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한국 연예기획사의 역사적 발전추이
3. 산업으로서의 연예기획사 현황
4. 문제점과 개선방안
5. 결론
2. 한국 연예기획사의 역사적 발전추이
3. 산업으로서의 연예기획사 현황
4. 문제점과 개선방안
5. 결론
본문내용
스타와 스타를 발굴, 육성, 관리, 기획하는 국내 연예, 매니지먼트 산업의 구조적 문제가 시급히 개선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윤금 연구원은 국내 방송연예, 매니지먼트 산업의 개선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전문가 인기도 조사 및 시청률 조사등에 근거한 명확한 출연료 기준 산정, 전속계약금 폐지와 합리적 수익배분 등 적정한 수익모델 설정의 필요, 연예 매니지먼트사가 과도한 캐스팅 독점을 버리고 기획기능 중심으로 변할 것, 공인 자격인증제도 도입 등을 통한 신뢰받는 에이전트를 양성할 수 있는 제도 정비시급을 뽑았다. 이 같은 주장은 한국방송영상산업이 한류 덕분으로 해마다 2배 가까운 드라마 수출증가를 이루고 있지만 최근에는 혐한류나 반한류, 급등한 콘텐츠 가격 등을 이유로 콘텐츠 수출이 감소해 한류 약화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는 상황에서 제기돼 눈길을 끌고 있다. 한류가 이처럼 약화되는 주요한 원인은 국내 방송 콘텐츠가 특정 장르와 일부 인기스타 편중돼 획일적으로 제작, 새로운 미디어 시장에 대응할만한 소재발굴에 실패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② 대형스타 사랑이 낳은 기획사의 위기 : 연예기획사들은 대형스타, 특히 CF스타를 모셔오기 위해 막대한 액수를 계약금으로 내걸고 이 덕에 몇몇 연예인들은 수십억 원에 달하는 계약금을 받고 계약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노력으로 계약을 맺은 특 A급 연예인들은 연예기획사가 주축이 되어 컨트롤할 수 없는 대형스타들이다. 그렇다 보니 막대한 돈을 투자했음에도 예상했던 수익을 거두기란 쉽지 않다. 결국 연예기획사들의 대형스타 사랑의 결과는 곧 수익구조의 붕괴로 나타난다. 스타들에게 지급해야 하는 밴과 기름 값, 스타일리스트와 매니저의 월급 등이 지출되는데다 스타들의 지속적인 관리비용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얼마 전 국내 최대 연예기획사 중 한 곳이 소유하고 있던 밴 17대 중 14대를 처분했다는 말까지 돌았다. 이에 대해 해당 기획사 관계자는 \"우리 사무실 앞에 서 있는 밴만 해도 7대다\"며 \"처분했다 해도 차량 교체 이유로 처분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를 바라보는 여타 연예 기획사 매니저들의 말은 다르다. 이미 해당 기획사에 남아있는 연예인이 없다는 것이다. 겉은 멀쩡하지만 내부적으로는 붕괴 직전의 상태이고 소속된 연예인 대부분이 기획사를 나가 겨우 외양만 유지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다른 기획사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15년째 다수의 기획사를 거쳐 온 한 매니저는 \"사실상 국내 연예기획사 중 내실이 튼튼한 기획사는 S 기획사뿐이라는 말도 있다\"며 \"허울만 멀쩡할 뿐 대형스타에 대한 투자가 부실로 이어진데다 그 부실을 막기 위해 영화나 드라마 등 작품 투자에 손댔다가 부도나는 경우가 허다하다\"라고 말했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이 여파는 연예기획사의 와해현상으로 이어진다. 연예기획사 소속이었던 실장급 매니저들이 스타들을 데리고 소속사를 떠나 개인 매니저로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가수가 아닌 연기자들의 경우에만 해당되는 현상이다. 즉 소속사와 7 대 3 혹은 8 대 2로 나누던 수익분배 대신 매니저의 월급과 자기 관리에만 지출을 하면 되고 스타 자신의 선택에 의해 작품을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이름 있는 연예기획사 가운데 계약이 끝난 스타를 따라 매니저도 나온 경우가 허다하다.
연예기획사의 위기 초래는 개념 없는 연예인도 한몫한다. 대형스타를 비롯해 조금이라도 인지도가 있어 작품 활동에 지장이 없거나 심지어 CF를 한 편만 찍어도 \'모셔오기\'전략에 익숙해져 버린 탓에 콧대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스타를 잘못 길들인 결과는 고스란히 연예기획사에게 돌아온다.
③ 주식시장을 달구는 연예산업 :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그 성장과 함께 주식시장을 달구고 있다. 영화나 드라마 제작, 연예매니지먼트를 전문으로 하는 업체들이 잇달아 거래소와 코스닥으로 진출하면서 엔터테인먼트가 하나의 테마로 발전하고 있다. 이것은 IT나 바이오, 생명공학 분야가 각광받던 모습과 비슷하다. 몇몇 종목은 벌써 이상 급등의 표적이 되고 있다. 이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한류와 스타 마케팅을 통해 비로소 \'돈\'이 되는 비즈니스가 됐다는 증거가 아닐 수 없다. 한 때 태원 엔터테인먼트와 배우 하지원이 스펙트럼 DVD의 주식을 대거 인수해 화제가 된 적이 있다.
