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속옷-기저귀 순으로 준비하되 속옷 소매는 겉옷 소매속에 미리 끼워 놓는다.
② 물은 헹굴 물까지 미리 2통을 준비한다.(흐르는 물에 그냥 씻길 수도 있다.)
③ 체중을 잰다.
④ 옷을 입은 채로 우선 머리부터 감긴다. 왼쪽 엄지와 검지로 양쪽 귀를 막고 비누거품을 내 어 오른쪽 손바닥으로 머리를 문지르듯이 씻고 헹군다.
⑤ 타올로 잘 닦는다.
⑥ 얼굴은 물을 묻힌 거즈 손수건으로 좌우의 눈을 안에서 밖으로 각각 수건의 새면으로 먼저 닦고 나머지 부분을 닦는다.
⑦ 옷을 벗기고 그 위에 눕힌 후 비누를 묻힌(피부가 건조하면 비누를 사용하지 않는다)
거즈 손수건으로 몸을 씻긴다. 목, 겨드랑이, 회음부는 보다 세심하게 씻긴다.
(굳이 태지를 제거할 필요는 없다) 남아의 생식기는 포피를 부드럽게 당기고 씻으며,
여아의 생식기는 음순을 벌리고 면봉으로 앞에서 뒤로 닦는다.
⑧ 몸을 머리를 헹군 물속에 앉히듯 넣고 왼쪽 손으로 목에서부터 귀 근처까지를 받치고, 한 쪽 손은 거즈로 아기의 몸을 문질러 가며 헹구고, 깨끗한 물로 다시한번 헹군 다음 꺼낸다.
⑨ 물에서 꺼낼 때는 왼팔로 머리를 받치면서 아기의 양손을 잡고, 오른손으로 허벅다리와 엉 덩이를 받친다.
⑩ 수건위에 눕히고 눌러가면서 닦고, 접히는 부분은 더 철저히 닦는다.
⑪ 배꼽을 알콜로 소독하고(드레싱 할 수도 있다)옷을 입힌다.
⑫ 비누, 베이비 오일, 파우더, 로션 등은 산도를 변화시키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pH5.0)
⑬ 귀와 코를 면봉으로 닦는다.
⑭ 이름표를 확인하고 아기침대에 눕힌다
2) Diaper rash care
외생식기와 둔부 병소 유무, 대소변의 배설량과 양상을 관찰
3) oral moniliasis care
백혈병 (출혈과 감염), ITP: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비장에서 항혈소판항체를 생성하여 작은 자극에도 출혈)일 경우에는 구강간호를 하지 못하거나 생리식염수를 거즈에 묻혀 입안을 닦는 정도로 해주어야 한다.
내 용
관찰내용
수행내용
아기다루기
cradle position
엎어눕히기
▣ 아기 다루기
1) cradle position
인도에서 갓난아기들을 눕히는 자세인데, 먼저 두 다리를 쭉 편 채 벽이나 가구에 등을 기대로 앉는다. 그런 다음 양 무릎을 바깥쪽으로 굽혀 두 발꿈치가 서로 맞닿게 한다. 다리 사이에 두툼한 담요를 깔고 아이가 눕힐만한 자리를 만든다. 다리로 만든 요람에 얼굴을 마주 보도록 아기를 눕힌다.
이 자세는 아기에게 안정감을 주고 온기를 보존할 수 있다.
- 출생 후 : 약 24시간 동안은 머리를 약 15도 가량 낮춘 체위가 바람직함
- 수유 후 : 구토로 인한 질식을 예방하기 위해 30분에서 1시간정 동안오른쪽 측위로 눕 히거나 엎드려 눕힘
- 안정된 체온을 유지하기위해 포로 잘 싸서 담뇨를 깐 침상에 눕힘
- 투명한 바구니에 담아두는 것은 환아의 움직임 등을 잘 관찰하기 위함
2) 엎어 눕히기
구토로 인한 질식을 예방하기 위해 30분에서 1시간정 동안오른쪽 측위로 눕힘.
(기도 유지를 위해 분비물 배액, 특별히 수유 후 을 촉진시키기 위해)
내 용
관찰내용
수행내용
수 유
Bottle feeding
Medicine dropper feeding
트림
Gavage feeding
Assist with breast feeding
▣ 수유
첫 수유는 4~6시간 NPO시킨 후 Glucose water 15~20cc로 수유를 시작, 구토나 이상 증상이 없으면 점차 조유 농도를 높힌다.
1) Bottle feeding
수유전 기저귀를 교환하여 아기가 편안함을 느끼도록하고, 분유의 종류와 양을 확인한다. 수유전 엄마의 손목 안쪽에 한 방울 떨어뜨려 분유가 따뜻한지 확인을 한후 편안한 의자에 앉아 아기를 천천히 흔들면서 아기가 신뢰감을 갖도록 한다.
젖꼭지로 아기의 입가를 자극하여 루팅반사라 일어나도록 하고, 젖꼭지를 혀 뒤로 넣어서 잘 빨수 있도록 해준다. 수유시간은 30분 이하로 하고 수유동안 아기와 눈을 맞추도록 한다.
