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소설의 개념
소설과 인접장르- 야담. 패설, 필기
소설의 유형-전기소설, 영웅소설,
고전 소설의 표기 형식
고전 소설의 유통 방식
고전 소설의 유통
패관소설 비평- 소설 배격론, 김만중의 소설 비평
소설과 인접장르- 야담. 패설, 필기
소설의 유형-전기소설, 영웅소설,
고전 소설의 표기 형식
고전 소설의 유통 방식
고전 소설의 유통
패관소설 비평- 소설 배격론, 김만중의 소설 비평
본문내용
든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것은 자신의 직무를 제쳐놓고 즐기고 이야기를 만들어 내게 하기 때문에 본말전도가 된다는 입장이 투영되어 있다.
정조의 경우는 문체가 경박하기 때문에 관각의 문학을 잇은 큰문장가가 없다고 개탄하면서 그 이유를 패관 잡설 때문이라고 지적하며 소설을 배격하기에 이른다. 크게 유행하는 데다 흥미위주로 이야기를 진행하기 때문에 주자의 성리학적 전통에 는 맞지 않았고, 그것은 다시 그 문체 속에 반정의 사상이 들어있다는 것을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정치 상황에서도 소설의 문체를 쓰는 노론정파에 대한 견제 책으로 소설 배격론을 내고, 남인이 당하게 될 화를 미리 막고, 자신의 지지층을 확고하게 하겠다는 정조의 계산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정조대에 전의 학자들도 지적한 것처럼, 소설은 사람의 심정을 무너뜨리고 그것에 빠지게 한다는 것이다 많은 소설을 읽어 소설의 매력을 잘 알면서도 사회적 입지를 위해 정조의 문체 반정에 적극 응할 수밖에 없었던 이덕무의 이런 의견대로 많은 유학자들이 소설을 비판하게 된다. 이덕무의 겨우는 패관소설, 지과l 전기 소설을 구분하여 인식을 하였다. 특히 사대부 정통문학관에 입각하여 세 가지 부류의 탈 규범성을 층위 적으로 파악하여, 탈 규범성이 가장 심한 소설, 특히 연의 소설을 비판하였다. 이는 소설의 여러 장르 중에도 가장 유행하기도 하였다.
소설에 많은 관심이 있던 학자들은 소설에 대해 잘 아는 만큼 층위적 분류를 통해 종류에 따라 비평을 하기도 하였다. 그러면서 교묘하게 말을 꾸며내서 이야기를 짓는 것 보다는 삶의 진지성을 추구하는 유의 소설을 더욱 높이 인정한다.
정약용의 경우는 그 정도가 매우 심하여, 유교의 근본정신에 벗어나는 모든 문학을 배격하며, 문장가들을 신랄하게 비판하며, 소설 또한 근본을 잃고 재미에만 치중하기 때문에 사회를 혼란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분서해야한다고 까지 말할 정도였다.
