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덕터의 정의
2.코일,인덕터란 무엇인가?
상호 인덕턴스
자기 인덕턴스
3.코일의 성질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1) 전류의 변화를 안정시키려고 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2) 상호 유도 작용을 합니다.
3) 전자석의 성질이 있습니다.
4) 공진을 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5) 전원노이즈 차단기능이 있습니다.
4. 인덕터의 종류
5. CHIP 인덕터의 특성
6. 인덕터 관련 용어
자기공진주파수 (Self Resonant Frequency,SRF)
자속밀도 (Flux Density, B[Gauss;Tesla])
자화력 (Magnetizing Force, H[Oe;A/m])
정격전류 (Rated Current)
2.코일,인덕터란 무엇인가?
상호 인덕턴스
자기 인덕턴스
3.코일의 성질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1) 전류의 변화를 안정시키려고 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2) 상호 유도 작용을 합니다.
3) 전자석의 성질이 있습니다.
4) 공진을 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5) 전원노이즈 차단기능이 있습니다.
4. 인덕터의 종류
5. CHIP 인덕터의 특성
6. 인덕터 관련 용어
자기공진주파수 (Self Resonant Frequency,SRF)
자속밀도 (Flux Density, B[Gauss;Tesla])
자화력 (Magnetizing Force, H[Oe;A/m])
정격전류 (Rated Current)
본문내용
유도된다. 이 기전력을 자체유도기전력(Self induced emf)이라 부른다. 인덕턴스를 갖는 몇몇의 전기 소자는 인덕터 또는 인덕턴스, 그리고 어떤 용도에서는 쵸크라 한다. 인덕터는 같은 지지대 위에 도선을 빽빽하게 감아서 만든다. 이러한 방법으로 만들면 개개의 코일은 다른 모든 코일에서 전류에 의해 생성된 자속과 교차한다. 따라서 전체의 코일과 교차하는 총 자속은 크게 된다. 인덕턴스의 단위는 초기에 유도 효과를 연구한 미국인 Joseph Henry의 이름을 따 Henry라 한다.
고주파 전자 회로는 대개 직경 1cm인 지지대 위에 몇번 감은 나선형 코일인 μH의 인덕턴스가 사용된다. 수십 번 감은 코일의 인덕턴스는 대략 mH 정도가 된다. 저주파에서 사용하는 대용량 인덕턴스는 철과 같은 강자성 물질의 코어 위에서 수백 번 코일을 감음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백 헨리의 인덕턴스가 만들어 진다.
철심 인덕터의 코어는 변화하는 자속에 의해 금속 코어에서 유기되는 전류를 막기 위해 철판을 겹겹으로 쌓아서 만든다. 이것은 코어에서 이른바 와전류에 의한 손실을 줄인다. 개개의 철판은 절연 니스로 서로 격리시키고, 그것들을 쌓아 올려 적당한 크기로 만든다. 인덕터에 대한 회로 기호는 그림 2에 나타낸 것처럼 나선형 코일이다. 또한 기호 옆에 평행선이 있을 때는 자성체의 철심이 쓰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가변 인덕턴스는 적절히 감은 코일의 일부를 움직임으로써 얻어진다. 그러나 그러한 소자는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대부분의 인덕터는 고정되어 있다. 대부분의 용도에서 주어진 ac 회로에서의 쵸크의 효과를 결정하자면 감은 층 사이에서의 캐패시턴스와 감는 전선에서의 저항을 고려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실제의 인덕터에서 인덕터가 갖는 저항 성분 속에는 코어에서 급속하게 변화하는 자장에 의해서 자성체 내에 생기는 전력 손실도 포함되어 있다. 처음에 언급한 것처럼 코어는 와전류를 줄이기 위해 얇은판을 겹겹으로 쌓아 올려서 만들어야 하면, 이때 쓰는 철판의 두께가 인덕터의 최대 사용 한계 주파수를 결정한다. 이러한 방법은 가는 철의 분말을 고형화해서 만든 분말철 코어를 쓰는 경우로서 실제 한계에 도달했다. 높은 고유저항, 강자성 물질로 만들어지는 페라이트 코어는 높은 고유저항이 와전류 손실을 충분히 작게 만들기 때문에 고주파에 사용되다. 이러한 물질은 자기 포화효과가 인덕터의 최대 전력 레벨을 제한하기 때문에 저주파에는 철처럼 유용하지는 않다.
어떤 전자 회로에서이 전류는 전류를 포함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자장의 영향을 받는다. 변화하는 전류로부터 생기는 자장의 변화는 회로에서 다음에 주어지 기전력을 유기한다.
인덕턴스는 회로의 크기와 모양, 그리고 주변 물질의 자기적 성질에 의존하는 상수이다. 유기 기전력은 위식에 의해서 전류의 변화를 방해하고 전류의 변화율을 증가시킨다. 이것은 인덕턴스가 순간적으로 변화되는 회로의 전류를 방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간단한 회로의 인덕턴스는 보통 유기 기전력이 무시될 정도로 충분히 작다. 그러나 높은 주파수에서는 무시할 수 없다. 여기에서 전류 변화율은 크게 증가한다. 높은 주파수에서는 유도성 효과를 최고로 하기 위해 회로를 가능한 한 작게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실용성 있는 인덕턴스 값을 갖는 전기 소자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면, 인것들은 ac회로에서 매우 유용하다.
