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승만 대통령의 통치스타일
☺ 이승만 대통령 리더십에 관한 내용
2. 박정희대통령의 통치 스타일
☺박정희대통령의 업적
3. 김대중 대통령의 통치스타일
☺김대중 대통령의 업적
Ⅲ. 결론
☺ 이승만 대통령 리더십에 관한 내용
2. 박정희대통령의 통치 스타일
☺박정희대통령의 업적
3. 김대중 대통령의 통치스타일
☺김대중 대통령의 업적
Ⅲ. 결론
본문내용
하며 그를 달성할 수 있다는 강한 믿음을 심어줌으로써 높은 성과를 확보한다. 김대중 대통령은 뛰어난 정치적 감각과 전광석화 같은 결단력, 민심의 흐름을 읽고 대안을 조직하는 능력에서 탁월, 추종자들과의 상호의존적 관계를 갖게 하였다. 그러나 김대중 대통령의 리더십은 사회환 경의 변화와 더불어 위기가 생겼다.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그 변화를 수용해 스스로를 변화시키는 대신 낡은 방식으로 그 위기를 대처함으로써 지도력의 위기를 심화시켰다. 』
자료에 대한 나의 생각
김대중 대통령은 많은 업적을 이루어냈지만 그 과정 속에서 역시 또 다른 비판이
일어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어떠한 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또 다른 문제점이 생겨나기 마련이다. 즉 하나의 선택에는 어떠한 이익과 또 다른 어떠한 손해가 있다는 점이다. 김대중 대통령 하면 딱 떠오르는 이미지는 햇볕정책이다. 텔레비전에서 햇볕정책이라고 처음 나왔을 때 이름이 너무 예뻤고 그 내용이 남북관계의 회복과 대북교류협력을 화해와 포용을 통해 따뜻하게 이루어나가겠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이름이 햇볕정책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김대중 대통령의 업적은 이외에도 외환위기의 극복과 IT 지식정보화 강국육성과 과학기술혁신, 한류문화산업 육성 등등이 있다. 따라서 김대중 대통령은 이러한 과업 달성 등으로 인해 과업지향적 행정가형이라 그의 리더십을 평가받고 있다. 그리고 김대중 대통령은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카리스마적 리더십은 박정희 대통령과 같은 강제와 강압의 리더십이 아니라 이상적인 상태의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높은 성과를 확보하는 리더십을 말한다. 김대중 대통령이 임기하고 있던 시대는 90년대이다. 이미 경제는 많이 발전한 상태였고 국민들의 교육수준과 예전에 비해 많이 발전된 상태이다. 또한 국민들의 지적수준이 높아져가고 있는 상태에서 국민은 정치에 참여하고 싶은 욕망이 강했을 것이다. 이런 상황을 미리 예측한 김대중 대통령은 참여정부라는 타이틀을 내세워 국민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준 것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김대중 대통령이 박정희 대통령과 같은 카리스마적, 강압적 리더십을 보였다면 좋은 대통령으로 평가받지 못하였을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이승만 대통령, 박정희 대통령, 김대중 대통령 각각의 통치리더십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승만 대통령은 가부장적인 리더십 스타일을 가지고 있고 박정희 대통령은 카리스마적인 강압적인 리더십 스타일을 가지고 있고 김대중 대통령은 과업지향적인 행정가형 리더십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제 1대부터 16대 대통령까지의 리더십 스타일을 보면 각각 대통령마다 리더십 스타일이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그것은 사람마다의 성향과 성격이 다름을 전제로 하여 형성된다고 볼 수 있지만 또 다른 면으로는 각각의 상황마다 대처하는 방식과 그 시대가 요구하는 것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 다른 리더십 스타일이 나온다고 생각한다. 아무리 박정희 대통령과 김대중 대통령이 대단한 리더십을 가지고 나라를 이끌어 왔다고 해서 지금 21세기의 대통령이 그것을 배워서 그대로 따라한다면 그 대통령은 정말 최악의 평가를 받게 될 것이다. 지금 21세기에 박정희 대통령과 같은 강압적이고 지시적인 리더십을 펼친다면 그것을 나라가 망해가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좋은 리더십으로 평가받기를 원한다면 그 시대와 상황에 맞는 리더십을 갖춰야 할 것이다. 지금은 21세기 지식정보화사회이다. 지금 시대에 요구되는 리더십은 함께 생각하고 결정하는 참여적이고 도덕적이고 서로가 평등한 상황에서 일을 결정하고 해결해가는 그런 국민이 주인이고 참여해서 좋은 나라를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리더십이 필요할 것이다.
