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Ⅱ-Ⅰ.그 당시의 정치적 상황
Ⅱ-Ⅱ.주요인물의 성장과정 및 등장배경
Ⅱ-Ⅲ.환국정치의 전개 과정
Ⅱ-Ⅳ.환국정치의 말로
Ⅲ. 결론
Ⅱ. 본론
Ⅱ-Ⅰ.그 당시의 정치적 상황
Ⅱ-Ⅱ.주요인물의 성장과정 및 등장배경
Ⅱ-Ⅲ.환국정치의 전개 과정
Ⅱ-Ⅳ.환국정치의 말로
Ⅲ. 결론
본문내용
Ⅱ-Ⅳ.환국정치의 말로
환국정치의 종말을 알리는 희빈의 죽음
1701년 민비가 죽고 나서 취선당 서쪽에 신당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희빈 장씨가 신당을 차려놓고 무당을 불러 굿을 하기도 하고 매일같이 민비가 죽기를 기원하며 자신의 복위를 꾀했는데. 실제로 민비가 죽자 이 신당 문제는 걷잡을수 없는 정치적 사건으로 확대되고 말았다. 숙종은 신당 사건의 전모를 보고 받고 희빈 장씨와 그녀의 오빠 장희재를 죽이라고 했지만 소론 측의 남구만은 후에 세자에게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이를 저지하려 하였다.당시의 정국은 장씨 소생의 세자에 대한 지지 여부를 놓고 노론과 소론이 대립하고 있던 상태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숙종은 소론 측의 말을 듣지 않았다. 희빈장씨에게 샤악을 내리고 장희재와 무속인 그리고 희빈 장씨의 주변인들을 국문하여 죽였으며 희빈장씨에 대한 치죄를 만류하던 소론 세력도 제거해 버렸다.
환국정치 이후의 정치적 상황
위 사건으로 인하여 소론의 거두들이 유배되거나 파면되었다. 조정은 다시 노론이 주도권을 잡게 되었다. 하지만 이후 세자 지지 문제를 중심으로 소론과 노론의 대립은 가속화되어 점차 대등한 세력을 형성하게 되었다. 하지만 영조대의 장헌세자 사건 이후 노론은 벽파와 시파로 분리되고 소론과 남인이 시파에 합류해 조정은 시파. 벽파의 대결 양상으로 치닫게 된다. 또한 숙종의 왕권강화 의지는 후일 영조의 탕평책으로 계승되어 조선이 신하들의 나라가 아니라 엄연히 왕의 나라라는 것을 재확인 시켰다. 그러나 영정조의 탕평책에도 불구하고 당쟁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해결되지 못하였다. 그렇다고 해서 이런 정치책이 꼭 나쁘다고 볼 수 만은 없다.언제나 경쟁가운데 발전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선의 붕당정치는 서로 간의 견제 속에서 발전한 정치형태라고 볼 수 있으며 지금은 사림 정치라는 개념으로 조선 중후기의 정치를 이해하려는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Ⅲ. 결론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환국정치에는 왕권강화를 꾀했던 숙종의 치밀한 계산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고, 환국정치의 전개과정과 장희빈이란 여인의 삶은 밀접한 관계가 있었음도 알 수 있었다. 얕은 지식의 사람들은 그 동안 장희빈은 임금의 사랑을 받기 위해 어떤 일이라도 저질렀던 악녀이고, 숙종은 변덕스럽고 줏대 없는 선택을 일삼는 임금에 불과하다고 생각 했었을지 모른다. 하지만 이번 자료 조사를 해보면서 장희빈은 어쩌면 시대가 낳은 희생양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실제로 그 시대에 상대방을 저주했다고 하여 사약을 받은 여인은 많지 않았다. 실록에는 ‘투기는 부인네의 인지상정’ 이란 말로써 여인들의 저주를 단순한 투기에서 나온 것으로 보아 곤장형이나, 폐서인으로 내쫓는 완화책을 사용한 사례가 많았던 것이다. 즉, 장희빈을 죽음으로 까지 몰고 간 것은 단지 그녀가 인현왕후를 저주 한 이유가 아닌 그녀가 정치적으로 죽어야만 할 이유가 있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다시 말해 그녀의 죽음은 남인의 세력을 완전히 제거하려는 서인들의 치밀한 계획에서 시작되었던 것이다. 또한 서인세력의 구심점이라고 할 수 있는 인현왕후가 죽은 상태에서 남인세력의 구심점인 장희빈을 살려둔다면 훗날 권력에 균형을 맞추기가 힘들 것임을 간파한 숙종의 냉철한 선택도 장희빈을 죽음으로 몰고 갔다고 할 수 있다. 비록 이렇게 희생양으로서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 장희빈 이지만 그녀의 죽음이 있었기에 탕평의 기초가 세워질 수 있었고 후일 영조의 탕평책도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이라 생각한다. 그렇다면 장희빈이란 여인은 우리 역사에 여인으로서는 꽤 큰 획을 그은 인물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환국정치의 종말을 알리는 희빈의 죽음
