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력을 지니게 되었던 한 순간에 다시 구공신에게 권력을 빼앗긴 적개공신들은 구공신에 대한 적대감이 생겼다. 그러면서 적개공신과 구공신 사이에 반목이 커지면서 정치적 혼란이 발생했고 이 혼란은 예종 대 까지 지속되었다.
세조와 마찬가지로 예종은 왕권을 중심으로 한 중앙집권체제를 이루고자했다. 하지만 권력을 잃은 적개공신 특히 그 중 남이가 공공연히 구공신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고 자신의 세력을 키었고, 예종에게 남이와 적개공신의 행동은 왕권을 위협한다고 인식되었다. 결국 예종은 구공신들과 제휴하여 ‘남이의옥’을 통해 남이와 적개공신 세력을 숙청하였다. 이후 예종이 급사하면서 왕권이 크게 약화되었을 뿐 아니라, 강력한 공신들이 국정을 농단하는 현상이 오랫동안 지속되면서 세조의 중앙집권화 정책은 백지화 되었다.
세조와 마찬가지로 예종은 왕권을 중심으로 한 중앙집권체제를 이루고자했다. 하지만 권력을 잃은 적개공신 특히 그 중 남이가 공공연히 구공신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고 자신의 세력을 키었고, 예종에게 남이와 적개공신의 행동은 왕권을 위협한다고 인식되었다. 결국 예종은 구공신들과 제휴하여 ‘남이의옥’을 통해 남이와 적개공신 세력을 숙청하였다. 이후 예종이 급사하면서 왕권이 크게 약화되었을 뿐 아니라, 강력한 공신들이 국정을 농단하는 현상이 오랫동안 지속되면서 세조의 중앙집권화 정책은 백지화 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