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현재 라면시장의 경향 분석
2. 성장률과 점유율
3. 제품 분석
4. SWOT 분석
5. 현재의 경쟁상황 ⑴ 기존 기업들간의 전쟁
⑵ 공급업자의 교섭력
⑶ 구매자의 교섭력
⑷ 잠재적 진입자
⑸ 대체제의 위협
6. 마케팅 전략
⑴ 표적시장선정
⑵ 제품포지셔닝
7. 광고 전략
⑴ 광고의 의도
⑵ 광고의 초점
⑶ 광고에 사용된 소비자 행동분석의 관점
⑷ 광고에 사용된 마케팅 전략
8. 마케팅&광고 전략 평가 및 대안 제시
Ⅲ 결론
Ⅱ 본론
1. 현재 라면시장의 경향 분석
2. 성장률과 점유율
3. 제품 분석
4. SWOT 분석
5. 현재의 경쟁상황 ⑴ 기존 기업들간의 전쟁
⑵ 공급업자의 교섭력
⑶ 구매자의 교섭력
⑷ 잠재적 진입자
⑸ 대체제의 위협
6. 마케팅 전략
⑴ 표적시장선정
⑵ 제품포지셔닝
7. 광고 전략
⑴ 광고의 의도
⑵ 광고의 초점
⑶ 광고에 사용된 소비자 행동분석의 관점
⑷ 광고에 사용된 마케팅 전략
8. 마케팅&광고 전략 평가 및 대안 제시
Ⅲ 결론
본문내용
광고 - 심층적 인지에 의한 제품 선택이 아니라 쉽게 기억되고 속성보다는 제품의 이미지를 공략한 광고이다.
· 컨셉에 맞는 인기가수 섭외 - 삼양식품 서진우 마케팅팀장은 “09년도 신규 광고를 통해 10대, 20대 젊은 층에게 보다 친근한 친구로 다가가기 위해, 순수하면서도 발랄한 매력으로 만인의 친구로 자라잡은 소녀시대를 모델로 발탁했다”며, “특히 오락프로그램 등을 통해 화려하게 꾸며진 모습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을 함께 보내며 눈빛만으로도 통하게 된 우정을 진솔하며 즐겁게 보여주는 모습이 삼양라면의 컨셉과 맞았다”고 밝혔다.
· 브랜드 애호도의 증가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 상승효과를 노린 광고
라면의 애호도 중 맛 다음으로 구매의사에 중요하게 차지하는 것이 바로 브랜드이다. 그래서 삼양라면이 택한 것이 라면의 맛을 강조하는 광고보다 친숙하고 신선한 이미지를 살리자는 것이다. 이미 농심에서 ‘박 지성’을 내세워 맵고 화끈한 광고를 내보인 탓에 삼양라면은 라면의 매운 맛에서 비교적 약하지만, 인기 가수를 선택함으로써 현대인들, 특히 젊은 층들에게 발랄하고 즐거운 친구 같은 이미지를 강조했다.
· 여러 가지 합산된 감각적 기억의 증대
음악·라면 끓는 소리·후르륵 라면을 먹는 소리(청각), 춤·소녀시대의 외모·라면을 맛있게 먹는 모습(시각)의 합산으로 맛을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없기 때문에 미각 이외의 여러 가지 감각적 효과를 살려 라면의 맛을 재현했다.
· 징글(Jingle) 효과
소녀시대 멤버들이 연신 연발하는 ‘보글보글’, ‘친구라면’의 문구를 화면에 삽입하여 시각·청각을 함께 제시하여 훨씬 쉽게 기억되도록 함.
8. 마케팅&광고 전략 평가 및 대안 제시
· 제품 이미지의 변화
삼양라면의 마케팅은 처음부터 지금까지 계속 ‘원조’만 고집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소비자들은 ‘원조’의 맛보다는 새로운 맛과 신선한 느낌의 제품을 선호한다. 최근 소녀시대의 광고로 인하여 신선한 느낌을 제공하며 젊은 연령층의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아직 ‘원조라면’의 오래되고 변화 없는 맛이라는 이미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원조가 강한 타이틀이 될 수도 있으나 너무 원조의 맛만 고집한다면 소비자는 외면하게 될 것이다.
