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구제역(口蹄疫, FMD: Foot-and-Mouth Disease)
1. 구제역의 정의
2. 구제역 특성
3. 병인체
4. 전염경로
5. 증상
6. 진단
7. 병리해부소견
8. 치료 및 예방약
9. 치료
10. 예후
11. 예방, 관리
Ⅲ. 구제역 사태의 발생과 경과
1. 발생 추정원인
2. 확산 경로
[1단계] 11.28 ~ 12.04
[2단계] 12.05 ~ 12.10(13일까지 타지역 확산 초기)
[3단계] 12.11 ~ 12.20(경기지역에만 확산)
[4단계] 12.21 ~ 12.31(전국적 확산 초기)
[5단계] 01.01 ~ (전국적 확산 단계)
3. 영향
Ⅳ. 외국 구제역 발생 사례
1. 대만
2. 영국
3. 일본
4. 기타유럽, 캐나다
Ⅴ. 구제역 방역과 살처분의 실효성 및 보상대책
1. 구제역 방역
2. 구제역 바이러스의 특징과 살처분의 실효성
3. 보상대책
1) 살처분 시 가축시세 전액 보상
2) 생계안정자금 지원
3) 가축 재구매 자금 지원
Ⅵ. 문제점 개선 및 대응방안
1. 민첩한 정부의 초기 판단대응력 배양
2. 행정 시스템의 재정비
3. 법령의 재정비
4. 전문가 양성
5. 효율적 구제역 예방대책
1) 구제역 발생 시 방역조치 및 대책
2) 효과적 구제역 소독 요령
3) 구제역 예방대책
4) 구제역 예방백신
Ⅶ. 결 론
[참고 자료]
Ⅱ. 구제역(口蹄疫, FMD: Foot-and-Mouth Disease)
1. 구제역의 정의
2. 구제역 특성
3. 병인체
4. 전염경로
5. 증상
6. 진단
7. 병리해부소견
8. 치료 및 예방약
9. 치료
10. 예후
11. 예방, 관리
Ⅲ. 구제역 사태의 발생과 경과
1. 발생 추정원인
2. 확산 경로
[1단계] 11.28 ~ 12.04
[2단계] 12.05 ~ 12.10(13일까지 타지역 확산 초기)
[3단계] 12.11 ~ 12.20(경기지역에만 확산)
[4단계] 12.21 ~ 12.31(전국적 확산 초기)
[5단계] 01.01 ~ (전국적 확산 단계)
3. 영향
Ⅳ. 외국 구제역 발생 사례
1. 대만
2. 영국
3. 일본
4. 기타유럽, 캐나다
Ⅴ. 구제역 방역과 살처분의 실효성 및 보상대책
1. 구제역 방역
2. 구제역 바이러스의 특징과 살처분의 실효성
3. 보상대책
1) 살처분 시 가축시세 전액 보상
2) 생계안정자금 지원
3) 가축 재구매 자금 지원
Ⅵ. 문제점 개선 및 대응방안
1. 민첩한 정부의 초기 판단대응력 배양
2. 행정 시스템의 재정비
3. 법령의 재정비
4. 전문가 양성
5. 효율적 구제역 예방대책
1) 구제역 발생 시 방역조치 및 대책
2) 효과적 구제역 소독 요령
3) 구제역 예방대책
4) 구제역 예방백신
Ⅶ. 결 론
[참고 자료]
본문내용
물의 수입을 철저히 금지하는 것이 기본이다. 그러한 사항은 세계무역기구(WTO) 체제하에서도 무역마찰의 소지가 될 수 없으며, 국제수역사무국(OIE)에서도 권장하고 있는 것이다.
구제역이 상재 발생하고 있는 발생국에 있어서는, 구제역의 예방을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불활화 바이러스 백신이 상품화 되어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예방백신은 함부로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우리나라는 오랜 기간 동안 구제역 비발생 상태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만약의 경우 구제역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예방접종 프로그램 보다는 살처분 정책을 우선으로 하고 있으며, 구제역 백신과 진단액의 수입이나 사용은 물론, 발생우려 국가로부터의 우제류 생축의 수입은 철저히 금지되어 있다. 현재 수의과학연구소에 연구용 또는 긴급 방역용으로 약 10만 두분을 비축해 놓고 있다.
