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사용되고 있다.
③페라이트계
Fe-Cr계가 되며 소입경화성은 거의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소둔상태에서 사용되고 있다. 오스테나이트계에 비하여 내식성은 떨어지며, 특히 산이
나 황산에 대해서는 내식성의 저하가 현저하다. JIS에서 SUS430은 16-18%Cr 함유하며, 페라이트 스테인레스강의 대표적 강종이다.
SUS429는 SUS430의 인성 및 용접성을, SUS434는 내식성을, SUS430F는 피삭성을 개량한 강종이다. SUS405는 SUS410에 Al을 소 량 첨가하여 페라이트화한 것으로 용접성을 개량한 것이다.
④마텐자이트계
성분적으로 13%Cr 강이 대표되는 스테인레스강이다. 13%Cr과 17%Cr 으로 대별되며 탄소함유량에 따라 소입성과 자경성이 좌우된다.
SUS403은 SUS410의 Si량을 감소시켜 quenching조직을 개선시킨 것으 로 증기터빈의 날개용으로 쓰인다. SUS416은 S를 첨가한 쾌삭강이며, SUS410J1은 Mo첨가로 고온강도를 개량한 것이다. SUS420 type은 탄 소량을 증가시켜 자경성 및 내마모성을 증가시킨 것이고, SUS420F는 SUS420의 쾌삭강이다. SUS440 type은 내마모성을 중점으로 개량한 것으로 칼 재료 및, 내식 내마모성 재료로서 사용된다. (Bearing재료로 도 사용) 최근에는 터빈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Mo ,W, Nb, V 등 의 원소를 첨가한 13%Cr 강이 개발 되었다.
⑤석출 경화계
오스테나이트계의 강도 부족, 마르텐 사이트계의 내식성 및 가공성 부족 을 보완하여 양측 게통의 특징을 겸비하도록 개발된 강종으로 생성의 종류에 따라 오스테니이트형, semi-오스테나이트형, 오스테나이트-페라 이트형, 마르텐사이트형의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며, 모두가 금속간 화 합물(고용체)의 석출 경화를 이용한 강력 스테인레스강이다.
마르텐사이트형인 SUS630은 일명 17-4PH 강이라고도 하며 항공기 부 품, 화학장치 펌프, 밸브등에 사용되고,semi-오스테나이트형인 SUS631 은 17-7PH 강이라고도 하며, 항공기 부품, 내식 스프링 등에 쓰인다.
→위의 자료들을 토대로 내식성과 내마모성을 겸비한 강종으로, 칼이나 가위제품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는 440 type(마텐자이트계)을 선택하였다. 440은 내마모성의 정도에 따라 440A, 440B, 440C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에서도 가장 내마모성이 높은 440C로 결정하였다.
3)열처리에 대한 조사
①Annealing의 목적
기본적으로 경화를 목적으로 행하는 열처리로서, 일반적으로 적당한 온 도까지 가열한 다음 그 온도에서 유지한 후 서냉하는 조작을 말한다. 그 밖의 처리목적으로는 내부응력의 제거, 절삭성 향상, 냉간가공성 향상 등을 통하여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②Quenching의 목적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열처리\"란 말은 주로 Quenching을 의미한다. 즉 강을 연한 상태로부터 가장 경한 상태로 급격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열처 리 효과를 가장 눈에 띄게 해주는 방법이다.
-강의
③페라이트계
Fe-Cr계가 되며 소입경화성은 거의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소둔상태에서 사용되고 있다. 오스테나이트계에 비하여 내식성은 떨어지며, 특히 산이
나 황산에 대해서는 내식성의 저하가 현저하다. JIS에서 SUS430은 16-18%Cr 함유하며, 페라이트 스테인레스강의 대표적 강종이다.
SUS429는 SUS430의 인성 및 용접성을, SUS434는 내식성을, SUS430F는 피삭성을 개량한 강종이다. SUS405는 SUS410에 Al을 소 량 첨가하여 페라이트화한 것으로 용접성을 개량한 것이다.
④마텐자이트계
성분적으로 13%Cr 강이 대표되는 스테인레스강이다. 13%Cr과 17%Cr 으로 대별되며 탄소함유량에 따라 소입성과 자경성이 좌우된다.
SUS403은 SUS410의 Si량을 감소시켜 quenching조직을 개선시킨 것으 로 증기터빈의 날개용으로 쓰인다. SUS416은 S를 첨가한 쾌삭강이며, SUS410J1은 Mo첨가로 고온강도를 개량한 것이다. SUS420 type은 탄 소량을 증가시켜 자경성 및 내마모성을 증가시킨 것이고, SUS420F는 SUS420의 쾌삭강이다. SUS440 type은 내마모성을 중점으로 개량한 것으로 칼 재료 및, 내식 내마모성 재료로서 사용된다. (Bearing재료로 도 사용) 최근에는 터빈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Mo ,W, Nb, V 등 의 원소를 첨가한 13%Cr 강이 개발 되었다.
⑤석출 경화계
오스테나이트계의 강도 부족, 마르텐 사이트계의 내식성 및 가공성 부족 을 보완하여 양측 게통의 특징을 겸비하도록 개발된 강종으로 생성의 종류에 따라 오스테니이트형, semi-오스테나이트형, 오스테나이트-페라 이트형, 마르텐사이트형의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며, 모두가 금속간 화 합물(고용체)의 석출 경화를 이용한 강력 스테인레스강이다.
마르텐사이트형인 SUS630은 일명 17-4PH 강이라고도 하며 항공기 부 품, 화학장치 펌프, 밸브등에 사용되고,semi-오스테나이트형인 SUS631 은 17-7PH 강이라고도 하며, 항공기 부품, 내식 스프링 등에 쓰인다.
→위의 자료들을 토대로 내식성과 내마모성을 겸비한 강종으로, 칼이나 가위제품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는 440 type(마텐자이트계)을 선택하였다. 440은 내마모성의 정도에 따라 440A, 440B, 440C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에서도 가장 내마모성이 높은 440C로 결정하였다.
3)열처리에 대한 조사
①Annealing의 목적
기본적으로 경화를 목적으로 행하는 열처리로서, 일반적으로 적당한 온 도까지 가열한 다음 그 온도에서 유지한 후 서냉하는 조작을 말한다. 그 밖의 처리목적으로는 내부응력의 제거, 절삭성 향상, 냉간가공성 향상 등을 통하여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②Quenching의 목적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열처리\"란 말은 주로 Quenching을 의미한다. 즉 강을 연한 상태로부터 가장 경한 상태로 급격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열처 리 효과를 가장 눈에 띄게 해주는 방법이다.
-강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