수유가 끝난후에는 아기를 앉혀 앞으로 약간 숙이게 한 후 등을 부드럽게 문질러 트림을 하도록 한다.
그 후 기저귀를 교환해주고 자세를 측위로 취해 구토시 흡인이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주의점
① 병을 조심스럽게 잡아 젖꼭지가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② 절대로 젖병을 세워놓고 아이에게서 눈을 떼서는 안된다. 아기가 구토시 흡인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③ 수유동안 보온한다.
대부분 이런 방법으로 수유를 하기 때문에 수행할 기회가 많았다. 우선 기저귀를 확인한 후 시작한다. 아이가 구토시 흡인되는 걸 방지하기 위해 약간 고개를 옆으로 돌린 상태에서 주었다.. 공기가 많이 들어가지 않도록 남은우유의 각도도 생각해서 시행을 했다.
2) Medicine dropper feeding
주사기 등을 사용하여 투여하는 것
3) 트림
- 목적 : 수유 후 역류나 흡인을 감소시킨다.
- 방법
① 한쪽팔로 아기의 머리와 등을 지탱하여 아기의 머리가 엄마 어깨위에 오도록 바로
세워 안고, 나머지 손바닥으로 아기를 가볍게 두드려 준다.
② 한쪽 손으로 아기의 머리와 가슴을 지탱하여 엄마의 무릎위에 앉히고, 나머지 손
바닥으로 아기를 가볍게 두드려 준다.
③ 아기를 엄마의 허벅지 위에 엎드리게 하고, 아기의 머리를 아기의 가슴보다 높여준 후, 아기의 등을 손바닥으로 가볍게 두드려 주거나 문질러 준다.
4) Gavage feeding
대부분 코보다는 구강을 사용한다. 코로 삽입하는 경우는 비강호흡이 폐쇄되고 코점막을 자극할 수도 있다. 구강을 사용하는 경우 빠는 반사를 관찰 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 방법
① 카테테로 귓불에서 코 끝까지, 코 끝에서 검상돌기와 배꼽 중간부위까지 길이를 개 어 테이프로 표시한다.
② 무균수를 윤활제롤 사용한 후 카테터를 표시한 곳까지 삽입한다.
③ 주사기로 위액을 뽑아본다. 만약 역류되지 않으면 위속으로 2~3cc정도의 공기를 부 드럽게 주입하면서 청진한다. 청진상으로 부글거리는 소리가 들리면 바로 삽입된 것 이다.
④ 반창고로 카테터를 고정한 후 주사기를 가볍게 밀어넣고 수유를 시작한다.(이
② 물은 헹굴 물까지 미리 2통을 준비한다.(흐르는 물에 그냥 씻길 수도 있다.)
③ 체중을 잰다.
④ 옷을 입은 채로 우선 머리부터 감긴다. 왼쪽 엄지와 검지로 양쪽 귀를 막고 비누거품을 내 어 오른쪽 손바닥으로 머리를 문지르듯이 씻고 헹군다.
⑤ 타올로 잘 닦는다.
⑥ 얼굴은 물을 묻힌 거즈 손수건으로 좌우의 눈을 안에서 밖으로 각각 수건의 새면으로 먼저 닦고 나머지 부분을 닦는다.
⑦ 옷을 벗기고 그 위에 눕힌 후 비누를 묻힌(피부가 건조하면 비누를 사용하지 않는다)
거즈 손수건으로 몸을 씻긴다. 목, 겨드랑이, 회음부는 보다 세심하게 씻긴다.
(굳이 태지를 제거할 필요는 없다) 남아의 생식기는 포피를 부드럽게 당기고 씻으며,
여아의 생식기는 음순을 벌리고 면봉으로 앞에서 뒤로 닦는다.
⑧ 몸을 머리를 헹군 물속에 앉히듯 넣고 왼쪽 손으로 목에서부터 귀 근처까지를 받치고, 한 쪽 손은 거즈로 아기의 몸을 문질러 가며 헹구고, 깨끗한 물로 다시한번 헹군 다음 꺼낸다.
⑨ 물에서 꺼낼 때는 왼팔로 머리를 받치면서 아기의 양손을 잡고, 오른손으로 허벅다리와 엉 덩이를 받친다.
⑩ 수건위에 눕히고 눌러가면서 닦고, 접히는 부분은 더 철저히 닦는다.
⑪ 배꼽을 알콜로 소독하고(드레싱 할 수도 있다)옷을 입힌다.
⑫ 비누, 베이비 오일, 파우더, 로션 등은 산도를 변화시키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pH5.0)
⑬ 귀와 코를 면봉으로 닦는다.
⑭ 이름표를 확인하고 아기침대에 눕힌다
2) Diaper rash care
외생식기와 둔부 병소 유무, 대소변의 배설량과 양상을 관찰
3) oral moniliasis care
백혈병 (출혈과 감염), ITP: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비장에서 항혈소판항체를 생성하여 작은 자극에도 출혈)일 경우에는 구강간호를 하지 못하거나 생리식염수를 거즈에 묻혀 입안을 닦는 정도로 해주어야 한다.