자료에 대한 나의 생각
김대중 대통령은 많은 업적을 이루어냈지만 그 과정 속에서 역시 또 다른 비판이
일어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어떠한 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또 다른 문제점이 생겨나기 마련이다. 즉 하나의 선택에는 어떠한 이익과 또 다른 어떠한 손해가 있다는 점이다. 김대중 대통령 하면 딱 떠오르는 이미지는 햇볕정책이다. 텔레비전에서 햇볕정책이라고 처음 나왔을 때 이름이 너무 예뻤고 그 내용이 남북관계의 회복과 대북교류협력을 화해와 포용을 통해 따뜻하게 이루어나가겠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이름이 햇볕정책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김대중 대통령의 업적은 이외에도 외환위기의 극복과 IT 지식정보화 강국육성과 과학기술혁신, 한류문화산업 육성 등등이 있다. 따라서 김대중 대통령은 이러한 과업 달성 등으로 인해 과업지향적 행정가형이라 그의 리더십을 평가받고 있다. 그리고 김대중 대통령은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카리스마적 리더십은 박정희 대통령과 같은 강제와 강압의 리더십이 아니라 이상적인 상태의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높은 성과를 확보하는 리더십을 말한다. 김대중 대통령이 임기하고 있던 시대는 90년대이다. 이미 경제는 많이 발전한 상태였고 국민들의 교육수준과 예전에 비해 많이 발전된 상태이다. 또한 국민들의 지적수준이 높아져가고 있는 상태에서 국민은 정치에 참여하고 싶은 욕망이 강했을 것이다. 이런 상황을 미리 예측한 김대중 대통령은 참여정부라는 타이틀을 내세워 국민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준 것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김대중 대통령이 박정희 대통령과 같은 카리스마적, 강압적 리더십을 보였다면 좋은 대통령으로 평가받지 못하였을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이승만 대통령, 박정희 대통령, 김대중 대통령 각각의 통치리더십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승만 대통령은 가부장적인 리더십 스타일을 가지고 있고 박정희 대통령은 카리스마적인 강압적인 리더십 스타일을 가지고 있고 김대중 대통령은 과업지향적인 행정가형 리더십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제 1대부터 16대 대통령까지의 리더십 스타일을 보면 각각 대통령마다 리더십 스타일이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그것은 사람마다의 성향과 성격이 다름을 전제로 하여 형성된다고 볼 수 있지만 또 다른 면으로는 각각의 상황마다 대처하는 방식과 그 시대가 요구하는 것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 다른 리더십 스타일이 나온다고 생각한다. 아무리 박정희 대통령과 김대중 대통령이 대단한 리더십을 가지고 나라를 이끌어 왔다고 해서 지금 21세기의 대통령이 그것을 배워서 그대로 따라한다면 그 대통령은 정말 최악의 평가를 받게 될 것이다. 지금 21세기에 박정희 대통령과 같은 강압적이고 지시적인 리더십을 펼친다면 그것을 나라가 망해가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좋은 리더십으로 평가받기를 원한다면 그 시대와 상황에 맞는 리더십을 갖춰야 할 것이다. 지금은 21세기 지식정보화사회이다. 지금 시대에 요구되는 리더십은 함께 생각하고 결정하는 참여적이고 도덕적이고 서로가 평등한 상황에서 일을 결정하고 해결해가는 그런 국민이 주인이고 참여해서 좋은 나라를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리더십이 필요할 것이다.
추천자료
한국 정치민주화의 사회적 기원(발표용)
한국 정치의 발전과 과제
정치에 대하여...
주한미군의 범죄문제와 기지촌 여성문제에 대해(A+레포트)
한국 안보의 역사적 전개와 한국 안보정책의 발전방향
독도문제의 일본측 주장에 대한 우리의 반론
역대대통령 리더십 비교연구
(PPT 발표자료)신문에 대해서
한일협정의 배경과 경과
광주민주항쟁과 유신체제
보수 & 진보 이념의 시작,한국의 특수성,한국의 진보(우파),한국의 보수(좌파).PPT자료
[유일한의 리더십] 유일한의 리더십 분석과 고찰
[정치문화론] 정치문화, 정치문화의 개념, 정치문화의 유형, 시민정치문화, 미국의 정치문화,...
스스로 버리는 우리역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