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사철 삽목에 의한 발근율 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제목 : 황금사철 삽목에 의한 발근율 조사
(발근촉진제의 효과)

[2] 서론

(1) 목적
(2) 이론 및 원리

[3] 재료 및 방법

(1) 재료
(2) 방법

[4] 결과 및 고찰

(1) 결과
(2) 고찰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무처리구와 발근촉진제 처리구로 나누어 포트에 식재한다.
(무처리 : 32개 | NAA처리 : 32개)
④ 식재 후, 온실로 옮기고 신문지로 덮은 후 물을 준다. (물을 줄 때는 호수가 하늘을 보는 방향을 한 채 주도록 한다)
④ 약 한달 후, 황금사철의 발근율을 조사한다.
[4] 결과 및 고찰
(1) 결과
9월 11일 ~ 10월 14일
황금사철 삽목에 의한 발근율 조사
발근수(개)
발근장(cm)
발근율(%)
무처리
1/32
(2개의crown형성)
0.2
3.13%
NAA처리
3/32
(1개의 crown형성)
① 0.2
9.38%
② 0.7
③ 0.4
무처리구의 발근율 = (1/32) x 100 = 3.13%
발근촉진제(NAA)의 발RMS율 = (3/32) x 100 = 9.38%
☞ 발근촉진제를 처리하지 않은 삽수의 발근율은 3.13%의 수치를 보였고, 발근촉진제를 처리한 삽수는 9.38%의 수치를 보였다. 이 결과 발근촉진제를 처리한 쪽이 더 발근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사진자료
☞ 발근된 뿌리의 모습과 crown이
형성된 모습을 볼 수 있다.
(2) 고찰
수업 첫 날 삽목 했던 황금사철의 발근율을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가을이라 그런지 뿌리를 잘 내리지 못한 것 같았다. 32개씩 무처리구와 발근촉진제처리구로 나누어 총 64개의 삽수로 실험을 했는데, 그 중 뿌리를 내린 것은 4개, 뿌리를 내리기 전 단계인 crown형성단계에 있는 것이 3개로 관찰되었다. 뿌리를 내린 4개중 3개는 발근촉진제를 처리한쪽에서 나온 결과였는데, 이 결과로 미루어 보아 개수로는 적은 수의 차이지만 발근촉진제의 효과를 알아 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실험을 마치며 궁금했던 점은, 식물이 자라는 환경이나 용토 등이 같은 상태일거라고 생각하는데 그 실험결과는 조금씩 다르다는 점이다. 하나도 뿌리를 내리지 못한 사람도 있었는데 심었을때의 차이인지, 아니면 식물이 자라면서 환경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었는지 궁금하다.
약 한 달간 했던 실험을 마치며, 조금 더 활발한 발근율을 보였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다음번에는 봄에 한번 해서 뿌리를 얼마나 내리는지 실험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으면 좋겠다.
[5] 참고문헌
용오름농장 | http://ssaksoo.co.kr/
친환경 농사를 짓는 사람들 | http://cafe.naver.com/ssugboo255/2394
네이버 백과사전 | www.naver.com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12.29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57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