4) 구제역 예방백신
예방백신은 구제역 바이러스를 부유성 세포배양에 감염시키고 결과산물을 정화한 다음 에틸렌아이민으로 불활화 시킨 것을 어주반트와 혼합하는 것이다. 야외 상황에 있어서 관련될 수 있는 여러 가지 혈청형들에 대하여 만전을 기하기 위하여 다가로 혼합되어 있다.
최종 백신 제품은 살아있는 바이러스가 잔류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사항은 흔히 불활화 바이러스 제제에 대한 시험관내 시험과 최종 백신제품에 대한 생체시험을 조합하여 시행한다. 공격시험도 이루어진다. 면역성에 있어서 만족스런 수준을 확보하기 위하여 2내지 4주 간격으로 2회 접종하고 4내지 12개월마다 재접종 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재접종의 빈도는 역학적 상황과 사용된 백신의 품질에 의존하게 된다. 구제역 백신의 유효기간은 4℃에서 1년이며 동결보관 되어서는 안 된다.
<아시아 국가의 구제역 발생과 예방백신 현황>
현재, 아시아 지역의 구제역 발생 및 예방약 생산현황을 살펴보면 한국과 일본을 제외한 거의 전 지역에서 산발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오랜기간 구제역 비발생국으로 인정되어 온 대만은 1997년 3월 구제역 발생으로 이제는 비발생 국가에서 제외된 바 있다.
아시아의 발생지역내에서 구제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는 연간 총 62백 만 두 분 이상의 예방백신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 아시아 지역 내의 구제역 예방약 생산국은 이란, 파키스탄, 인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미얀마, 태국, 중국 등 8개국으로 확인되고 있는데 단, 태국과 미얀마를 제외하고는 OIE에서 제정한 국제 기준에 미달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부적합한 예방백신의 사용은 구제역의 근절을 더욱 어렵게 하거나, 구제역을 전파하는 요인 중의 하나로도 지목되고 있다.
한편, 중국에 있어서는 구제역 예방백신의 생산과 검정을 중국농업과학원(中國農業科學院) 산하기관인 난주수의연구소(蘭州獸醫硏究所)에서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OIE 규정 등 국제기준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자체기준대로 생산 및 검정을 시행하고 있다.
중국 국내 분리주를 사용하고 있는데 FMD Type A(甲형), FMD Type O(乙형)을 이용하여 불활화 백신을 개발하여 사용하기도 하고 있지만 아울러 마우스에 순화시킨 약독백신도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생독 예방약이므로 일정한 잔여독력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Ⅶ. 결 론
매년 구제역이 발생한다. 구제역 역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전염병으로 치사율이 5~55%정도다. 이 말은 구제역 바이러스 역시 매년 얼마나 오래 유행할지, 얼마나 많은 지역에 영향을 미칠지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는 뜻이다.
치사율이 5~55%일만큼 범위가 크다. 신종플루와 마찬가지로 예방접종만이 의학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나 마찬가지인데 이 역시 캐리어 현상 등의 부작용으로 농가에서 꺼리는 분위기다. 그렇다면 구제역이란 문제를 풀 수 있는 해법 역시 한가지뿐이다. 걸리지 않는 것.
평소 소의 면역력을 높여 구제역 바이러스에 스스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인간이 취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인 셈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소를 기르는 모습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 요즘의 소를 기르는 농가에서는 많은 고기를 얻기 위해 사료를 먹이고 움직임을 최대한 자제하도록 만든다. 이는 운동능력을 떨어뜨리고, 소의 면역체계가 약해지게 만든다. 축사 역시 비용의 효용성이라는 이유로 수용할 수 있는 한 최대한으로 소들을 몰아넣고 기르기 때문에 한 마리가 구제역에 걸릴 경우 그 확산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많은 살처분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결국 우권(牛權)을 보장하여, 소를 기르는 환경을 개선할 때 구제역 바이러스로부터 조금이나마 자유로워질 수 있다.