김만중의 소설 비평
이양오는 김만중의 소설 사씨남정기를 비평한다. 유연수의 인간적 성숙에 이르는 변화의 과정을 중시하여 작중인물의 변모의 과정을 그리는 다는 것이다. 사변을 겪고 두려워하여 잘못을 깨닫고 착한 사람으로 돌이키게 된다는 것이다. 서사 속에서 유연수는 성숙에 이르는 체험을 하게 되는 것이다. 사부인, 교부인과 동청 같은 경우는 처음부터 선악이 구별되어 끝까지 변화하지 않고, 선한 자는 복을 받고 악한 자는 화를 얻게 된다는 것이다. 이 세 인물은 선인과 악인으로 일관하여 각각의 행동에 대해 적절한 대가를 받게 되는 것이다. 이양오는 비평을 하는 과정에서 남정일록이라고 제목을 바꾸어 달면서 하나의 사실로 취급하려고 하였다. 그런 인식은 작중의 상황이 실제 현실과 분리되지 않게 되었으며, 현실을 재현하는 소설의 문법과 논리를 파악하여 실제 현실과 재창조된 현실을 분리하는 비평적 거리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고전 소설 비평이 개괄적인 서발 비평의 단계를 넘어 소설의 본문을 세밀하게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 비평하는 본격적인 비평의 단계가 열렸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조의 경우는 문체가 경박하기 때문에 관각의 문학을 잇은 큰문장가가 없다고 개탄하면서 그 이유를 패관 잡설 때문이라고 지적하며 소설을 배격하기에 이른다. 크게 유행하는 데다 흥미위주로 이야기를 진행하기 때문에 주자의 성리학적 전통에 는 맞지 않았고, 그것은 다시 그 문체 속에 반정의 사상이 들어있다는 것을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정치 상황에서도 소설의 문체를 쓰는 노론정파에 대한 견제 책으로 소설 배격론을 내고, 남인이 당하게 될 화를 미리 막고, 자신의 지지층을 확고하게 하겠다는 정조의 계산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정조대에 전의 학자들도 지적한 것처럼, 소설은 사람의 심정을 무너뜨리고 그것에 빠지게 한다는 것이다 많은 소설을 읽어 소설의 매력을 잘 알면서도 사회적 입지를 위해 정조의 문체 반정에 적극 응할 수밖에 없었던 이덕무의 이런 의견대로 많은 유학자들이 소설을 비판하게 된다. 이덕무의 겨우는 패관소설, 지과l 전기 소설을 구분하여 인식을 하였다. 특히 사대부 정통문학관에 입각하여 세 가지 부류의 탈 규범성을 층위 적으로 파악하여, 탈 규범성이 가장 심한 소설, 특히 연의 소설을 비판하였다. 이는 소설의 여러 장르 중에도 가장 유행하기도 하였다.
소설에 많은 관심이 있던 학자들은 소설에 대해 잘 아는 만큼 층위적 분류를 통해 종류에 따라 비평을 하기도 하였다. 그러면서 교묘하게 말을 꾸며내서 이야기를 짓는 것 보다는 삶의 진지성을 추구하는 유의 소설을 더욱 높이 인정한다.
정약용의 경우는 그 정도가 매우 심하여, 유교의 근본정신에 벗어나는 모든 문학을 배격하며, 문장가들을 신랄하게 비판하며, 소설 또한 근본을 잃고 재미에만 치중하기 때문에 사회를 혼란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분서해야한다고 까지 말할 정도였다.
김만중의 소설 비평
이양오는 김만중의 소설 사씨남정기를 비평한다. 유연수의 인간적 성숙에 이르는 변화의 과정을 중시하여 작중인물의 변모의 과정을 그리는 다는 것이다. 사변을 겪고 두려워하여 잘못을 깨닫고 착한 사람으로 돌이키게 된다는 것이다. 서사 속에서 유연수는 성숙에 이르는 체험을 하게 되는 것이다. 사부인, 교부인과 동청 같은 경우는 처음부터 선악이 구별되어 끝까지 변화하지 않고, 선한 자는 복을 받고 악한 자는 화를 얻게 된다는 것이다. 이 세 인물은 선인과 악인으로 일관하여 각각의 행동에 대해 적절한 대가를 받게 되는 것이다. 이양오는 비평을 하는 과정에서 남정일록이라고 제목을 바꾸어 달면서 하나의 사실로 취급하려고 하였다. 그런 인식은 작중의 상황이 실제 현실과 분리되지 않게 되었으며, 현실을 재현하는 소설의 문법과 논리를 파악하여 실제 현실과 재창조된 현실을 분리하는 비평적 거리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고전 소설 비평이 개괄적인 서발 비평의 단계를 넘어 소설의 본문을 세밀하게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 비평하는 본격적인 비평의 단계가 열렸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천자료
[고전소설]'홍계월전'을 읽고
2009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2008년 고전소설강독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이태준, 홍석중의 황진이비교-춘향전과의관계)
2010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1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고전소설의 이해] 판소리<춘향가>와 오페라<피가로의 결혼>의 비교 분석 및 특징과 유사성
2017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경판본 홍길동전과 박태원 홍길동전 비교)
2018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경판본 홍길동전과 박태원 홍길동전 비교)
[고전소설론] 몽유록의 장르 귀속 문제 교술과 서사의 경계
2018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