다.
둘째, 용언 어간에 보조적 연결 어미 ‘-지’를 결합하여 보조 용언 ‘아니하다, 못하다’를 이어 구성하는 형식이다.
명은이는 아직 민석이를 만나지 않았다.
명은이는 아직 민석이를 만나지 못했다.
‘아니하다’가 쓰인 부정문을 명령문이나 청유문으로 바꿀 때에는, ‘아니하다’ 대신에 다음과 같이 ‘말다’가 쓰인다.
너무 심하게 다투지는 말아라.
산과 바다를 오염시키지 맙시다.
2.2 부정문 실현의 제약
2.2.1 ‘아니’ 부정문
첫째 방법에 의한 부정문을 ‘짧은 부정문’, 둘째 방법에 의한 부정문을 긴 부정문이라고 했을 때, 동사나 형용사에 따라서
1. 들어가며.
다음 문장을 살펴보면, 첫째 문장에 나타나 있는 의미가 그 다음 두 문장에서는 부정의 뜻을 나타내고 있다. 그것은 첫 번째 문장에는 ‘만났다’라는 동사가 쓰였고, 그 다음 두 문장에서는 ‘만나지 않았다’, ‘만나지 못했다’라는 동사가 쓰였기 때문이다.
석인이는 음악회에서 윤경이를 만났다.
석인이는 음악회에서 윤경이를 만나지 않았다.
석인이는 음악회에서 윤경이를 만나지 못했다.
위의 첫째 번 문장과 같은 긍정 표현에 대하여, 그 다음 두 문장처럼 언어 내용의 의미를 부정하는 문법 기능을 부정이라 한다. 부정문은 부정을 나타내는 부사 ‘아니(안)’나 ‘못’을 쓰거나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용언 ‘아니다, 아니하다(않다); 못하다;말다’를 써서 만든다.
여기서는 현형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를 바탕으로 부정문 실현의 방법과 그 의미를 간단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또 부정부사 ‘아니(안)’와 ‘못’의 쓰임과 의미에 대하여 논란이 되고 있는 사항을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2. 부정문 실현의 방법
2.1 부정문 실현의 방법
부정문을 실현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 형식이 있다. 첫째, 부정 부사 ‘아니’나 ‘못’ 다음에 용언을 이어 구성하는 형식이다.
명은이는 아직 민석이를 안 만났다.
명은이는 아직 민석이를 못 만났다.
*서술어가 ‘체언 + 이다’로 된 문장의 부정은 이 체언에 보격조사를 붙이고, 서술격 조사 ‘이다’ 대신 ‘아니다’를 쓴다.
철수는 학생회장이다.
철수는 학생회장이 아니다.
둘째, 용언 어간에 보조적 연결 어미 ‘-지’를 결합하여 보조 용언 ‘아니하다, 못하다’를 이어 구성하는 형식이다.
명은이는 아직 민석이를 만나지 않았다.
명은이는 아직 민석이를 만나지 못했다.
‘아니하다’가 쓰인 부정문을 명령문이나 청유문으로 바꿀 때에는, ‘아니하다’ 대신에 다음과 같이 ‘말다’가 쓰인다.
너무 심하게 다투지는 말아라.
산과 바다를 오염시키지 맙시다.
2.2 부정문 실현의 제약
2.2.1 ‘아니’ 부정문
첫째 방법에 의한 부정문을 ‘짧은 부정문’, 둘째 방법에 의한 부정문을 긴 부정문이라고 했을 때, 동사나 형용사에 따라서
추천자료
텍스트 의미 구조의 과정 중심 분석 방법 연구
청화식 교수법 (Audio-lingual method)
실용언어학이란?
국어표현 연구자료
의존명사의 유형분류 및 의미
영어학이란 무엇인가? - 영어학개론. 영어학.
의사소통장애아동 교육
효율적인 영어교육(핀란드의 영어교육)
[화용론][화용론 개념][화용론 연구][이해과정에서 화용론][명령문에서 화용론][독일 응답대...
언어 이론과 그 응용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느낀점, 독후감, 나의 견해, 나의 소감, 시사점...
음운 변동 규칙
아서 어서 으니까
음운변동규칙 '유음화'
유치원 누리과정 의사소통 영역 해설서 정리 및 관련 이론모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