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매체의 언어오용 사례 및 해결방안 (사진, 방송캡쳐 분석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중매체의 언어오용 사례 및 해결방안 (사진, 방송캡쳐 분석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외래어 맞춤법으로 볼 때 정확한 표기법은 ‘초콜릿’이다.
④ ‘씨네마’ → ‘시네마’
‘씨네마’ → ‘시네마’
외래어 표기의 기본원칙의 제 1항 ‘외래어는 한글의 현용 자모 24자로만 적는다.’에 따라 ‘씨네마’는 잘못된 표현이며, ‘시네마’가 올바른 외래어 표기법이다.
⑤ ‘센타’ → ‘센터’
‘센타’는 ‘센터’가 맞는 외래어 맞춤법이므로 ‘센터’로 바꿔 표기해야 한다.
⑥ ‘어서오십시요’ → ‘어서오십시오’
‘어서오십시요.’에서 ‘-요’는 종결보조사이다. ‘-요’는 종결 어미 뒤에 붙어 청자에게 존대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이며 생략하더라도 문장의 문법적인 성립 자체에는 아무런 이상이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어서오십시요.’는 종결보조사인 ‘-요’를 빼면 문장이 성립하지 않고, ‘-요’는 종결보조사이지 종결어미는 아니기 때문에 종결어미 ‘-오’를 넣어서 ‘어서오십시오.’로 고쳐야 올바른 문장이 된다.
2) 광고에서의 언어 오류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 (ㄲ ㄸ ㅃ ㅆ ㅉ)로 나는 경우에는 합성어 사이에 사이시옷을 넣어 쓴다. 이사+짐 → 이삿짐
‘야채셋트’에서 ‘셋트’는 외래어 맞춤법 표기상 ‘세트’로 써야 올바른 표현이다.
‘아구찜’은 생선‘아귀’를 찜으로 요리한 것이다. ‘아귀’는 아귀목 아귀과의 바닷물고기이다. ‘아구’는 ‘아귀’의 잘못된 표현이다. 그러므로 바른 표현은 ‘아구찜’이 아니라 ‘아귀찜’이다.
담장, 울타리 등을 뜻하는 영어 ‘fence\'를 우리말로 쓸 때에는 휀스가 아니 라 펜스로 쓰는 것이 올바른 외래어 표기법이다.
III. 결론
대중매체의 직접적인 사례를 통해 우리말 오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위의 사례 이외에도 우리 주위에는 국어를 오용하는 사례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으며, 그에 익숙해 진 대중은 잘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대중이 먼저 대중매체의 국어 오용을 지적하고 바로 잡지 않으면 잘못된 대중매체의 언어는 계속해서 사용 될 것이고, 그것은 곧 우리의 후손이 올바른 언어생활을 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실제로 대중매체의 언어오용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것은 말을 배우는 어린이나 자라나는 청소년 시기로 그 시기의 잘못 된 언어습관은 올바른 우리 언어에 대한 방향을 잃게 하는 문제점을 낳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대중매체는 올바른 언어로 대중의 바른 언어생활을 인도해야 할 것 이다.
※ 참고문헌 ※
나찬연, 『한글 맞춤법의 이해』, 월인, 2002.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1.19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91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