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기진통위험과 관련된 안위변화
2) 전치태반과 관련된 체액부족위험성
3) 양수누출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2) 전치태반과 관련된 체액부족위험성
3) 양수누출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본문내용
가 증가할 수 있다. 출혈시 보상 증상으로 빈맥이 나타날 수 있다.
하루 세 번 맥박수와 호흡수를 측정하였다.
(10/15)
pulse가 125회/min check되었으며 호흡수는 20이였다.
수액(5%포도당주사액 1000ml)을 15gtt에서 30gtt로 증량 후 pulse를 다시 측정하였을 때 100회/min 이였으며 호흡수는 20이였다.
2. 혈액손실을 측정한다.
출혈양상과 출혈량을 정확히 관찰하기 위함이다.
(10/15) 질 내에 거즈를 삽입하였다.
2시간 후 확인하였을 때 거즈 일부가 약간 적셔진 모습이였으나 더 이상 진행되는 출혈은 없다고 판단되어 거즈를 제거하였다.
3. 진단검사를 확인한다.
낮은 RBC, Hb, Hct의 수치는 출혈 및 빈혈이 그 원인일 수 있다.
적혈구, 혈색소, 적혈구용적률을 확인하였다.
(10/15) 모든 수치가 참고치를 벗어나 있다.
검사명
10/15
RBC
3.52(▼)
Hemoglobin
10.6(▼)
Hematocrit
31.9(▼)
더 이상의 출혈 및 출혈증후 보이지 않아 RBC, Hb, Hct의 수치가 낮은 이유는 출혈보다는 빈혈이 그 원인으로 판단되어 철분제를 복용하게 하였다.
4. 수혈을 미리 준비한다.
출혈이 예견되면 즉시 조치하여, 산모의 체액부족과 그로 인한 태아의 저산소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수혈에 대비하여 혈액형, 혈액 교차반응 등을 실시하고 PRC 5Unit을 준비해두었다.
입원 당시를 제외하고 재원기간동안 출혈을 보이지 않았다.
5. 퇴원시 대상자에게 교육을 제공한다.
전치태반으로 다시 출혈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교육이 필요하다.
퇴원 후에도 급성 출혈 가능성이 있으므로 질로 액체가 흘러나오는 것을 느끼면 즉시 병원에 오도록 교육하고, 출혈이 심하면 응급제왕분만을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대상자는 끄덕이며 “알겠다”고 대답하였다.
#간호진단 : 양수누출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1) 관련자료
<주관적 자료>
none
<객관적 자료>
10/15에 시행한 Amnisure 검사상 양성반응 보임 (양수누출).
10/15 pulse가 104~125회/분, 체온이 36.8~37.5℃ checke됨.
10/15 검사결과상 WBC 10.53 10^9/L, ESR 34mm/h, CRP 0.15mg/dl로 참고치 벗어남.
(2) 간호목표
<단기 목표>
대상자는 정상활력징후, 정상백혈구수, 정상적혈구침강률, 음성배양검사결과를 보인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감염의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3)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1. V/S을 측정한다.
감염시 체온은 상승하고, 맥박은 빨리 뛸 수 있다. 감염은 자궁의 자극을 증가시키며, 조기분만을 촉진시키는 요인이 된다.
하루 세 번 활력증후를 측정하였다.
15일에 pulse는 100~125회/분, 체온은 36.8~37.5℃로 abnormal하였으나, 16일 이후로 pulse는 94~100회/분, 체온은 36.5~36.8℃로 정상범위에 속해있다.
2. 진단검사를 확인한다.
감염시 WBC, ESR, CRP 등의 수치가 상승한다.
검사명
10/15
WBC
10.53(▲)
ESR
34(▲)
CRP
0.15(▲)
WBC, ESR, CRP수치를 확인하였다. 모든 수치가 참고치보다 높았다.
15일에 WBC, ESR, CRP수치가 항진되어 있었으나, 16일 검사상 모든 수치가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3. 감염에 대비하여 항생제를 투여한다.
감염은 조기진통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감염이 의심될 때 예방적적 차원에서 미리 항생제를 투여한다.
(10/15, 10/16)
Meicelin inj. 2V#2를 IV로 투여하였다.
항생제 부작용은 없었으며 감염증상 보이지 않았다.
4. 원인균을 확인하기위해 culture검사를 나간다.
감염이 있을 경우 원인균을 파악하여 적절한 조치(항생제 투여 등)를 취하기 위함이다.
(10/15) Vaginal swab 검사를 나갔다.
Ureaplasma Urealyticum 검사결과 no growth 2days of incubation을 보였고, 비뇨기, 생식기 검체 배양 검사결과도 Vaginal flora only였다.
감염 및 감염의 증후(발열, 발적, 비정상적 분비물) 보이지 않는다.
5. 간호 처치 시 무균법을 지킨다.
