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쿨롱의 법칙 *
1. 이론 요약
2. 실험 결과
3. 분석 및 토의
1. 이론 요약
2. 실험 결과
3. 분석 및 토의
본문내용
아니라 회전의 마찰과 피보트 축받이의 마찰에 관해서도 연구하였고, 놋쇠철 등의 가는 금속선에 추를 매달아 비틀었을 때의 복원력(復原力)에 의한 진동을 이용하는 비틀림탄성(彈性)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그가 전기자기(磁氣)에 관한 쿨롱 법칙을 실험적으로 제시할 때 이 장치(비틀림저울)와 연구성과가 이용되었다. 우선 같은 부호의 전하반발력(척력)으로 비틀림저울의 금속선을 비틀고 그 금속선의 복원력과 전하 사이 거리의 관계를 조사함으로써 85년 전하 사이의 척력이 거리의 2배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서로 다른 부호의 전하(인력)인 경우에는 비틀림저울의 정력학적(靜力學的) 균형을 이용한 이 방법으로는 효과적으로 실험할 수 없었다. 그래서 인력으로 회전운동을 일으키고 그 감쇠도(減衰度;진동 지속시간)에서 인력의 크기를 구하는 동력학적 방법을 채용하여 87년 전기자기의 인력척력이 모두 거리의 2배에 반비례함을 실험적으로 나타내는 데 성공하였다. 다만 전하자하(磁荷)의 인력척력이 역제곱의 법칙에 따른다는 것을 쿨롱 이전에 J. 프리스틀리H. 캐번디시도 지녔던 생각이므로 쿨롱의 독자성은 그 역제곱의 법칙을 정확한 정량적(定量的) 실험으로 나타낸 점에 있다. 또한 이론적 측면에서도 전기자기에 대하여 원격작용설(遠隔作用設)을 취하여 그 무렵 프랑스에서 지배적이었던 데카르트류의 와동론(渦動論)과 대립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의 이러한 정량적 연구를 기초로 S.D. 푸아송K.F. 가우스G. 그린 등이 포텐셜론이라는 수학적 이론을 발전시켰음을 알 수 있듯이 정량적 정전자기학(靜電磁氣學) 발전의 공적은 높이 평가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