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돈의 개혁과 그 결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돈의 개혁과 그 결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신돈 이해
2. 등장
...

본문내용

들과 강력한 세력기반을 가지고 있던 친원파 무장들인 이귀수(李龜壽), 양백익(梁伯益), 임춘(林椿) 등을 몰아내고 최영(崔瑩)을 계림윤(鷄林尹)을 좌천시켰다. 그 대신 김보(金普)를 시중으로, 이인임을 찬성사로 삼고, 유타그 임군보(任君輔), 김란(金蘭) 등을 요직에 앉혔다. 또한 관리를 승진시킬 때 근무욘한을고려하는 순자격식(循資格式)을 실시하기도 하였는데, 이것은 권세가의 자제들이 남보다 빨리 승진하는 것을 막으려는 것이었다고 평가된다.
그러면서도 그는 과거제의 개혁을 통해 권문세가뿐만 아니라 유생들까지 견제하였다. 신돈은 공민왕 17년에 시험관인 좌주(座主)를 없애고 친시(親試)로 과거시험을 치렀고, 이듬해엔 원나라의 향시(鄕試), 회시(會試), 전시(殿試)의 제도를 도입하여 좌주의 실권을 회시에서만 갖게 하였다. 신돈은 이를 통해 좌주-문생-동년 등을 칭하면서 당을 이루려는 유생에 대해 견제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신진 세력이 과거를 통해 등용될 수 있는 길을 넓히고자 했던 것이다. 그리고 현량(賢良)의 등용을 강조하면서 개혁 세력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여기에 보이는 현량은 유교적 소양을 갖춘 인재들이어서 이들을 양성하기 위해 성균관을 중수하였다. 이렇게 등용된 신진 유학자들은 성균관을 이끌면서 새로운 학문 기풍을 진작시키고, 유생들에게 성리학을 체계있게 교육시켜 다음 시대를 이끌 지도자로 키워냈다. 종래 과거 출신의 좌주-문생이라 일컬이며 파벌을 조성하던 유생들은 배제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개편들은 왕권을 강화하는 효과를 가져왔고 개혁추진 세력으로 이색을 비하여 정도전, 정몽주, 이승인, 박상

키워드

  • 가격1,1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12.30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60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