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처녀비유(처녀들의 夜밤의 난동 사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열처녀비유(처녀들의 夜밤의 난동 사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는 말 : 적막을 깨는 여자의 울음소리
본론

1.상황 배경
2. 사건의 정황
3. 심층취재
4. 종합뉴스
결론

본문내용

처녀들의 夜밤의 난동 사건
“마태복음 25장 1~13절 주해”
들어가는 말 : 적막을 깨는 여자의 울음소리
어느날 밤 모든 사람들이 잠든 사이에 밖에서 처녀들의 대성통곡하는 소리가 들린다. 밤의 적막을 깨는 소리는 여자들의 울음소리였다. 밤에 들리는 울음소리는 그저 청승맞게 흐느껴흘리는 소리가 아니라 “꺼이 꺼이” 곡하는 소리와 같았다. 소름돋을 만큼 울어대는 여자의 울음소리가 들린다. 그것도 하나도 아닌 여럿이 말이다. 정말 끔찍한 일이라도 벌어진 것인가? 사건 현장으로 달려 나갔다. 그곳에 다섯 처녀들은 기쁨의 노래를 부르며 달려가는데 다섯처녀들은 눈물을 흘리며 대성통곡을 하고 있다. 그녀들은 너무나도 아름다운 옷을 입고 있었다. 얼굴도 곱게 분칠을 하고 있었으며 머리에 화관을 쓰고 있었다. 너무나도 아름다운 그녀들이지만 그녀들은 행복해 보이지 않았다. 그녀들은 눈물을 흘리고 있었다. 곱게 화장한 얼굴은 눈물로 범벅이 되어 있었다. 그들은 한 집의 문을 울면서 끈임없이 두드리고 있었다. 제발 좀 들어가게 해달라며 애원하고 있었다. 그집안에서는 요란한 소리가 들렸다. 그들의 눈물의 통곡소리와 달리 행복과 기쁨의 찬 웃음소리가 들려왔다. 그곳에는 도데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었던 것인가? 문을 두드리며 문을 제발 좀 열어달라는 말을 하는 그녀들을 처다보지도 않은 채 그저 그녀들을 문전 박대하는 그 사람은 또 누구인가? 울며 불며 매달리며 곱게 한 메이크업까지 얼룩덜룩 해질 때까지 손에 꼭 쥐었던 그 등대들은 또 무엇때문인가?
우리는 궁금하다. 그녀들의 밤에 소동을 말이다. 아름다운 옷을 입고 그렇게도 슬피 울던 그녀들의 기막힌 사연을 들어보지 않을 수 없다. 자 달려가보자 그들에게 무슨 일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왜 일어났는지로 말이다.
본론
밤에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진 것 인가?
1.상황 배경
IVP 성경 배경 주석일보 -존 월튼 [등]기자 ; 정옥배 [등]역.
「IVP 성경주석」 , p 134~136
결혼식에서 신부의 들러리는 (개역에는 ‘처녀들’- 역주)가 되는 것은 큰 명예로 여겨졌다.
무례할 정도로 준비를 소홀히해서 잔치에 들어가는 못한다는 것은 젊은 여성들에게는 최악의 악몽이 현실로 바뀐 셈이었을 것이다. ‘천국은 이와 같으니’라는 표현에 관해서는 13:24에 대한 해설을 보라. 결혼식은 저녁 무렵에 열렸으며 연회중에는 축하의 의미로 횃불이 켜져 있었다. 행사의 초점은 신부를 신랑의 집가지 데리고 가는 행진에 있었다. 본문의 ‘등불’이 헤롯시대에 사용되던 손에 드는 작은 기름등일 가능성는 희박하다. 모든 증거를 종합해 볼 때 여기 나오는 등불은 헬라와 로마의 결혼식에 사용되던 횃불이었을 것이다. 그것은 막대기를 심지로 삼아 기름에 적신 헝겊으로 둘러싼 것으로 보인다. 근세에 들어전 통적인 팔레스틴 마을에서 열리는 결혼식을 보면 하루 동안 춤의 향연이 이루어진 후 잠에 예식이 시작된다. 먼저 신부와 함께 있던 들러리들이 신부를 뒤에 두고 밖으로 나가 신랑을 횃불로 맞이한 뒤 신부에게로 안내한다. 그러면 다시 그 때부터 신부를 안내해서 신랑의 집까지 행진하게 되는 것이다. 본문에 나오는 것과 같은 횃불이 무한정 탈 수는 없었다. 발견된 증거에 따르면 횃불은 15분 밖에 지속되지 못했고, 그 후에 는 불에 탄 헝겊을 벗겨 내고 기름에 적신 새헝겊을 감아주어야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대 팔레스틴의 결혼식 절차가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았으므로 이 “비유에서 처녀들이 잠든 사이에 횃불이 내내 타고 있었던지 (불을 다시 붙이는라 지체 할 필요가 없도록), 신랑의 도착 소식이 알려진 뒤에야 횃불에 불을 지펴는지는 확실히 결정하기 어렵지만, 다수의 학자들이 후자를 지지한다. ” 어쨌든 신랑의 도착이 생각보다 지체되고 있었다면, 그들의 횃불은 여분의 기름이 없이는 계속 탈 수 없었을 것이다. 신랑의 도착이 지연되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었고, 신랑이 오고 있다는 소식은 정작 도착하는 순간까지 반복해서 전해졌다.
신부 들러리들이 신랑 집까지 행진을 하고 무도회에 참석하기 위해서는 횃불을 계속해서 태울 수 있는 여분의 기름이 필요했다. 기름을 나누어 쓰게 되면 어느 횃불도 끝까지 타지 못해서 잔치를 망쳐 버릴 위험이 있다. (대도시라면 밤늦게 문을 여는가게가 있었을지 모르지만 ) 한 밤중에 기름을 파는 상인을 찾기란 쉽지 않았을 것이다. 어리석은 들러리 처녀들은 행사에 늦을 수 밖에 없었다. 이 여인들은 신랑을 만나 신부를 집에서부터 대동해 신랑아버지의 집으로 다시 가서 잔치에 참석하는 행렬을 이끌어야 했다. 문을 걸어 잠그는 빗장은 시끄러운 소리를 내는 투박한 물건이었다. 이 과정을 필요할 때 에만 반복하는 것으로서 , 새로운 방문객을 환영하는 마음이 들지 않게 만들었다. (참고 눅 11:17)
어리석은 들러리 처녀들은 축제의 노래와 춤은 물론 , 신랑 집으로 가는 행진 과정 전체를 놓쳐버리고 말았다. 그뿐만 아니라 유대식 혼례의 꽃이랄 수 있는 과정, 즉 신부가 신랑의 집에 차려진 혼례용 차양 밑으로 들어가는 순간을 보지 모했다. 혼주의 명예를 실추시킨 이들은 예식 후 7일간 지속되는 연회에도 초대되지 못했다.
2. 사건의 정황
- 깨어 있어라 -
Short matthew일보 - 정훈택 기자 정훈택,「쉬운 주석 마태복음」, p 342~ 343
25장 :▶ 1절 그때에 천국은

키워드

  • 가격2,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1.19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91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