매년 구제역에 관한 언론 보도가 나올 때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방역당국을 꼬집는 목소리가 나온다. 그러나 소를 잃더라도 제대로 외양간만 고치면 다음 해에는 더 이상 소를 잃을 일이 없어진다. 지금 필요한 것은 소들이 살기에 쾌적한 환경이 될 수 있도록 외양간을 고치는 일이다. 또한 농민들 역시 적은 이익을 더 남기기 위해 소들의 면역체계를 무시하는 방법으로 계속해서 소를 기를 경우 매년 이보다 더 처참한 결과를 부를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고, 건강한 소를 기르기 위한 농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부디 더 이상 살아있는 생명을 땅에 묻는 가슴 아픈 일이 생기지 않기를 바란다.
[참고 자료]
김상균, 가축질병학, 유한문화사, 2008
강영배, 해외가축전염병. '06 농촌지도공무원 교재 <가축위생>.. 농촌진흥청. 2006
OIE, Manual of Standards for Diagnostic Tests and Vaccines. Paris France, 1997
구제역 확산 초기대응 강화… 농가 방역소독기 확대 추진, 경인일보, 2011.01.20
구제역, 앞으로 2주간이 중대고비다, 아시아투데이, 2011.01.19.
효율적인 '구제역 사후 환경관리대책' 모색, 2011.01.12
경기도, 1차진단권 확보 등 구제역대책 추진(종합), 연합뉴스, 2011.01.11
국립수의과학검역원, www.nvrqs.go.kr
대성미생물연구소, www.dsmbio.com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구제역이 상재 발생하고 있는 발생국에 있어서는, 구제역의 예방을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불활화 바이러스 백신이 상품화 되어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예방백신은 함부로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우리나라는 오랜 기간 동안 구제역 비발생 상태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만약의 경우 구제역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예방접종 프로그램 보다는 살처분 정책을 우선으로 하고 있으며, 구제역 백신과 진단액의 수입이나 사용은 물론, 발생우려 국가로부터의 우제류 생축의 수입은 철저히 금지되어 있다. 현재 수의과학연구소에 연구용 또는 긴급 방역용으로 약 10만 두분을 비축해 놓고 있다.
4) 구제역 예방백신
예방백신은 구제역 바이러스를 부유성 세포배양에 감염시키고 결과산물을 정화한 다음 에틸렌아이민으로 불활화 시킨 것을 어주반트와 혼합하는 것이다. 야외 상황에 있어서 관련될 수 있는 여러 가지 혈청형들에 대하여 만전을 기하기 위하여 다가로 혼합되어 있다.
최종 백신 제품은 살아있는 바이러스가 잔류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사항은 흔히 불활화 바이러스 제제에 대한 시험관내 시험과 최종 백신제품에 대한 생체시험을 조합하여 시행한다. 공격시험도 이루어진다. 면역성에 있어서 만족스런 수준을 확보하기 위하여 2내지 4주 간격으로 2회 접종하고 4내지 12개월마다 재접종 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재접종의 빈도는 역학적 상황과 사용된 백신의 품질에 의존하게 된다. 구제역 백신의 유효기간은 4℃에서 1년이며 동결보관 되어서는 안 된다.
<아시아 국가의 구제역 발생과 예방백신 현황>
현재, 아시아 지역의 구제역 발생 및 예방약 생산현황을 살펴보면 한국과 일본을 제외한 거의 전 지역에서 산발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오랜기간 구제역 비발생국으로 인정되어 온 대만은 1997년 3월 구제역 발생으로 이제는 비발생 국가에서 제외된 바 있다.