2.코일,인덕터란 무엇인가?코일이란 동선과 같은 선재를 나선 모양으로 감은 것을 말합니다. 회로기호는 로 표시 하며, 단위로 헨리[H]가 사용 됩니다.선재를 많이 감을수록 코일의 성질이 강해지며 헨리의 값도 커지게 됩니다.코일은 내부에 아무것도 넣지 않은 공심으로 하는 것보다 철심에 감거나 코어라 부르는 철분말을 압축, 응고시킨 것에 감는 편이 보다 큰 헨리값이 얻어집니다.코일은 인덕턴스라고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상호 인덕턴스(Mutual Inductance)와 자기인덕턴스(Self Inductance)가 있습니다.상호 인덕턴스 : 전류가 흐르는 코일에 다른 코일을 가까이 했을 경우, 상호유도작용 (Mutual Induction)에 의해, 접근시킨 코일에 교류전압이 발생하는 특성입니다.이 상호유도작용의 정도를 상호 인덕턴스(단위는 헨리:H)라고 표현 합니다.[H]의 기준은 어떤 코일에 매초 1A의 비율(1A/s)로 전류가 변화할 때, 다른 쪽의 코일에 1V의 기전력을 유도하는 두 코일간의 상호 인덕턴스를 1헨리(H)로 정의합니다.,자기 인덕턴스 : 코일이 하나만 있는 경우에도 자신이 발생하는 자속의 변화가 자신에게 영향을 주게 되는데 이것을 자기유도작용이라고 하며, 그 정도를 자기 인덕턴스 (Self Inductance)라 합니다. 자기 인덕턴스의 경우는 전류의 변화율이 1A/s일 때 1V의 기전력을 발생하는 경우의 자기 인덕턴스를 1H로 정하고 있습니다.
3.코일의 성질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1) 전류의 변화를 안정시키려고 하는 성질이 있습니다코일은 코일내의 전류의 변화를 억제하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류가 흐를려고 하면 코일은 전류를 흘리지 않으려고 하며, 전류가 감소하면 계속 흘릴려고 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것을 \"렌츠의 법칙\"이라 합니다.(전자유도작용에 의해 회로에 발생하는 유도전류는 항상 유도작용을 일으키는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흐른다) 이 성질을 이용하여 교류로부터 직류로 변환하는 전원의 평활회로에 사용 되고 있습니다.교류를 정류기에 의해 직류로 변환한 경우, 그대로는 맥류(리플:Ripple)라고 하여 교류성분이 많은 직류이며 완전한 직류가 아닌(플러스의 직류로 정류한 경우 마이너스 전압성분만 없어진) 상태가 되지만 콘덴서와 코일을 조합한 평활회로를 사용하면 코일이 전류의 변화를 저지하려는 작용을 하고, 콘덴서는 입력전압이 0V로 되면 축적한 전기를 그때 방전하기 때문에 안정한 직류를 얻을 수 있게 됩니다. 간단한 평활회로에서는 코일 대신에 저항기를 사용하여, 콘덴서의 평활 기능만 이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원 어뎁터의 대부분이 이렇게 직류전원을 만듭니다
2) 상호 유도 작용을 합니다.변압기(transformer)에 사
고주파 전자 회로는 대개 직경 1cm인 지지대 위에 몇번 감은 나선형 코일인 μH의 인덕턴스가 사용된다. 수십 번 감은 코일의 인덕턴스는 대략 mH 정도가 된다. 저주파에서 사용하는 대용량 인덕턴스는 철과 같은 강자성 물질의 코어 위에서 수백 번 코일을 감음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백 헨리의 인덕턴스가 만들어 진다.
철심 인덕터의 코어는 변화하는 자속에 의해 금속 코어에서 유기되는 전류를 막기 위해 철판을 겹겹으로 쌓아서 만든다. 이것은 코어에서 이른바 와전류에 의한 손실을 줄인다. 개개의 철판은 절연 니스로 서로 격리시키고, 그것들을 쌓아 올려 적당한 크기로 만든다. 인덕터에 대한 회로 기호는 그림 2에 나타낸 것처럼 나선형 코일이다. 또한 기호 옆에 평행선이 있을 때는 자성체의 철심이 쓰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가변 인덕턴스는 적절히 감은 코일의 일부를 움직임으로써 얻어진다. 그러나 그러한 소자는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대부분의 인덕터는 고정되어 있다. 대부분의 용도에서 주어진 ac 회로에서의 쵸크의 효과를 결정하자면 감은 층 사이에서의 캐패시턴스와 감는 전선에서의 저항을 고려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실제의 인덕터에서 인덕터가 갖는 저항 성분 속에는 코어에서 급속하게 변화하는 자장에 의해서 자성체 내에 생기는 전력 손실도 포함되어 있다. 처음에 언급한 것처럼 코어는 와전류를 줄이기 위해 얇은판을 겹겹으로 쌓아 올려서 만들어야 하면, 이때 쓰는 철판의 두께가 인덕터의 최대 사용 한계 주파수를 결정한다. 이러한 방법은 가는 철의 분말을 고형화해서 만든 분말철 코어를 쓰는 경우로서 실제 한계에 도달했다. 높은 고유저항, 강자성 물질로 만들어지는 페라이트 코어는 높은 고유저항이 와전류 손실을 충분히 작게 만들기 때문에 고주파에 사용되다. 이러한 물질은 자기 포화효과가 인덕터의 최대 전력 레벨을 제한하기 때문에 저주파에는 철처럼 유용하지는 않다.
