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2. 근로자의 손해배상책임
3. 사용자의 손해배상책임
2. 근로자의 손해배상책임
3. 사용자의 손해배상책임
본문내용
일반 공중이 손해를 입더라도 사용자에게 불법행위는 성립하지 않는다.
(3) 근로자에 대한 구상권 인정 여부
사용자가 예외적으로 제3자에게 손해배상을 한 경우 ① 근로자에게 이행보조자로서의 책임을 근거로 구상권을 인정하는 견해가 있으나,
② 사무집행과의 관련성이 인정될 수 없는 쟁의행위의 경우 이행보조자의 구상책임은 인정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3) 근로자에 대한 구상권 인정 여부
사용자가 예외적으로 제3자에게 손해배상을 한 경우 ① 근로자에게 이행보조자로서의 책임을 근거로 구상권을 인정하는 견해가 있으나,
② 사무집행과의 관련성이 인정될 수 없는 쟁의행위의 경우 이행보조자의 구상책임은 인정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공무원의 직무상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의 배상에 대한 고찰(행정상의 국가배상)
공무원의 위법한 직무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행정법]공무원의 위법한 직무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공무원의 직무상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의 요건
공무원 불법행위 손해배상
민법상 불법행위 성립의 요건으로써 손해의 발생
민법상 불법행위에 대한 손해배상의 방법 연구
민법상 불법행위에 대한 정신적 손해의 배상 연구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배상청구권
공무원의 직무상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책임 및 손실보상의 근거, 기준
부정경쟁행위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에 대한 연구
공무원의 직무상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불법행위책임에 대한 손해배상의 방법 (민법)
[민법]계약책임과 불법행위책임에 의한 손해배상청구권의 관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