아시아의 발생지역내에서 구제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는 연간 총 62백 만 두 분 이상의 예방백신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 아시아 지역 내의 구제역 예방약 생산국은 이란, 파키스탄, 인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미얀마, 태국, 중국 등 8개국으로 확인되고 있는데 단, 태국과 미얀마를 제외하고는 OIE에서 제정한 국제 기준에 미달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부적합한 예방백신의 사용은 구제역의 근절을 더욱 어렵게 하거나, 구제역을 전파하는 요인 중의 하나로도 지목되고 있다.
한편, 중국에 있어서는 구제역 예방백신의 생산과 검정을 중국농업과학원(中國農業科學院) 산하기관인 난주수의연구소(蘭州獸醫硏究所)에서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OIE 규정 등 국제기준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자체기준대로 생산 및 검정을 시행하고 있다.
중국 국내 분리주를 사용하고 있는데 FMD Type A(甲형), FMD Type O(乙형)을 이용하여 불활화 백신을 개발하여 사용하기도 하고 있지만 아울러 마우스에 순화시킨 약독백신도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생독 예방약이므로 일정한 잔여독력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Ⅶ. 결 론
매년 구제역이 발생한다. 구제역 역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전염병으로 치사율이 5~55%정도다. 이 말은 구제역 바이러스 역시 매년 얼마나 오래 유행할지, 얼마나 많은 지역에 영향을 미칠지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는 뜻이다.
치사율이 5~55%일만큼 범위가 크다. 신종플루와 마찬가지로 예방접종만이 의학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나 마찬가지인데 이 역시 캐리어 현상 등의 부작용으로 농가에서 꺼리는 분위기다. 그렇다면 구제역이란 문제를 풀 수 있는 해법 역시 한가지뿐이다. 걸리지 않는 것.
평소 소의 면역력을 높여 구제역 바이러스에 스스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인간이 취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인 셈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소를 기르는 모습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 요즘의 소를 기르는 농가에서는 많은 고기를 얻기 위해 사료를 먹이고 움직임을 최대한 자제하도록 만든다. 이는 운동능력을 떨어뜨리고, 소의 면역체계가 약해지게 만든다. 축사 역시 비용의 효용성이라는 이유로 수용할 수 있는 한 최대한으로 소들을 몰아넣고 기르기 때문에 한 마리가 구제역에 걸릴 경우 그 확산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많은 살처분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결국 우권(牛權)을 보장하여, 소를 기르는 환경을 개선할 때 구제역 바이러스로부터 조금이나마 자유로워질 수 있다.
매년 구제역에 관한 언론 보도가 나올 때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방역당국을 꼬집는 목소리가 나온다. 그러나 소를 잃더라도 제대로 외양간만 고치면 다음 해에는 더 이상 소를 잃을 일이 없어진다. 지금 필요한 것은 소들이 살기에 쾌적한 환경이 될 수 있도록 외양간을 고치는 일이다. 또한 농민들 역시 적은 이익을 더 남기기 위해 소들의 면역체계를 무시하는 방법으로 계속해서 소를 기를 경우 매년 이보다 더 처참한 결과를 부를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고, 건강한 소를 기르기 위한 농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부디 더 이상 살아있는 생명을 땅에 묻는 가슴 아픈 일이 생기지 않기를 바란다.
[참고 자료]
김상균, 가축질병학, 유한문화사, 2008
강영배, 해외가축전염병. '06 농촌지도공무원 교재 <가축위생>.. 농촌진흥청. 2006
OIE, Manual of Standards for Diagnostic Tests and Vaccines. Paris France, 1997
구제역 확산 초기대응 강화… 농가 방역소독기 확대 추진, 경인일보, 2011.01.20
구제역, 앞으로 2주간이 중대고비다, 아시아투데이, 2011.01.19.
효율적인 '구제역 사후 환경관리대책' 모색, 2011.01.12
경기도, 1차진단권 확보 등 구제역대책 추진(종합), 연합뉴스, 2011.01.11
국립수의과학검역원, www.nvrqs.go.kr
대성미생물연구소, www.dsmbio.com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