④ 인터넷포털을 이용한 스타배출 : 인터넷 포털들은 최근 들어 ‘스타만들기’에 여념이 없다. 사실 인터넷을 통한 ‘스타’의 배출은 이미 오래전부터 시작
② 대형스타 사랑이 낳은 기획사의 위기 : 연예기획사들은 대형스타, 특히 CF스타를 모셔오기 위해 막대한 액수를 계약금으로 내걸고 이 덕에 몇몇 연예인들은 수십억 원에 달하는 계약금을 받고 계약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노력으로 계약을 맺은 특 A급 연예인들은 연예기획사가 주축이 되어 컨트롤할 수 없는 대형스타들이다. 그렇다 보니 막대한 돈을 투자했음에도 예상했던 수익을 거두기란 쉽지 않다. 결국 연예기획사들의 대형스타 사랑의 결과는 곧 수익구조의 붕괴로 나타난다. 스타들에게 지급해야 하는 밴과 기름 값, 스타일리스트와 매니저의 월급 등이 지출되는데다 스타들의 지속적인 관리비용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얼마 전 국내 최대 연예기획사 중 한 곳이 소유하고 있던 밴 17대 중 14대를 처분했다는 말까지 돌았다. 이에 대해 해당 기획사 관계자는 \"우리 사무실 앞에 서 있는 밴만 해도 7대다\"며 \"처분했다 해도 차량 교체 이유로 처분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를 바라보는 여타 연예 기획사 매니저들의 말은 다르다. 이미 해당 기획사에 남아있는 연예인이 없다는 것이다. 겉은 멀쩡하지만 내부적으로는 붕괴 직전의 상태이고 소속된 연예인 대부분이 기획사를 나가 겨우 외양만 유지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다른 기획사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15년째 다수의 기획사를 거쳐 온 한 매니저는 \"사실상 국내 연예기획사 중 내실이 튼튼한 기획사는 S 기획사뿐이라는 말도 있다\"며 \"허울만 멀쩡할 뿐 대형스타에 대한 투자가 부실로 이어진데다 그 부실을 막기 위해 영화나 드라마 등 작품 투자에 손댔다가 부도나는 경우가 허다하다\"라고 말했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이 여파는 연예기획사의 와해현상으로 이어진다. 연예기획사 소속이었던 실장급 매니저들이 스타들을 데리고 소속사를 떠나 개인 매니저로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가수가 아닌 연기자들의 경우에만 해당되는 현상이다. 즉 소속사와 7 대 3 혹은 8 대 2로 나누던 수익분배 대신 매니저의 월급과 자기 관리에만 지출을 하면 되고 스타 자신의 선택에 의해 작품을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이름 있는 연예기획사 가운데 계약이 끝난 스타를 따라 매니저도 나온 경우가 허다하다.
연예기획사의 위기 초래는 개념 없는 연예인도 한몫한다. 대형스타를 비롯해 조금이라도 인지도가 있어 작품 활동에 지장이 없거나 심지어 CF를 한 편만 찍어도 \'모셔오기\'전략에 익숙해져 버린 탓에 콧대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스타를 잘못 길들인 결과는 고스란히 연예기획사에게 돌아온다.
③ 주식시장을 달구는 연예산업 :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그 성장과 함께 주식시장을 달구고 있다. 영화나 드라마 제작, 연예매니지먼트를 전문으로 하는 업체들이 잇달아 거래소와 코스닥으로 진출하면서 엔터테인먼트가 하나의 테마로 발전하고 있다. 이것은 IT나 바이오, 생명공학 분야가 각광받던 모습과 비슷하다. 몇몇 종목은 벌써 이상 급등의 표적이 되고 있다. 이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한류와 스타 마케팅을 통해 비로소 \'돈\'이 되는 비즈니스가 됐다는 증거가 아닐 수 없다. 한 때 태원 엔터테인먼트와 배우 하지원이 스펙트럼 DVD의 주식을 대거 인수해 화제가 된 적이 있다.
④ 인터넷포털을 이용한 스타배출 : 인터넷 포털들은 최근 들어 ‘스타만들기’에 여념이 없다. 사실 인터넷을 통한 ‘스타’의 배출은 이미 오래전부터 시작
추천자료
정신보건사회사업의 현황과 발전방안
고속철도 현황과 발전방안
청소년쉼터의 현황과 발전방안(기관소개 포함)
[임금][임금관리][임금제도][연봉제][임금체계]임금과 임금관리의 현황 및 과제(기업과 임금,...
길동자연생태공원의 현황과 발전방안
[장애][장애인][장애인복지정책][장애인복지]장애와 장애인 고찰 및 장애인복지정책의 발전방...
[항공산업][항공산업 발전계획][항공산업 제휴 추진방향]항공산업의 본질, 항공산업의 특징, ...
지역통계의 현황과 발전방안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 for Regional Statistics)
[농업][품목별 동향][입지조건][지구온난화][환경변화][농업의 발전방안]농업의 의미, 농업의...
시화호를 통한 해양에너지 관광 현황, 종류, 정의 및 특징과 역사, 국내외 현황, 도입 필요성...
마리나 관광 현황, 종류, 정의 및 특징과 역사, 국내외 현황, 도입 필요성, 발전방안, 성공요...
신라 관광 상품, 여행 정보, 일정, 현황, 계획, 관광지 소개, 종류, 유의사항, 특징, 역사, ...
모험 관광 상품, 스쿠버 다이빙, 정보, 일정, 현황, 계획, 관광지 소개, 종류, 유의사항, 특...
우리사회의 여성문제 중 가정폭력의 문제현황, 관련정책 및 서비스 현황과 문제점을 제시하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