· 다른 제품과의 경쟁판매 유도
‘11월 13일 게임형 쇼핑몰 맞짱닷컴(www.martzzang.com)에서 15일 오전 9시까지 박지성과 소녀시대가 모델로 활동 중인 라면계의 양대 산맥인 신라면과 삼양라면의 판매대결을 진행.‘
현재 라면 시장의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신라면과의 대결 구도로 당연한 라이벌로 인식하게 하여 저관여 제품인 라면의 ‘다양성 추구’를 할 수 있다. 즉, 소비자가 신라면을 먹고 싶지 않을 때 그에 상응하는 수준인 삼양라면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져 후일의 삼양라면의 ‘관성적 구매’를 유도하여 미래의 주 소비 가능성을 높인다.
· 온라인에서의 제품 판매
주부나 현재까지 꾸준히 삼양라면을 구매해 온 소비자들에서 마케팅 타겟을 젊은 소비층들로 폭을 넓히고 있는 현재, 젊은 소비자층들의 주 구매 방법인 온라인에서의 마케팅을 확산한다. 다양한 행사와 할인 판매를 하면서 온라인 판매 사이트(g마켓, 옥션 등)의 광고 배너 등을 적극 이용해 소비자들에게 친숙한 이미지를 형성한다.
· 삼양라면 공식 음식점 오픈
‘틈새라면’은 라면시장의 신라면 외에는 없었던, 그리고 신라면 보다 더 매운 (가장 매운) 맛을 자랑하는 그야말로 ‘매운맛’의 틈새를 노리고 들어와 성공한 대표적 사례이다. 이 라면은 처음에 일반 작은 라면 가게에서 심하게 매운 맛을 고집해 온 사장이 직접 만든 브랜드이다. 삼양라면도 이를 공략해 삼양라면 전용 판매점을 오픈해 삼양라면만의 고소하고 깊은 맛을 살려 삼양라면의 브랜드 친숙도를 높인다. 이 때, 내 생각에는 삼양식품의 여러 가지 상품들을 같이 판매하여 삼양의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는 마케팅 효과에도 좋을 것이다.
· 국외로의 수출
한류 열풍이 불면서 현재 대중들은 외화를 벌어 오고 외국에서도 인정받는 연예인들을 더욱 능력 있고 호감 가는 연예인이라고 적극 추천하고 지지한다. 이에 발맞춰 삼양라면의 입맛에 맞는 국가를 찾아내거나, 혹은 우리나라 라면의 맛을 널리 알려 라면의 국외 수출을 적극 추진하는 것도 국내 소비자들과 국외 잠재적 소비자들 둘 다 잡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획이라고 생각한다.
Ⅲ 결론
삼양라면의 마케팅은 다른 경쟁 브랜드(특히 농심)에 맞추어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또한 소비자들에게 그렇게 인식
· 컨셉에 맞는 인기가수 섭외 - 삼양식품 서진우 마케팅팀장은 “09년도 신규 광고를 통해 10대, 20대 젊은 층에게 보다 친근한 친구로 다가가기 위해, 순수하면서도 발랄한 매력으로 만인의 친구로 자라잡은 소녀시대를 모델로 발탁했다”며, “특히 오락프로그램 등을 통해 화려하게 꾸며진 모습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을 함께 보내며 눈빛만으로도 통하게 된 우정을 진솔하며 즐겁게 보여주는 모습이 삼양라면의 컨셉과 맞았다”고 밝혔다.
· 브랜드 애호도의 증가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 상승효과를 노린 광고
라면의 애호도 중 맛 다음으로 구매의사에 중요하게 차지하는 것이 바로 브랜드이다. 그래서 삼양라면이 택한 것이 라면의 맛을 강조하는 광고보다 친숙하고 신선한 이미지를 살리자는 것이다. 이미 농심에서 ‘박 지성’을 내세워 맵고 화끈한 광고를 내보인 탓에 삼양라면은 라면의 매운 맛에서 비교적 약하지만, 인기 가수를 선택함으로써 현대인들, 특히 젊은 층들에게 발랄하고 즐거운 친구 같은 이미지를 강조했다.
· 여러 가지 합산된 감각적 기억의 증대
음악·라면 끓는 소리·후르륵 라면을 먹는 소리(청각), 춤·소녀시대의 외모·라면을 맛있게 먹는 모습(시각)의 합산으로 맛을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없기 때문에 미각 이외의 여러 가지 감각적 효과를 살려 라면의 맛을 재현했다.
· 징글(Jingle) 효과
소녀시대 멤버들이 연신 연발하는 ‘보글보글’, ‘친구라면’의 문구를 화면에 삽입하여 시각·청각을 함께 제시하여 훨씬 쉽게 기억되도록 함.
