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교도들이 잡아온 주도권이 무슬림들에게 넘어갔고, 특히 뛰어난 무슬림 의학자들은 전임자들을 능가하는 위치에 도달하였다. 그들은 광범위한 이론적 지식을 임상 실습에서의 예리한 관찰에 결부시킴으로써 이러한높은 수준에 이르렀던 것이다. 당시 유명했던 수백 명의 의학자들 중 라제스(아랍어로 알-라지, 865년 출생), 할리 압사스, 아비센나(아랍어로 이븐 시나, 1037년 사망)가 출중하였다. 아울러 언급할 만한 점은 800년엣 1300년경까지의 5세기 동안 이루어진 아랍어 의학 저작물은 그 대부분이 무슬림인 70명 이상의 학자들에 의해 쓰여졌다는 것이다.
3. 무슬림 의학자들
1) 알 라지(라제스)
그리스 의학전서의 번역과 의술의 수용은 이슬람 의학의 급속한 발전을 가져왔으며, 그 과정에서 탁월한 무슬림 의학자들이 속속 배출되었다. 그 선구자가 바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의학자의 한 사람으로 평가되는 라지(865~925)다. 그는 유럽에서 ‘라제스’로 알려졌다. 라지는 갈레노스와 그 밖의 다른 유명한 사람들의 연구를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의사란 모름지기 의학책에 대해 의구심을갖고 스스로 고민해야 한다고 생각했다.그는 의학뿐만 아니라 철학·천문학·연금술에도 박학다식하여 총 200여권의 저서를 남겼는데 그중 의학서만 무려 117권이나 된다. 그의 의학서 중 백미는 단연 이론과 임상경험을 총 망라한 20권의《의학집성》이다. 이 책은 1279년 씨칠리아 섬에 사는 한 기독교 의사가 라틴어로 번역한 후 부분적으로 간행되어오다가 4차례의 재간을 거쳐 16세기 초에 완간되었다. 라지의 《천연두와 홍역》은 천연두와 홍역을 의학적으로 정확하게 구분한 최초의 의학전서로 라틴어로 번역된 후 여러 유럽어로 중역되어 1860년까지 약 40판이나 증판되었다. 그의 다른 의학전서 《만쑤르의 서》도 라틴어도 번역되어 《의학집성》과 함께 유럽 의학교의 교과서로 채택되어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라지는 그리스 의학의 전통을 계승했지만, 인도의학의 정수도 받아들여 충분히 활용한 슬기로운 의학자였다. 알 라지(865?~923/32)는 10세기의 모든 의학지식을 집대성한 20권의 《의학대전》은 그리스와 아랍의 의학은 물론 페르시아와 인도의 의학까지 종합한 의서였고, 12세기에 라틴어로 번역된 이래 17세기까지 서구의 대학에서 의학교재로 사용되었다. 이븐 시나(980~1037)는 기왕의 의학을 체계화하여 중세의 가장 뛰어난 의학서로 평가받은 《의학규범》을
3. 무슬림 의학자들
1) 알 라지(라제스)
그리스 의학전서의 번역과 의술의 수용은 이슬람 의학의 급속한 발전을 가져왔으며, 그 과정에서 탁월한 무슬림 의학자들이 속속 배출되었다. 그 선구자가 바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의학자의 한 사람으로 평가되는 라지(865~925)다. 그는 유럽에서 ‘라제스’로 알려졌다. 라지는 갈레노스와 그 밖의 다른 유명한 사람들의 연구를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의사란 모름지기 의학책에 대해 의구심을갖고 스스로 고민해야 한다고 생각했다.그는 의학뿐만 아니라 철학·천문학·연금술에도 박학다식하여 총 200여권의 저서를 남겼는데 그중 의학서만 무려 117권이나 된다. 그의 의학서 중 백미는 단연 이론과 임상경험을 총 망라한 20권의《의학집성》이다. 이 책은 1279년 씨칠리아 섬에 사는 한 기독교 의사가 라틴어로 번역한 후 부분적으로 간행되어오다가 4차례의 재간을 거쳐 16세기 초에 완간되었다. 라지의 《천연두와 홍역》은 천연두와 홍역을 의학적으로 정확하게 구분한 최초의 의학전서로 라틴어로 번역된 후 여러 유럽어로 중역되어 1860년까지 약 40판이나 증판되었다. 그의 다른 의학전서 《만쑤르의 서》도 라틴어도 번역되어 《의학집성》과 함께 유럽 의학교의 교과서로 채택되어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라지는 그리스 의학의 전통을 계승했지만, 인도의학의 정수도 받아들여 충분히 활용한 슬기로운 의학자였다. 알 라지(865?~923/32)는 10세기의 모든 의학지식을 집대성한 20권의 《의학대전》은 그리스와 아랍의 의학은 물론 페르시아와 인도의 의학까지 종합한 의서였고, 12세기에 라틴어로 번역된 이래 17세기까지 서구의 대학에서 의학교재로 사용되었다. 이븐 시나(980~1037)는 기왕의 의학을 체계화하여 중세의 가장 뛰어난 의학서로 평가받은 《의학규범》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