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짐볼
Ⅲ. 세라밴드
Ⅳ. 결론
Ⅱ. 짐볼
Ⅲ. 세라밴드
Ⅳ. 결론
본문내용
360°의 모든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5. 밴드의 강도와 선택방법
밴드의 강도는 밴드의 색상, 잡은 폭, 잡은 위치, 밴드를 다발로 묶는 방법에 따라 강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같은 강도의 밴드라도 좀 더 부하를 강하게 하고 싶으면 더 짧게 잡거나, 두 줄 또는 이중으로 겹쳐 잡으면 된다.
6. 세라밴드 운동시 주의사항
1) 사용하기 전에 밴드가 찢어졌거나 변색 등의 이상이 없는지 반드시 체크한다.
2) 용하기 전에 주위의 위험요소는 없는지 확인한다.
3) 사용하기 전에 밴드를 꽉 쥐어져 있는지 확인하고, 매듭을 짓고 운동시 매듭 의 상태를 확인한다.
4) 세라밴드 활용 운동시에 옷의 지퍼나 단추, 금속성의 부속물 등에 걸리거나, 나무, 플라스틱 등 단단한 돌기물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5) 세라밴드 활용 운동전에 반지, 목걸이 등은 풀어 놓는다.
6) 되도록 운동시 안경은 벗고, 밴드를 얼굴 가까이에서 늘리지 않는다.
7) 운동 외의 목적으로 절대 사용하지 않는다.
8) 물에 젖은 경우 부드러운 헝겊으로 닦아내고 그늘에서 건조시킨다.
(건조시키기 전 파우더 처리를 해주면 제품의 수명이 더욱 길어진다.)
9) 밴드에 땀이 많이 묻었을 경우 물로 세정하고, 부드러운 헝겊으로 물기를 제 거한 후, 그늘에 건조시키시면 제품의 변질을 막는데 도움이 된다.
(건조시키기 전 파우더 처리를 해주면 제품의 수명이 더욱 길어진다.)
10) 사용 후 직사광선, 형광등의 빛, 습기에 장시간 방치 하지 않도록 주의하시 고, 이물질이 묻었을 경우 신나, 왁스, 아세톤 등의 물질로 절대 딱지 않는 다.
11) 뜨거운 물체나 화기 주위에 세라밴드를 방치하시면 제품이 변질될 수도 있다.
7. 어깨 강화 세라밴드 트레이닝
요통과 마찬가지로 어깨 결림으로 고생하는 분들이 많이 있다. 요통은 복근을 중심으로 근력을 강화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는 반면에 어깨 결림은 근력 강화만으로는 해소되지 않는다. 정기적으로 운동하고 있는 운동선수들이 어깨결 림이 잦은 것은 그 때문이다.
어깨 결림은 어깨 주변의 근육이 너무 긴장해서, 즉 어깨근육의 과 긴장으로 일어난다. 어깨뿐 아니라 신체의 모든 근육이 장시간 긴장되면 혈관이 압박되어 그 부분의 혈류량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통증이나 피로를 느끼게 된다. 특히 정맥의 경우 울혈의 형태로 나타난다. 울혈이 생기면 혈류가 부족하기 때문에 산소 부족이 생기고, 동시에 젖산 등의 근육 피로물질이 축적되어 피로감과 함께 때로는 통증도 느끼게 된다.
어깨주변에서도 같은 양상이 나타난다. 어깨가 나른하고, 무겁거나 굳어지고, 때로는 통증을 느끼거나 하면, 아무래도 그 부분을 움직이기 힘들어진다. 움직일 수 없게 되면 당연히 유연성이 낮아짐과 동시에 혈액의 흐름도 점점 나빠지게 된다. 움직이지 않으면 근력도 저하되어 쉽게 피로를 느낀다. 말하자면 '어깨 결림 사이클'이 만들어져 악순환이 지속되는 것이다.
