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a,mmf.mmda2009 2010년자료포함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ma,mmf.mmda2009 2010년자료포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CMA(Cash Management Account)
 (1) CMA의 정의와 특징
 (2) CMA의 운용 방법 및 수익구조
 (3) CMA의 리스크
 (4) CMA의 시장상황에 따른 손익
 (5) 각 증권사별 CMA 비교 및 최근 CMA 시장 동향

2. MMF(Money Market Funds)
 (1) MMF의 정의
 (2) MMF의 운용 방법 및 수익 구조
 (3) MMF의 특징과 리스크
 (4) MMF 현황

3. MMDA( Money Market Deposit Account)
 (1) MMDA의 정의
 (2) MMDA의 운용 방법 및 수익구조
 (3) MMDA의 특징
 (4) 은행별 MMDA 금리

4. CMA, MMF, MMDA의 공통점과 차이점

본문내용

고 담보는 증권예탁원에 별로도 예치된다.
종금형CMA의 경우에는 최고 5,000만원까지 예금자보호 대상이 되는 상품이고 이 세가지 CMA를 가입하실 경우 각 종류별로 그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각 CMA별로 안정장치 및 체크 해야 할 사항이 다르다.
구분
유형
안전장치
주요체크사항
MMF형
실적배당형
고객자산 수탁은행
별도보관
시중금리추이
자산운용사 운용능력
최근 실현수익률 추이
RP형
약정금리형
판매기관 지급보증
채권담보
판매기관 신용등급
담보채권 신용등급
제시 수익률
종금형
실적배당형
예금자 보호
판매기관 신용등급
제시 수익률
대표적인 이 세가지 CMA의 유형에 대해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대표적 3가지 유형의 CMA의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항목
RP형 CMA
MMF형 CMA
종금형 CMA
상품개요
약정 수익률에 따라 기간별로 이자지급되는 상품이며, 국공채를 대상으로 투자.
국공채, CD, CP, 콜론등 수익률이 높은 단기금융상품에 투자.
국공채, 우량기업 어음 등 에 투자.
특징
약정된 수익률을 기간별로 차등
중기거래 고객 유리.
시중금리 점진적 상승 시 유리.
입출금 거래빈도가 높은 단기거래 고객 유리.
기간경과시 수익율 상승.
중장기거래 고객 유리.
예금자 보호.
(2) CMA의 운용방법 및 수익구조
RP형-CMA: RP는 환매조건부채권을 말하는것이다. 즉, 고객에게 일정한 금리를 지급하고 채권을 다시 사들이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RP형-CMA는 확정금리형 상품이다. RP형 CMA는 주로 국공채, 회사채등 AAA등급 이상에 투자하여 안전성이 매우 높은 상품이다.
MMF형-CMA: MMF란 Money Maket Funds의 약자로 투자신탁회사가 고객들의 자금을 모아 펀드를 구성한 다음 금리가 높은 만기 1년 미만의 기업어음(CP), 양도성예금증서(CD), 콜등 주로 단기금융상품에 집중 투자하여 얻은 수익을 고객에게 돌려주는 금융상품이다. 따라서 MMF를 기반으로 하는 MMF형 CMA는 위에서 나열한 단기금융상품에서 얻은 수익을 고객에게 배당하는 실적배당형 상품이다.
종금형 CMA: 종금형 CMA는 예금자 보호법의 적용을 받아 예금액 5000만원까지 원금이 보장되는 상품이다. 종금형 CMA를 취급하는 회사는 동양종금과 우리투자금융 두곳뿐이므로 CMA계좌 개설시 유의해야 한다. 종금형 CMA도 다른 종류의 CMA와 마찬가지로 우량어음, 국공채, 상장채권, 양도성예금증서(CD), 지급준비자산등에 투자하여 수익을 얻는다. 이 상품도 실적배당형 상품으로 기간에 따라 수익을 차등지급한다.
※ 외환위기 이후 종금업무의 특수성이 사라지면서 종금업 자체를 없앤다는 금융당국의 방침에 따라 증권사의 종합금융업무 라이센스가 우리투자증권은 올해 10월에, 동양종합금융증권은 2011년 11월에 만료되면서 종금형 CMA는 사라질 전망이다.