어떤 전자 회로에서이 전류는 전류를 포함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자장의 영향을 받는다. 변화하는 전류로부터 생기는 자장의 변화는 회로에서 다음에 주어지 기전력을 유기한다.
인덕턴스는 회로의 크기와 모양, 그리고 주변 물질의 자기적 성질에 의존하는 상수이다. 유기 기전력은 위식에 의해서 전류의 변화를 방해하고 전류의 변화율을 증가시킨다. 이것은 인덕턴스가 순간적으로 변화되는 회로의 전류를 방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간단한 회로의 인덕턴스는 보통 유기 기전력이 무시될 정도로 충분히 작다. 그러나 높은 주파수에서는 무시할 수 없다. 여기에서 전류 변화율은 크게 증가한다. 높은 주파수에서는 유도성 효과를 최고로 하기 위해 회로를 가능한 한 작게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실용성 있는 인덕턴스 값을 갖는 전기 소자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면, 인것들은 ac회로에서 매우 유용하다.
2.코일,인덕터란 무엇인가?코일이란 동선과 같은 선재를 나선 모양으로 감은 것을 말합니다. 회로기호는 로 표시 하며, 단위로 헨리[H]가 사용 됩니다.선재를 많이 감을수록 코일의 성질이 강해지며 헨리의 값도 커지게 됩니다.코일은 내부에 아무것도 넣지 않은 공심으로 하는 것보다 철심에 감거나 코어라 부르는 철분말을 압축, 응고시킨 것에 감는 편이 보다 큰 헨리값이 얻어집니다.코일은 인덕턴스라고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상호 인덕턴스(Mutual Inductance)와 자기인덕턴스(Self Inductance)가 있습니다.상호 인덕턴스 : 전류가 흐르는 코일에 다른 코일을 가까이 했을 경우, 상호유도작용 (Mutual Induction)에 의해, 접근시킨 코일에 교류전압이 발생하는 특성입니다.이 상호유도작용의 정도를 상호 인덕턴스(단위는 헨리:H)라고 표현 합니다.[H]의 기준은 어떤 코일에 매초 1A의 비율(1A/s)로 전류가 변화할 때, 다른 쪽의 코일에 1V의 기전력을 유도하는 두 코일간의 상호 인덕턴스를 1헨리(H)로 정의합니다.,자기 인덕턴스 : 코일이 하나만 있는 경우에도 자신이 발생하는 자속의 변화가 자신에게 영향을 주게 되는데 이것을 자기유도작용이라고 하며, 그 정도를 자기 인덕턴스 (Self Inductance)라 합니다. 자기 인덕턴스의 경우는 전류의 변화율이 1A/s일 때 1V의 기전력을 발생하는 경우의 자기 인덕턴스를 1H로 정하고 있습니다.
3.코일의 성질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1) 전류의 변화를 안정시키려고 하는 성질이 있습니다코일은 코일내의 전류의 변화를 억제하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류가 흐를려고 하면 코일은 전류를 흘리지 않으려고 하며, 전류가 감소하면 계속 흘릴려고 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것을 \"렌츠의 법칙\"이라 합니다.(전자유도작용에 의해 회로에 발생하는 유도전류는 항상 유도작용을 일으키는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흐른다) 이 성질을 이용하여 교류로부터 직류로 변환하는 전원의 평활회로에 사용 되고 있습니다.교류를 정류기에 의해 직류로 변환한 경우, 그대로는 맥류(리플:Ripple)라고 하여 교류성분이 많은 직류이며 완전한 직류가 아닌(플러스의 직류로 정류한 경우 마이너스 전압성분만 없어진) 상태가 되지만 콘덴서와 코일을 조합한 평활회로를 사용하면 코일이 전류의 변화를 저지하려는 작용을 하고, 콘덴서는 입력전압이 0V로 되면 축적한 전기를 그때 방전하기 때문에 안정한 직류를 얻을 수 있게 됩니다. 간단한 평활회로에서는 코일 대신에 저항기를 사용하여, 콘덴서의 평활 기능만 이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원 어뎁터의 대부분이 이렇게 직류전원을 만듭니다
2) 상호 유도 작용을 합니다.변압기(transformer)에 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