어깨주변의 근육에 과 긴장이 생기는 원인 중 하나는 자세에 있다. 사람의 머리무게인 4㎏의 부하를 계속 지탱하지 않으면 안된다. 늘 책상에서 일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등이 새우등처럼 굽은 사람이나 어깨가 아래로 처진 사람이 어깨 결림 증상이 쉽게 나타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정신적 스트레스도 어깨 주변근육의 과 긴장으로 연결되기 쉽다고 한다. 이러한 점에서, 어깨 결림을 개선하려면 다음과 같은 자세를 취해야 한다.
1) 전신운동으로 핼액의 흐름을 좋게 해야 한다.
2) 어깨 주변의 근육이 사용되는 운동을 통해 적극적으로 근육의 수축, 이완을 반복하여 긴장을 풀고, 유연성을 높인다.
3) 어깨 주변의 근력을 강화하여 과다 사용으로 생기는 근육의 긴장을 예방한다.
4) 스트레칭을 적극적으로 실시하여 유연성을 높여 준다.
5) 긴장을 풀고 쉼으로써 정신적 스트레스를 해소한다. 또한 운동을 함으로써 스 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다.
(1) 승모근 트레이닝
바른 자세에서 Band의 중앙부분을 양발로 밟아 고정하고 양손으로 밴드의 끝을 잡는다. 이때 밴드의 장력을 조절해 둔다. 이 자세에서 팔을 편 채로 어깨만 올린다. 목을 움츠리듯이 양어깨를 동시에 행하고 어깨를 내릴 때는 힘을 빼고 자연스럽게 내린다.(15회 반복)
(2) 삼각근과 승모근 트레이닝
다리를 어깨넓이정도로 벌리고 서서, 밴드의 양끝을 밟아 고정한다. 팔을 앞으로 늘어뜨린 상태에서 밴드의 중앙부분을 양손으로 잡는다. 그 자세에서 팔꿈치를 들어 올리면서, 밴드를 턱 근처까지 끌어올린다. 내릴 때는 힘을 빼고 자연스럽게 내린다. (15회 반복)
(3) 노젓기
의자에 앉아 다리를 펴고 양발에 밴드를 건다. 밴드의 양 끝을 무릎 옆에서 잡는다. 팔꿈치를 뒤쪽으로 끌면서 밴드를 끌어당겨, 견갑골사이에 물건을 끼워 놓은 것처럼 양쪽 견갑골이 가까이 닿도록 등을 조인다.(10회 반복)
(4) 어깨의 굴곡
다리를 어깨넓이 정도로 벌리고 서서, 밴드의 중앙부분을 양발로 밟아 고정한다. 밴드가 느슨하지 않도록 하여 밴드 끝을 양손으로 잡는다. 그 자세에서 팔을 몸의 앞쪽을 내밀 듯이 밴드를 끌어 올려, 똑바로 어깨높이까지 끌어올린다. 어깨높이까지 끌어올릴 수 없을 때, 혹은 도중에 통증이 생기면 무리하지 말고 통증이 있는 곳에서 멈춘다.(15회 반복)
Ⅳ. 결론
얼마 전 종합실기 수업 시간에 접했던 짐볼과 세라밴드는 나에게 있어서 적지 않은 충격을 주었다. “공하나, 밴드 하나로 이렇게 다양한 운동을 접목할 수 있다니.......”동작은 만들면 만들수록 계속해서 쏟아져 나왔고, 응용하면 응용할수록 그 상황에 맞는 운동기구가 탄생하였다. 가격에 대한 부담도 덜 할 뿐만 아니라 안전성에 있어서도 여타 다른 운동기구에 비하면 너무나도 훌륭하였다. 짐볼과 세라밴드를 직접 해 보았는데 운동 효과는 기대 이상이었다. 집안에서 손쉽게 하거나, 재활의 용도로 사용한다면 회복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지 않나 생각된다. 이번 과제를 통해 소도구를 이용한 운동과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 정확히 알 수 있었다. 아직은 비록 부족하지만 좀 더 연습하고 보강하여 완전히 내 것으로 만들도록 노력해야겠다.