예금형 CMA : 증권사가 고객으로부터 받은 자금을 한국증권금융에 예치하면 증권금융이 은행예금상품에 대부분을 투자하고 일부는 하루짜리 콜론(call loan) 등으로 운용해 수익을 올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RP형이나 MMF형과 마찬가지로 예금자보호는 안되지만, 다른 CMA상품과는 달리 채권에는 전혀 투자하지 않고 주로 예금에만 의존하므로 상당히 안정적인 상품이라 할 수 있다. 금리는 일복리로 이자를 제공하므로 장기 보유시 추가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은행금리를 따르므로 은행금리의 흐름에 유의해야 한다.
※ 세금 계산 → 이자소득에 대한 과세 : 15.4% ( 이자소득세 14% + 주민세 1.4% )
일부 상품에 한하여 비과세로 운용. (3천만원 한도로 비과세 혜택이 주어진다.)
(3) 리스크
CMA는 원금이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극히 적은 매우 안전한 자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외국의 MMF에서 원금손실이 발생하는 사태가 벌어지면서 CMA가 정말 원금이 손실을 입지 않는 안전자산인가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 물론 CMA도 원금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그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우선 RP형, MMF형 CMA의 경우 투자한 자산들에 부실이 발생할 경우 증권회사에서 지급보증을 하게 된다. 만약 회사가 망하게 된다면 원금대신 채권을 인수해 이 채권을 현금화 할 수 있다. 따라서 CMA의 가장 큰 리스크는 증권회사가 망하는 것이다. 반면 종금형 CMA는 증권회사가 망하더라도 예금자보호법에따라 예금액 5000만원 이내에서는 원금을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에 RP형이나 MMF형보다는 리스크가 적다고 할 수 있다.
그 밖의 내재된 리스크로는 RP형 CMA에 적용되는 리스크가 있다. 바로 시중금리가 오를 경우 수익률이 떨어지는 것이다. RP형 CMA의 경우 계약당시 확정금리로 계약을 한다. 따라서 시중금리가 오를 경우 인상된 만큼의 수익률 혜택을 얻지 못하는 것이다. 이럴 경우 RP형 CMA에 예금된 금액을 인출 후 다시 새로운 확정금리로 RP형 CMA에 가입하면 인상된 시중금리의 혜택을 얻을 수 있다.
(4) 시장상황에 따른 손익
가정1. 한 투자자가 투자기간은 1년으로 하여 1천만원을 종금형 CMA계좌에 가입하였다. (수익률은 현재 시중에서 판매중인 우리 종금CMA를 기준으로 함)기간
1~29
30~59
60~89
90~119
120~149
150~180
181~270
271~365
금리
5.35~5.35%
5.35~5.35%
5.35~5.45%
5.45~
5.45%
5.45~
5.45%
5.45~
5.55%
5.55~
5.65%
5.65~
5.75%
1년이 지난 후 투자금액 1천만원을 출금하지 않고 그대로 계좌에 두었다면 약 5.65~5.75%의 수익률을 낼 수 있으므로 투자자의 투자 만기시 금액은 약 10580000원~10600000원이 된다. 종금형 CMA의 경우 확정금리 상품이 아니기 때문에 표에 나타난 수익률과 다르게 될 수 있다. 만약 투자자산에서 부실이 발생하여도 증권사에서 지급보증을 하기 때문에 투자원금에는 손실이 없다. 하지만 증권사가 부실이 생길 경우 원금손실을 입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종금형 CMA에 가입한 것이므로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원금 5천만원까지 보장이

키워드

cma,   mmda,   mmf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1.01.03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68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