내 용
관찰내용
수행내용
아기다루기
cradle position
엎어눕히기
▣ 아기 다루기
1) cradle position
인도에서 갓난아기들을 눕히는 자세인데, 먼저 두 다리를 쭉 편 채 벽이나 가구에 등을 기대로 앉는다. 그런 다음 양 무릎을 바깥쪽으로 굽혀 두 발꿈치가 서로 맞닿게 한다. 다리 사이에 두툼한 담요를 깔고 아이가 눕힐만한 자리를 만든다. 다리로 만든 요람에 얼굴을 마주 보도록 아기를 눕힌다.
이 자세는 아기에게 안정감을 주고 온기를 보존할 수 있다.
- 출생 후 : 약 24시간 동안은 머리를 약 15도 가량 낮춘 체위가 바람직함
- 수유 후 : 구토로 인한 질식을 예방하기 위해 30분에서 1시간정 동안오른쪽 측위로 눕 히거나 엎드려 눕힘
- 안정된 체온을 유지하기위해 포로 잘 싸서 담뇨를 깐 침상에 눕힘
- 투명한 바구니에 담아두는 것은 환아의 움직임 등을 잘 관찰하기 위함
2) 엎어 눕히기
구토로 인한 질식을 예방하기 위해 30분에서 1시간정 동안오른쪽 측위로 눕힘.
(기도 유지를 위해 분비물 배액, 특별히 수유 후 을 촉진시키기 위해)
내 용
관찰내용
수행내용
수 유
Bottle feeding
Medicine dropper feeding
트림
Gavage feeding
Assist with breast feeding
▣ 수유
첫 수유는 4~6시간 NPO시킨 후 Glucose water 15~20cc로 수유를 시작, 구토나 이상 증상이 없으면 점차 조유 농도를 높힌다.
1) Bottle feeding
수유전 기저귀를 교환하여 아기가 편안함을 느끼도록하고, 분유의 종류와 양을 확인한다. 수유전 엄마의 손목 안쪽에 한 방울 떨어뜨려 분유가 따뜻한지 확인을 한후 편안한 의자에 앉아 아기를 천천히 흔들면서 아기가 신뢰감을 갖도록 한다.
젖꼭지로 아기의 입가를 자극하여 루팅반사라 일어나도록 하고, 젖꼭지를 혀 뒤로 넣어서 잘 빨수 있도록 해준다. 수유시간은 30분 이하로 하고 수유동안 아기와 눈을 맞추도록 한다.
수유가 끝난후에는 아기를 앉혀 앞으로 약간 숙이게 한 후 등을 부드럽게 문질러 트림을 하도록 한다.
그 후 기저귀를 교환해주고 자세를 측위로 취해 구토시 흡인이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주의점
① 병을 조심스럽게 잡아 젖꼭지가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② 절대로 젖병을 세워놓고 아이에게서 눈을 떼서는 안된다. 아기가 구토시 흡인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③ 수유동안 보온한다.
대부분 이런 방법으로 수유를 하기 때문에 수행할 기회가 많았다. 우선 기저귀를 확인한 후 시작한다. 아이가 구토시 흡인되는 걸 방지하기 위해 약간 고개를 옆으로 돌린 상태에서 주었다.. 공기가 많이 들어가지 않도록 남은우유의 각도도 생각해서 시행을 했다.
2) Medicine dropper feeding
주사기 등을 사용하여 투여하는 것
3) 트림
- 목적 : 수유 후 역류나 흡인을 감소시킨다.
- 방법
① 한쪽팔로 아기의 머리와 등을 지탱하여 아기의 머리가 엄마 어깨위에 오도록 바로
세워 안고, 나머지 손바닥으로 아기를 가볍게 두드려 준다.
② 한쪽 손으로 아기의 머리와 가슴을 지탱하여 엄마의 무릎위에 앉히고, 나머지 손
바닥으로 아기를 가볍게 두드려 준다.
③ 아기를 엄마의 허벅지 위에 엎드리게 하고, 아기의 머리를 아기의 가슴보다 높여준 후, 아기의 등을 손바닥으로 가볍게 두드려 주거나 문질러 준다.
4) Gavage feeding
대부분 코보다는 구강을 사용한다. 코로 삽입하는 경우는 비강호흡이 폐쇄되고 코점막을 자극할 수도 있다. 구강을 사용하는 경우 빠는 반사를 관찰 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 방법
① 카테테로 귓불에서 코 끝까지, 코 끝에서 검상돌기와 배꼽 중간부위까지 길이를 개 어 테이프로 표시한다.
② 무균수를 윤활제롤 사용한 후 카테터를 표시한 곳까지 삽입한다.
③ 주사기로 위액을 뽑아본다. 만약 역류되지 않으면 위속으로 2~3cc정도의 공기를 부 드럽게 주입하면서 청진한다. 청진상으로 부글거리는 소리가 들리면 바로 삽입된 것 이다.
④ 반창고로 카테터를 고정한 후 주사기를 가볍게 밀어넣고 수유를 시작한다.(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