1701년 민비가 죽고 나서 취선당 서쪽에 신당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희빈 장씨가 신당을 차려놓고 무당을 불러 굿을 하기도 하고 매일같이 민비가 죽기를 기원하며 자신의 복위를 꾀했는데. 실제로 민비가 죽자 이 신당 문제는 걷잡을수 없는 정치적 사건으로 확대되고 말았다. 숙종은 신당 사건의 전모를 보고 받고 희빈 장씨와 그녀의 오빠 장희재를 죽이라고 했지만 소론 측의 남구만은 후에 세자에게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이를 저지하려 하였다.당시의 정국은 장씨 소생의 세자에 대한 지지 여부를 놓고 노론과 소론이 대립하고 있던 상태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숙종은 소론 측의 말을 듣지 않았다. 희빈장씨에게 샤악을 내리고 장희재와 무속인 그리고 희빈 장씨의 주변인들을 국문하여 죽였으며 희빈장씨에 대한 치죄를 만류하던 소론 세력도 제거해 버렸다.
환국정치 이후의 정치적 상황
위 사건으로 인하여 소론의 거두들이 유배되거나 파면되었다. 조정은 다시 노론이 주도권을 잡게 되었다. 하지만 이후 세자 지지 문제를 중심으로 소론과 노론의 대립은 가속화되어 점차 대등한 세력을 형성하게 되었다. 하지만 영조대의 장헌세자 사건 이후 노론은 벽파와 시파로 분리되고 소론과 남인이 시파에 합류해 조정은 시파. 벽파의 대결 양상으로 치닫게 된다. 또한 숙종의 왕권강화 의지는 후일 영조의 탕평책으로 계승되어 조선이 신하들의 나라가 아니라 엄연히 왕의 나라라는 것을 재확인 시켰다. 그러나 영정조의 탕평책에도 불구하고 당쟁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해결되지 못하였다. 그렇다고 해서 이런 정치책이 꼭 나쁘다고 볼 수 만은 없다.언제나 경쟁가운데 발전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선의 붕당정치는 서로 간의 견제 속에서 발전한 정치형태라고 볼 수 있으며 지금은 사림 정치라는 개념으로 조선 중후기의 정치를 이해하려는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Ⅲ. 결론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환국정치에는 왕권강화를 꾀했던 숙종의 치밀한 계산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고, 환국정치의 전개과정과 장희빈이란 여인의 삶은 밀접한 관계가 있었음도 알 수 있었다. 얕은 지식의 사람들은 그 동안 장희빈은 임금의 사랑을 받기 위해 어떤 일이라도 저질렀던 악녀이고, 숙종은 변덕스럽고 줏대 없는 선택을 일삼는 임금에 불과하다고 생각 했었을지 모른다. 하지만 이번 자료 조사를 해보면서 장희빈은 어쩌면 시대가 낳은 희생양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실제로 그 시대에 상대방을 저주했다고 하여 사약을 받은 여인은 많지 않았다. 실록에는 ‘투기는 부인네의 인지상정’ 이란 말로써 여인들의 저주를 단순한 투기에서 나온 것으로 보아 곤장형이나, 폐서인으로 내쫓는 완화책을 사용한 사례가 많았던 것이다. 즉, 장희빈을 죽음으로 까지 몰고 간 것은 단지 그녀가 인현왕후를 저주 한 이유가 아닌 그녀가 정치적으로 죽어야만 할 이유가 있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다시 말해 그녀의 죽음은 남인의 세력을 완전히 제거하려는 서인들의 치밀한 계획에서 시작되었던 것이다. 또한 서인세력의 구심점이라고 할 수 있는 인현왕후가 죽은 상태에서 남인세력의 구심점인 장희빈을 살려둔다면 훗날 권력에 균형을 맞추기가 힘들 것임을 간파한 숙종의 냉철한 선택도 장희빈을 죽음으로 몰고 갔다고 할 수 있다. 비록 이렇게 희생양으로서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 장희빈 이지만 그녀의 죽음이 있었기에 탕평의 기초가 세워질 수 있었고 후일 영조의 탕평책도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이라 생각한다. 그렇다면 장희빈이란 여인은 우리 역사에 여인으로서는 꽤 큰 획을 그은 인물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