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도의 필요성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임도의 필요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임도의 필요성
◆ 산림에 대한 국민의 다양한 요청
◆ 임도의 역활과 시설효과
◆ 문제점과 해결방안
◆ 임도에 대한 연구
◆ 우리나라의 임도 발달과정
◆ 임도밀도 이론
◆ 기본임도밀도와 적정임도밀도에 대한 개념
◆ 정 리

본문내용

과 인식도 아직은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마을을 연결하는 임도, 경영을 위한 임도를 제외하고 많은 임도들이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SOC라면 추가도 중요하지만 기존의 시설을 효과적으로 관리 하는것도 추가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일부 잘 관리가 잘 이루어진 임도도 있지만 아직도 많은 임도들이 무방비에 가까운 상태로 운영이 되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인 공감대가 형성이 되어서 이부분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고 생각한다.
뿐만 아니라 자연재해가 발생시 원인으로 임도가 주목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태풍이나 기타 자연 재해가 발생시 임도 부분에서 피해가 발생하면 임도로 인해서 피해가 확대된 것처럼 사회분위기가 형성이 된다. 일부 부실시공에 의해서 발생도 하지만 제대로 시설이 된 임도의 경우 피해가 발생하여도 큰 피해를 발생 시키지 않는다.
임도가 집중호우에 의해서 산사태로 이어졌다면 임도 때문이 아닌 강우에 의한 자연 재해이다. 태풍 ‘루사’와 ‘매미’ 이후에 시설된 임도는 집중호우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시설의 용량을 증가시켰기 때문에 집중호우에 의한 피해는 오해가 없어야 하겠다. 뿐만 아니라 임도를 통해 효율적으로 산림을 가꾸어 졌다면, 공익적 기능과 함께 산사태 등과 같은 피해도 최소화 할 수 있다.
임도는 산림을 훼손하기 위해서 투자하는 시설이 아니다. 산림을 효율적으로 가꾸어서 산림의 기능을 100% 이끌어내고, 자연과 공존하기 위해서 만드는 시설이다. 임도는 녹생성장에 있어서 혈관과도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리와 연구가 필요하겠다.

키워드

산림,   임도,   발달,   기본임도,   적정임도,   밀도,   시설,   효과
  • 가격9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1.14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82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