의료인에 의한 감염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간호시행 전후로 반드시 손을 씻고 처치시 무균법을 적용하였으며 불필요한 접촉은 피하였다.
대상자는 감염 없이 안전한 병원생활 중이다.
하루 세 번 맥박수와 호흡수를 측정하였다.
(10/15)
pulse가 125회/min check되었으며 호흡수는 20이였다.
수액(5%포도당주사액 1000ml)을 15gtt에서 30gtt로 증량 후 pulse를 다시 측정하였을 때 100회/min 이였으며 호흡수는 20이였다.
2. 혈액손실을 측정한다.
출혈양상과 출혈량을 정확히 관찰하기 위함이다.
(10/15) 질 내에 거즈를 삽입하였다.
2시간 후 확인하였을 때 거즈 일부가 약간 적셔진 모습이였으나 더 이상 진행되는 출혈은 없다고 판단되어 거즈를 제거하였다.
3. 진단검사를 확인한다.
낮은 RBC, Hb, Hct의 수치는 출혈 및 빈혈이 그 원인일 수 있다.
적혈구, 혈색소, 적혈구용적률을 확인하였다.
(10/15) 모든 수치가 참고치를 벗어나 있다.
검사명
10/15
RBC
3.52(▼)
Hemoglobin
10.6(▼)
Hematocrit
31.9(▼)
더 이상의 출혈 및 출혈증후 보이지 않아 RBC, Hb, Hct의 수치가 낮은 이유는 출혈보다는 빈혈이 그 원인으로 판단되어 철분제를 복용하게 하였다.
4. 수혈을 미리 준비한다.
출혈이 예견되면 즉시 조치하여, 산모의 체액부족과 그로 인한 태아의 저산소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수혈에 대비하여 혈액형, 혈액 교차반응 등을 실시하고 PRC 5Unit을 준비해두었다.
입원 당시를 제외하고 재원기간동안 출혈을 보이지 않았다.
5. 퇴원시 대상자에게 교육을 제공한다.
전치태반으로 다시 출혈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교육이 필요하다.
퇴원 후에도 급성 출혈 가능성이 있으므로 질로 액체가 흘러나오는 것을 느끼면 즉시 병원에 오도록 교육하고, 출혈이 심하면 응급제왕분만을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대상자는 끄덕이며 “알겠다”고 대답하였다.
#간호진단 : 양수누출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1) 관련자료
<주관적 자료>
none
<객관적 자료>
10/15에 시행한 Amnisure 검사상 양성반응 보임 (양수누출).
10/15 pulse가 104~125회/분, 체온이 36.8~37.5℃ checke됨.
10/15 검사결과상 WBC 10.53 10^9/L, ESR 34mm/h, CRP 0.15mg/dl로 참고치 벗어남.
(2) 간호목표
<단기 목표>
대상자는 정상활력징후, 정상백혈구수, 정상적혈구침강률, 음성배양검사결과를 보인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감염의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3)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1. V/S을 측정한다.
감염시 체온은 상승하고, 맥박은 빨리 뛸 수 있다. 감염은 자궁의 자극을 증가시키며, 조기분만을 촉진시키는 요인이 된다.
하루 세 번 활력증후를 측정하였다.
15일에 pulse는 100~125회/분, 체온은 36.8~37.5℃로 abnormal하였으나, 16일 이후로 pulse는 94~100회/분, 체온은 36.5~36.8℃로 정상범위에 속해있다.
2. 진단검사를 확인한다.
감염시 WBC, ESR, CRP 등의 수치가 상승한다.
검사명
10/15
WBC
10.53(▲)
ESR
34(▲)
CRP
0.15(▲)
WBC, ESR, CRP수치를 확인하였다. 모든 수치가 참고치보다 높았다.
15일에 WBC, ESR, CRP수치가 항진되어 있었으나, 16일 검사상 모든 수치가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3. 감염에 대비하여 항생제를 투여한다.
감염은 조기진통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감염이 의심될 때 예방적적 차원에서 미리 항생제를 투여한다.
(10/15, 10/16)
Meicelin inj. 2V#2를 IV로 투여하였다.
항생제 부작용은 없었으며 감염증상 보이지 않았다.
4. 원인균을 확인하기위해 culture검사를 나간다.
감염이 있을 경우 원인균을 파악하여 적절한 조치(항생제 투여 등)를 취하기 위함이다.
(10/15) Vaginal swab 검사를 나갔다.
Ureaplasma Urealyticum 검사결과 no growth 2days of incubation을 보였고, 비뇨기, 생식기 검체 배양 검사결과도 Vaginal flora only였다.
감염 및 감염의 증후(발열, 발적, 비정상적 분비물) 보이지 않는다.
5. 간호 처치 시 무균법을 지킨다.
의료인에 의한 감염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간호시행 전후로 반드시 손을 씻고 처치시 무균법을 적용하였으며 불필요한 접촉은 피하였다.
대상자는 감염 없이 안전한 병원생활 중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