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CU-간호과정&질병스터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NICU-간호과정&질병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영아의 피부색은 광선요법의 효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치료 후 24~48시간 안에 가장 좋은 결과나 나타난다.
미숙아는 뇌 안으로 빌리루빈의 유입을 증가시키는 관련 질병들 때문에 건강한 만삭아보다 낮은 혈청 빌리루빈 수준에서 병리적 황달이 발생할 위험이 더 크다. 그래서 체중이 1500g 미만인 신생아는 빌리루빈 수치가 5~8mg/dL일 때; 체중이 1500~1999인 신생아는 8~12mg/dL일 때; 체중이 2000~2499g일 때는 11~14mg/dL일 때 광선요법을 시작하도록 권장한다.
C. 황달이 있는 만삭아는 수유를 일찍 시작하고 자주 모유수유를 하는 것이 이롭다. 이러한 예방적 방법들이 장운동을 촉진하고 장과 간의 단락형성을 감소시키며 간접빌리루빈의 효과적 배설을 위해 장의 정상 균주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D. 약물치료 : 약물치료에서 많이 사용되는 것은 phenobarbital이다. 이것은 주로 생리적 황달인 경우 많이 사용하는데, 간 기능의 성숙을 촉진하여 빌리루빈의 포합과 배설을 증가시킨다. 임산부에게 분만 전 1~2주 전에 투여해야 효과가 가장 크며, 때로는 신생아 에게 투여하기도 한다. 그러나 효과가 느리게 나타난다는 점이 단점이며, 병리적 황달의 경우는 광선치료만큼 효과가 크지 않으므로 추천되지 않는다.
※고빌리루빈혈증의 주요 유형 비교
생리적 황달
모유수유관련 황달(조기발생형)
모유수유관련
황달(후기발생형)
병리적 황달
원인
미성숙한 간기능과 적혈구 용혈로 인한 빌리루빈 증가
모유분비가 충분히 이루어지기 전에 적은 수유는 칼로리 부족과 관련
빌리루빈 결합을 막는 모유수유의 요인
잦은 횟수의 배변
피속의 항원부적합성이 적혈구의 많은 용혈을 가져옴
용혈로 인해 많은 빌리루빈이 생성되고 결합할 수 없는 간
시작시기
24시간 이후
(미숙아, 지연아)
생후2~4일
생후5~7일
생후24시간 내(빌리루빈 수치가 5mg/dl/day 보다 더 빠르게 증가)
최고조
72~90시간
3~5일
10~15일
다양
기간
5~7일 감소
다양
3~12주 또는 그 이상 황달이 남아 있을 수 있음
심한 정도에 치료에 따라 좌우
치료
빌리루빈이 5mg/dL/day이 상 오르면 광선요법
모유수유를 자주할 것(10~12회/day)
건강한 정상아의 빌리루빈이 17~22mg/dL이면 광선요법.그리고 인공수유와 교대로 모유수유를 계속함;포도당과 물 공급을 피함
모유수유 횟수를 늘림;포도당물 같은 대체음식을 사용하지 않음; 모유수유 중단하지 않음
빌리루빈 수치가 16mg/dL/day가 되면 12시간 동안 중단시킴;빌리루빈 수치가 감소하면모유수유를 다시 시작
모유수유 중단없이 집에서 광선요법할 수도 있음
심한 정도와 치료 에 따라 좌우
출생 후 - 광선요법:만약 심하면 교환수혈 태어나기전
출생전- 교환수혈(태아)
RhiG(RhoGAM)으로 고-어머니의 감작 예방
Ⅵ. 간호
치료목적은 첫째 핵황달을 예방하고 둘째 혈액 부적합증으로 인한 경우 용혈과정을 전환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광선치료와 교환수혈, 그리고 약물치료 등이 시행된다.
대사성 요구를 감소하기 위한 최적의 따뜻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A. 광선요법 간호
1.옷을 벗기고 눕혀서 신체의 모든 부위가 빛에 노출되도록 하고 자주 체위를 바꿔준다.
2.4~12시간 마다 혈청빌리루빈 수치를 자주 측정해 준다.
3.아이의 눈이 빛에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눈가리개를 사용한다. 착용 시 반드시 감긴 상태에서 안대를 대어준다. 또 눈 검사를 자주 하여 자극증상이나, 분비물 등을 확인한다.
4. 광선용법용 기저귀나 비키니 기저귀로 엉덩이와 생식선은 덮어 보호한다.
5. 체온은 자주 측정하여 중정도 유지한다. - 고/저체온 막기 위해
6. 정확히 기록
a. 광선요법의 시작 시간과 끝내는 시간
b. 눈을 적절하게 가려주는 것
c. 형광등의 유형
d. 등의 수
e. 등의 표면과 아동과의 거리(최소18인치)
f. 인큐베이터 또는 개방된 요람을 겸한 광선요법의 사용
g. 빛의 강도를 측정하는 photometer
h. 부작용의 발생
7. 지용성 윤활제, 로션은 피부가 지나치게 타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하지 않는다.
8. 광선요법이 장을 통해 간접 빌리루빈의 배설을 증진하기에 묽은 변은 증가된 빌리루빈이 제거 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9. 광선요법을 중단하면 혈청 빌리루빈 수치가 올라가는 경우(반동효과) - 일시적, 치료X
10. 가족을 지지한다. 부모들에게는 신생아의 상태에 대한 부단한 안심과 설명이 필요하다. 모든 치료적 절차에 관해 설명하고 안대 착용에 대한 염려도 이해시킨다. 가능한 부모가 아기를 만나러 왔을 때 안대를 잠시 벗겨 애착과정을 촉진시킨다.
호흡부전 증후군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1. 정의 및 원인
호흡부전이란 신생아의 호흡기능 장애나 페성숙의 발달지연과 관련된 일차적 질병을 말한다. 호흡부전증후군 또는 초자양막질환이라고도 하는데, 다른 어떤 질병보다도 높은 영아사망률을 가져올 뿐 아니라 장기적인 폐와 신경계의 합병증을 가져올 가능성이 높다. 이 증후군은 거의 미숙아에게 나타난다. 약물에 노출된 태아나 자궁내에는 만성적인 스트레스(임신성 고혈압 등)를 받은 영아에게는 드물다. 호흡기부전을 일으킬 수 있는 폐 이외의 원인으로는 패혈증, 심장결함, 냉기에 노출, 기도폐색, 뇌실내 출혈, 저혈당, 대사성 산증, 습성 피의 손실, 약물 등이 있다. 신생아기의 폐렴은 박테리아아 바이러스에 의한 호흡부전이고 RDS의 합병증으로 오기도 하고 단독으로 초래될 수도 있다.
⇒ 환아는 27주 1일 만에 태어난 아기로 1200 g 으로 미숙아이다.
2. 병태생리
미숙아들은 폐가 가스교환을 위한 효과적인 기관으로 완전히 발달하기 전에 태어난다. 이것은 RDS를 초래하는 결정적인 요인이다. 자세한 기전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나 이 질병의 발달양상과 상황을 복잡하게 하는 다양한 상호 의존적 관계요인이 밝혀져 있다.
출생전 태아의 호흡 활동에 대한 증거가 있다. 폐는 약간의 호흡활동을 하며 체액은 폐포을 통해 배설된다. 폐의 면적을 넓혀주는 폐포중격이 임신후기 형성되므로 미숙아들은 폐포중격이 발달되지
  • 가격3,000
  • 페이지수42페이지
  • 등록일2011.03.05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37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