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경변증(cirrhosis)
★ 원인과 위험요인
★ 병태생리
★ 임상증상
★ 결과관리
★ 간호
★ 원인과 위험요인
★ 병태생리
★ 임상증상
★ 결과관리
★ 간호
본문내용
모든 약물의 용량이 줄었음을 확인한다. 진정제나 마약성 진통제의 투여를 피한다.
방어능력 저하.
문맥성 고혈압과 저하된 간의 정화능력 때문에 알코올 남용 및 부적절한 영양섭취와 관련된 방어능력 저하라는 간호진단을 내릴 수 있다.
결과
대상자는 복수를 동반한 자발적 세균성 복막염이나 전신감염을 경험하지 않을 것이다.
중재
간경변 환자는 복수를 동반한 자발적 세균성 복막염을 경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망률이 높다. 간호사는 감염증상을 관찰하고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항생제는 간성뇌증을 악화시키는 장내 세균을 통제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건강유지 능력의 변화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환자가 자기간호에 참여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질환과 장기적인 치료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건강유지 능력의 변화라는 간호진단은 중요하다.
결과
간경변 환자의 진술을 증거로 환자는 질환과 장기적 관리의 의미를 이해할 것이다.
중재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가정에서의 치료관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간경변 환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알코올을 절제하며, 영양이 풍부한 식사를 할 경우 더 오래 살 수 있다.
폭음 경력이 있는 대상자들은 알코올중독자 협회와 같은 단체에 절주를 위한 도움을 요청하도록 격려한다. 간에 간경변의 변화가 시작되었다 할지라도, 돌이킬 수 없는 송상이 발생하기전에 절주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평가
간경변의 결과는 대상자가 알코올이나 다른 간 독성 물질 섭취를 초기에 중단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녔는지의 여부에 달려있다. 간경변의 원인이 담도폐쇄일 경우 대상자는 추가적인 의학적, 또는 외과적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일단 광범위한 손상이 발생하면 대상자는 회복되기 힘들고, 병은 간부전의 증상과 함께 계속 진행되어나갈 것이다.
■ 자가간호
합병증이 있거나 말기 환자가 아닌 경우 간경변 환자는 가정에서 병을 관리하게 된다. 그러므로 적절한 영양식단을 유지하고 휴식과 활동을 적절히 취하며 간독소 물질을 피하는 방법을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절주에 대한 도움을 줄 수 있는 AA, Al-Anon, Al-Ateen과 같은 단체나 기관에 대해 대상자에게 알려준다. 대상자가 직장에서 간독소 병원체에 노출된 경우라면, 직장을 바꿀 것을 권유한다. 질환의 진행에 따라 정기적인 검진과 혈액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김분한외(2004). 성인간호학. 정담미디어.
이향련외(2007). 여섯째판_성인간호학Ⅰ. 수문사.
방어능력 저하.
문맥성 고혈압과 저하된 간의 정화능력 때문에 알코올 남용 및 부적절한 영양섭취와 관련된 방어능력 저하라는 간호진단을 내릴 수 있다.
결과
대상자는 복수를 동반한 자발적 세균성 복막염이나 전신감염을 경험하지 않을 것이다.
중재
간경변 환자는 복수를 동반한 자발적 세균성 복막염을 경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망률이 높다. 간호사는 감염증상을 관찰하고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항생제는 간성뇌증을 악화시키는 장내 세균을 통제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건강유지 능력의 변화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환자가 자기간호에 참여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질환과 장기적인 치료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건강유지 능력의 변화라는 간호진단은 중요하다.
결과
간경변 환자의 진술을 증거로 환자는 질환과 장기적 관리의 의미를 이해할 것이다.
중재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가정에서의 치료관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간경변 환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알코올을 절제하며, 영양이 풍부한 식사를 할 경우 더 오래 살 수 있다.
폭음 경력이 있는 대상자들은 알코올중독자 협회와 같은 단체에 절주를 위한 도움을 요청하도록 격려한다. 간에 간경변의 변화가 시작되었다 할지라도, 돌이킬 수 없는 송상이 발생하기전에 절주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평가
간경변의 결과는 대상자가 알코올이나 다른 간 독성 물질 섭취를 초기에 중단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녔는지의 여부에 달려있다. 간경변의 원인이 담도폐쇄일 경우 대상자는 추가적인 의학적, 또는 외과적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일단 광범위한 손상이 발생하면 대상자는 회복되기 힘들고, 병은 간부전의 증상과 함께 계속 진행되어나갈 것이다.
■ 자가간호
합병증이 있거나 말기 환자가 아닌 경우 간경변 환자는 가정에서 병을 관리하게 된다. 그러므로 적절한 영양식단을 유지하고 휴식과 활동을 적절히 취하며 간독소 물질을 피하는 방법을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절주에 대한 도움을 줄 수 있는 AA, Al-Anon, Al-Ateen과 같은 단체나 기관에 대해 대상자에게 알려준다. 대상자가 직장에서 간독소 병원체에 노출된 경우라면, 직장을 바꿀 것을 권유한다. 질환의 진행에 따라 정기적인 검진과 혈액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김분한외(2004). 성인간호학. 정담미디어.
이향련외(2007). 여섯째판_성인간호학Ⅰ.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