5. 밴드의 강도와 선택방법
밴드의 강도는 밴드의 색상, 잡은 폭, 잡은 위치, 밴드를 다발로 묶는 방법에 따라 강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같은 강도의 밴드라도 좀 더 부하를 강하게 하고 싶으면 더 짧게 잡거나, 두 줄 또는 이중으로 겹쳐 잡으면 된다.
6. 세라밴드 운동시 주의사항
1) 사용하기 전에 밴드가 찢어졌거나 변색 등의 이상이 없는지 반드시 체크한다.
2) 용하기 전에 주위의 위험요소는 없는지 확인한다.
3) 사용하기 전에 밴드를 꽉 쥐어져 있는지 확인하고, 매듭을 짓고 운동시 매듭 의 상태를 확인한다.
4) 세라밴드 활용 운동시에 옷의 지퍼나 단추, 금속성의 부속물 등에 걸리거나, 나무, 플라스틱 등 단단한 돌기물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5) 세라밴드 활용 운동전에 반지, 목걸이 등은 풀어 놓는다.
6) 되도록 운동시 안경은 벗고, 밴드를 얼굴 가까이에서 늘리지 않는다.
7) 운동 외의 목적으로 절대 사용하지 않는다.
8) 물에 젖은 경우 부드러운 헝겊으로 닦아내고 그늘에서 건조시킨다.
(건조시키기 전 파우더 처리를 해주면 제품의 수명이 더욱 길어진다.)
9) 밴드에 땀이 많이 묻었을 경우 물로 세정하고, 부드러운 헝겊으로 물기를 제 거한 후, 그늘에 건조시키시면 제품의 변질을 막는데 도움이 된다.
(건조시키기 전 파우더 처리를 해주면 제품의 수명이 더욱 길어진다.)
10) 사용 후 직사광선, 형광등의 빛, 습기에 장시간 방치 하지 않도록 주의하시 고, 이물질이 묻었을 경우 신나, 왁스, 아세톤 등의 물질로 절대 딱지 않는 다.
11) 뜨거운 물체나 화기 주위에 세라밴드를 방치하시면 제품이 변질될 수도 있다.
7. 어깨 강화 세라밴드 트레이닝
요통과 마찬가지로 어깨 결림으로 고생하는 분들이 많이 있다. 요통은 복근을 중심으로 근력을 강화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는 반면에 어깨 결림은 근력 강화만으로는 해소되지 않는다. 정기적으로 운동하고 있는 운동선수들이 어깨결 림이 잦은 것은 그 때문이다.
어깨 결림은 어깨 주변의 근육이 너무 긴장해서, 즉 어깨근육의 과 긴장으로 일어난다. 어깨뿐 아니라 신체의 모든 근육이 장시간 긴장되면 혈관이 압박되어 그 부분의 혈류량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통증이나 피로를 느끼게 된다. 특히 정맥의 경우 울혈의 형태로 나타난다. 울혈이 생기면 혈류가 부족하기 때문에 산소 부족이 생기고, 동시에 젖산 등의 근육 피로물질이 축적되어 피로감과 함께 때로는 통증도 느끼게 된다.
어깨주변에서도 같은 양상이 나타난다. 어깨가 나른하고, 무겁거나 굳어지고, 때로는 통증을 느끼거나 하면, 아무래도 그 부분을 움직이기 힘들어진다. 움직일 수 없게 되면 당연히 유연성이 낮아짐과 동시에 혈액의 흐름도 점점 나빠지게 된다. 움직이지 않으면 근력도 저하되어 쉽게 피로를 느낀다. 말하자면 '어깨 결림 사이클'이 만들어져 악순환이 지속되는 것이다.