8. 마케팅&광고 전략 평가 및 대안 제시
· 제품 이미지의 변화
삼양라면의 마케팅은 처음부터 지금까지 계속 ‘원조’만 고집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소비자들은 ‘원조’의 맛보다는 새로운 맛과 신선한 느낌의 제품을 선호한다. 최근 소녀시대의 광고로 인하여 신선한 느낌을 제공하며 젊은 연령층의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아직 ‘원조라면’의 오래되고 변화 없는 맛이라는 이미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원조가 강한 타이틀이 될 수도 있으나 너무 원조의 맛만 고집한다면 소비자는 외면하게 될 것이다.
· 다른 제품과의 경쟁판매 유도
‘11월 13일 게임형 쇼핑몰 맞짱닷컴(www.martzzang.com)에서 15일 오전 9시까지 박지성과 소녀시대가 모델로 활동 중인 라면계의 양대 산맥인 신라면과 삼양라면의 판매대결을 진행.‘
현재 라면 시장의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신라면과의 대결 구도로 당연한 라이벌로 인식하게 하여 저관여 제품인 라면의 ‘다양성 추구’를 할 수 있다. 즉, 소비자가 신라면을 먹고 싶지 않을 때 그에 상응하는 수준인 삼양라면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져 후일의 삼양라면의 ‘관성적 구매’를 유도하여 미래의 주 소비 가능성을 높인다.
· 온라인에서의 제품 판매
주부나 현재까지 꾸준히 삼양라면을 구매해 온 소비자들에서 마케팅 타겟을 젊은 소비층들로 폭을 넓히고 있는 현재, 젊은 소비자층들의 주 구매 방법인 온라인에서의 마케팅을 확산한다. 다양한 행사와 할인 판매를 하면서 온라인 판매 사이트(g마켓, 옥션 등)의 광고 배너 등을 적극 이용해 소비자들에게 친숙한 이미지를 형성한다.
· 삼양라면 공식 음식점 오픈
‘틈새라면’은 라면시장의 신라면 외에는 없었던, 그리고 신라면 보다 더 매운 (가장 매운) 맛을 자랑하는 그야말로 ‘매운맛’의 틈새를 노리고 들어와 성공한 대표적 사례이다. 이 라면은 처음에 일반 작은 라면 가게에서 심하게 매운 맛을 고집해 온 사장이 직접 만든 브랜드이다. 삼양라면도 이를 공략해 삼양라면 전용 판매점을 오픈해 삼양라면만의 고소하고 깊은 맛을 살려 삼양라면의 브랜드 친숙도를 높인다. 이 때, 내 생각에는 삼양식품의 여러 가지 상품들을 같이 판매하여 삼양의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는 마케팅 효과에도 좋을 것이다.
· 국외로의 수출
한류 열풍이 불면서 현재 대중들은 외화를 벌어 오고 외국에서도 인정받는 연예인들을 더욱 능력 있고 호감 가는 연예인이라고 적극 추천하고 지지한다. 이에 발맞춰 삼양라면의 입맛에 맞는 국가를 찾아내거나, 혹은 우리나라 라면의 맛을 널리 알려 라면의 국외 수출을 적극 추진하는 것도 국내 소비자들과 국외 잠재적 소비자들 둘 다 잡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획이라고 생각한다.
Ⅲ 결론
삼양라면의 마케팅은 다른 경쟁 브랜드(특히 농심)에 맞추어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또한 소비자들에게 그렇게 인식
추천자료
국내산업 분류와 위상 변화 경쟁력 산업현황 유망산업
언론에 대한 비판
농심의 성공요인 분석
[마케팅] 한국형 포지셔닝의 서평과 관련 마케팅 사례
[마케팅] 풀무원 성공요인 분석
소녀시대에 관한 고찰
[요약, 독후감] 차별화의 법칙을 읽고...
농심의 중국시장 마케팅 전략 분석
한국기업의 중국 진입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생산시스템의 설계와 생산계획
나가사끼 짬뽕 [광고커뮤니케이션 제안서] 환경분석, 광고 기본 전략, 크리에이티브전략, 광...
시장 아이템 조사 꼬꼬면
농심 기업분석
[농심 마케팅,경영전략] 농심 기업성공과 SWOT분석및 농심 마케팅,글로벌마팅,경영전략분석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