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마'찐으 우리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짜마'찐으 우리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작가 ․ 작품
전체주의를 풍자한 천재적 스타일리스트
1.일대기
2.자먀찐의 작품세계
3.소설이 쓰일 당시의 시대적 배경
Ⅱ우리들 줄거리
Ⅲ감상
Ⅳ작품 분석
1.문학사적 의의
2.유토피아와 반(反)유토피아
3.예언적 측면
4.실험주의와 과학주의

본문내용

세계도 아닌 이성과 비이성이 통합된 세계이다. 녹색의 벽의 존재들에 대해 I-330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
“우리가 상실한 반쪽이죠. H와 O - H2O, 즉 개울과 바다, 폭포, 파도, 폭풍이 있기 위해서는 양쪽이 결합되어야 하죠.”(28장)
쟈먀찐은 비이성과 이성이 통합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단일제국이 제시하는 유토피아는 자유를 배제한 이성에 기반을 둔 행복에 의한 것이며, 여기에 끼어든 비이성은 행복이란 환상을 깨뜨리고 이성과 비이성과 통합된 세계를 주장한다. 바로 이것이 텍스트에 나타난 반유토피아의 의미이다. http://blog.naver.com/xiaozhen1005/100011669522 2006.11.10
3.예언적 측면
「우리들」은 예언적 소설로서 과학과 논리를 기초로 한 사회주의의 미래에 대한 비판으로 간주하였다. 마지막 혁명과 지상낙원을 선전하면서 자본주의와 부르주아 계급을 타도했던 공산주의 혁명에 반기를 든 자먀찐은 “마지막 숫자가 없듯이 마지막 혁명도 없다” 라고 단언하였다. 혁명은 우주의 법칙으로 어디에서나 일어난다. 특히 인간의 마음에서 혁명은 잠자지 않고 언제나 꿈틀거리고 있다. 자먀찐은 전체주의나 사회주의를 예고한 도스또예프스끼의 사상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전체주의적 사회주의의 유토피아에 대한 묵시록적 경고로서 디스토피아 소설을 만들어낸 것이다. 실제로 이소설은 과학적으로 뿐만 아니라 정치적 사회적으로도 만장일치의 선거와 국민들을 상호감시하고 종교와 예술을 국가에 예속시키는 전체주의를 예고 했다. 우리는 독일의 히틀러 파쇼 정권과 소비에트 시대의 스딸린 공산주의를 통해 이미 단일 제국의 허상을 경험하였다.
단일제국의 위협은 끝난 것이 아니라 앞으로도 새로운 형태의 전체주의로 계속 위협이 될 수 있다. 미래의 단일제국은 바로 에셜런 지구의 하늘과 땅에 있는 모든 유선무선 통신을 도청할 수 있는 시스템
을 이용하는 새로운 전체주의 국가의 탄생을 예고해 준다. 과거 단일제국은 히틀러나 스딸린이 통제하는 전체주의 국가나 공산주의 국가를 쉽게 생각할 수 있었다. 이데올로기가 종언된 오늘날에는 새로운 게계국가의 탄생을 예고한다. 테러리즘과의 전쟁을 선언한 미국은 급부상하는 새로운 경찰국가로 자먀찐이 우려하는 길로 달려가고 있다. 자먀찐의 소설은 인간의 고독과 자아상실을 부추기는 기술문명의 허상과 위험을 예리하게 통찰하고 있으며 인류의 미래 삶에 대한 예언적 혜안을 제시해 주고 있다. 「러시아 문학의 하이퍼텍스트」(평민사 2002발행 조주관) P328~329
4.실험주의와 과학주의
자먀찐의 소설의 기본적 특징 가운데 하나는 실험주의라 할수 있다. 그의 소설은 인간이 과학과 맺는 관계의 문제들을 들추어낸다.
실험주의의 기본정신은 새로움의 추구이다. 새로움의 이상은 새로운 형식의 필요이다. 형식적이든 내용에 대한 의미이든 실험을 의미한다. 자먀찐은 작중인물들의 이름을 문자와 숫자의 결합으로 나타냈다. 남자는 자음+숫자(D503), 여성은 모음+숫자(I-330)이다. 인간이 고유의 이름을 상실하고 숫자로 남을때, 그새로움은 인간의 존재 가치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예고할수 있다. 오늘날 모든 상품은 문자와 숫자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바코드로 처리된다. 인간도 머지 않아 상품처럼 바코드로 처리될 가능성이 크다. 주민등록번호, 소셜 씨크리티 넘버 그리고 크레디트 넘버가 그러한 예증이 되기도 한다.
과학주의는 과학적 표현을 그저 비유적이고 상징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과학주의라는 말의 사용은 더 정신적이고 물질적인 모든 힘과 기능을 에너지라는 과학적 개념으로 부르고 이름 붙이는 그런 세계관에서 가능하게 되었다. 자먀찐의 과학주의는 기술 찬미의 특이한 표현인 동시에 현대 문화의 우상들을 우주적 신화로 만들려고 했던 전체적 역동성의 표현이기도 하다. 「러시아 문학의 하이퍼텍스트」(평민사 2002발행 조주관) P329~330
【참고도서】
「러시아 문학의 하이퍼텍스트」(평민사 2002발행 조주관) P321
「러시아 문학 입문」(월인 출판사 김규진)P198
「우리들」(열린책들 1996 석영중이현숙)
“자먀찐의 안티 유토피아”「중앙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9년」김세일
“우리들의 신화적 구조 연구” 고려대학교 이현숙 석사 논문
http://blog.naver.com/xiaozhen1005/100011669522
http://blog.naver.com/edurussia?Redirect=Log&logNo
http://memolog.blog.naver.com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2.21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19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