어깨주변의 근육에 과 긴장이 생기는 원인 중 하나는 자세에 있다. 사람의 머리무게인 4㎏의 부하를 계속 지탱하지 않으면 안된다. 늘 책상에서 일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등이 새우등처럼 굽은 사람이나 어깨가 아래로 처진 사람이 어깨 결림 증상이 쉽게 나타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정신적 스트레스도 어깨 주변근육의 과 긴장으로 연결되기 쉽다고 한다. 이러한 점에서, 어깨 결림을 개선하려면 다음과 같은 자세를 취해야 한다.
1) 전신운동으로 핼액의 흐름을 좋게 해야 한다.
2) 어깨 주변의 근육이 사용되는 운동을 통해 적극적으로 근육의 수축, 이완을 반복하여 긴장을 풀고, 유연성을 높인다.
3) 어깨 주변의 근력을 강화하여 과다 사용으로 생기는 근육의 긴장을 예방한다.
4) 스트레칭을 적극적으로 실시하여 유연성을 높여 준다.
5) 긴장을 풀고 쉼으로써 정신적 스트레스를 해소한다. 또한 운동을 함으로써 스 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다.
(1) 승모근 트레이닝
바른 자세에서 Band의 중앙부분을 양발로 밟아 고정하고 양손으로 밴드의 끝을 잡는다. 이때 밴드의 장력을 조절해 둔다. 이 자세에서 팔을 편 채로 어깨만 올린다. 목을 움츠리듯이 양어깨를 동시에 행하고 어깨를 내릴 때는 힘을 빼고 자연스럽게 내린다.(15회 반복)
(2) 삼각근과 승모근 트레이닝
다리를 어깨넓이정도로 벌리고 서서, 밴드의 양끝을 밟아 고정한다. 팔을 앞으로 늘어뜨린 상태에서 밴드의 중앙부분을 양손으로 잡는다. 그 자세에서 팔꿈치를 들어 올리면서, 밴드를 턱 근처까지 끌어올린다. 내릴 때는 힘을 빼고 자연스럽게 내린다. (15회 반복)
(3) 노젓기
의자에 앉아 다리를 펴고 양발에 밴드를 건다. 밴드의 양 끝을 무릎 옆에서 잡는다. 팔꿈치를 뒤쪽으로 끌면서 밴드를 끌어당겨, 견갑골사이에 물건을 끼워 놓은 것처럼 양쪽 견갑골이 가까이 닿도록 등을 조인다.(10회 반복)
(4) 어깨의 굴곡
다리를 어깨넓이 정도로 벌리고 서서, 밴드의 중앙부분을 양발로 밟아 고정한다. 밴드가 느슨하지 않도록 하여 밴드 끝을 양손으로 잡는다. 그 자세에서 팔을 몸의 앞쪽을 내밀 듯이 밴드를 끌어 올려, 똑바로 어깨높이까지 끌어올린다. 어깨높이까지 끌어올릴 수 없을 때, 혹은 도중에 통증이 생기면 무리하지 말고 통증이 있는 곳에서 멈춘다.(15회 반복)
Ⅳ. 결론
얼마 전 종합실기 수업 시간에 접했던 짐볼과 세라밴드는 나에게 있어서 적지 않은 충격을 주었다. “공하나, 밴드 하나로 이렇게 다양한 운동을 접목할 수 있다니.......”동작은 만들면 만들수록 계속해서 쏟아져 나왔고, 응용하면 응용할수록 그 상황에 맞는 운동기구가 탄생하였다. 가격에 대한 부담도 덜 할 뿐만 아니라 안전성에 있어서도 여타 다른 운동기구에 비하면 너무나도 훌륭하였다. 짐볼과 세라밴드를 직접 해 보았는데 운동 효과는 기대 이상이었다. 집안에서 손쉽게 하거나, 재활의 용도로 사용한다면 회복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지 않나 생각된다. 이번 과제를 통해 소도구를 이용한 운동과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 정확히 알 수 있었다. 아직은 비록 부족하지만 좀 더 연습하고 보강하여 완전히 내 것으로 만들도록 노력해야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