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합기도 중요 사상
1.合氣道의 自然사상
2.合氣道의 平和(비폭력주의)사상
3.合氣道의 自然주의 와 사랑
4.氣心體 일치
5.合氣道의 기술 3원리(流,圓,和)
合氣道의 중요 原理의 기원
1.노장사상의 自然주의
노장사상과 合氣道
2.合氣道와 불교(선종) 평화
선종불교의 수행
合氣道와 불교(선종) 평화
3.유가의 仁과 合氣道의 사랑
도덕경과 평화,자연사상
4.氣心體의 일치사상과 양명학의 知行合一
5.도덕경과 流사상
6.불교 圓의 가르침과 圓의 원리
도교의 圓상징 과 주역
주역과 원
7.조화(和)사상과 불교
8.결론
1.合氣道의 自然사상
2.合氣道의 平和(비폭력주의)사상
3.合氣道의 自然주의 와 사랑
4.氣心體 일치
5.合氣道의 기술 3원리(流,圓,和)
合氣道의 중요 原理의 기원
1.노장사상의 自然주의
노장사상과 合氣道
2.合氣道와 불교(선종) 평화
선종불교의 수행
合氣道와 불교(선종) 평화
3.유가의 仁과 合氣道의 사랑
도덕경과 평화,자연사상
4.氣心體의 일치사상과 양명학의 知行合一
5.도덕경과 流사상
6.불교 圓의 가르침과 圓의 원리
도교의 圓상징 과 주역
주역과 원
7.조화(和)사상과 불교
8.결론
본문내용
합기도전서 AIKIDO,허일웅,2008,28)
4.氣心體 일치
기술의 내면에서는 氣,心,體라는 세부분의 얼굴이 있다. 기는 눈에 보이지 않는 에너지 이다. 현대적 표현으로 호르몬의 작용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그 이상으로 파악되지 않는 무엇이 있다. ‘기’에 대한 표현은 동양권에서는 일상화 되어 있으며, ‘기’에 대한 실체는 파악되지 않았지만 느껴지는 무언가에 의해 강력한 힘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이것에 마음과 몸의 동작이 일체되어야만 제대로 된 아이키도가 된다고 창시자는 표현으로 말하고 있다. 이러한 것에 대한 표현으로 기,심, 체 일치라 한다.
5.合氣道의 기술적 3원리
김이수-한국합기도 ‘자신의 기를 합일하여 타자와 화합함으로써 술자와 타자의 기가 하나로 승화하여 자유롭게 운영하고 이를 통하여 타자의 힘을 빼고 저항을 헛되게 하는 기술이다. 라고 정의하였다.
합기도는 流,圓,和의 기본원리로 구성되어 있다.
流란 힘의 흐름에 따라 동작을 행하여 그 흐름에 거슬리지 않게 한다는 말이다. 圓이란 상대의 공격에 대한 방어와 제합을 圓으로 처리한다는 말이다.
和란 상대의 동작과 화합하여 동작을 행하여 무리한 억지의 수가 되지 않도록 하여 힘의 배가를 노리고 마음도 이 화의 정신에 입각하여 수양을 쌓아 다툼을 없애란 의미다.
합기도는 이와 같은 流, 圓, 和의 원리를 바탕으로 하여 상대와의 무리한 힘의 접촉없이 상대가 들어오면 상대의 옆이나 뒤로 돌아서 기법을 쓰고, 상대가 당기거나 밀면 그 힘에 동화하면서 원운동을 하고 상대의 힘을 흡수하여 자신의 힘을 합쳐 기선을 제압하는 무술이다.
合氣道의 중요 原理의 기원
1.노장사상의 自然주의
노자는 도가 어떤 의지나 목적을 가지고 천지만물을 주제하는 것이 아니라, 천지만물이 스스로 존재하고 움직이도록 한다는 無爲自然 사상을 제창하였고, 장자는 노자의 사상을 이어받아 발전시켰는데, 장자는 사람들이 사사로운 자아의식을 버리고 사물들의 자연스러운 흐름에 따를 것을 주장하였다. 즉 장자는 사람들이 사물들을 도의 관점에서 보고, 사물들의 본래 성질에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자연에 따름으로써 천지만물과 조화를 이룰수 있다는 노장자상은 중국,한국,일본 등 동양 삼국의 사상적 큰 원류를 형성하여 사유방식과 예술 등 삶의 전반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장자는 기본적으로 “천지의 유구함이 나와 함께 살아 있고, 만물의 다양함도 나와 함께 하나가 된다” 하여 귀천과 시비, 피차가 없는 절대평등세계를 펼치고 있다. 노장사상은 인간이란 기본적으로 자연을 본받고 배우며 살아가야하는 존재로 인식하고 있으며,이는 결국 소박한 본성 보존을 위해 자연과 더불어조화를 이루며 物外에 초연하는 태도로 세속과 함께 살아가는 낙천적 인생관을 가지고 있다.이런 사유방식은 동양 사유의 특징인 인간과 자연의 일체를 중시하는 내면적 사유방식과 그 내면성을 道로 보고, 도를 통해서 합일 조화된 것을 중시하는 사유에 많은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노장사상과 合氣道
노장사상은 노자와 장자의 사상을 후학들이 발전시켜 묶은 것을 달리 도가 사상이라고 하고 , 여기서 종교적 형태로 발전한 것이 도교이다. 그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우선적으로 ‘도’는 도가사상에서 중요한 매개점이다. 도가에서 도란 도 앞에서는 인간이나 자연이나 서로 평등하며 그들 안에서 위계를 가릴 수 없다. 그러므로 인간이 자신의 이익추구를 위해 자연을 이용한다는 것은 도리에 어긋나는 일이다.
장자는 만물은 무성해져 각기 그 근원으로 돌아간다. 각기 그 근원으로 돌아 가지만 그것을 알려 하지 않고, 혼돈 무지한 모양으로 평생 거기서 떨어지지 않고 하나가 된다.
도란 있다고 할 수도 없고, 없다고 할 수도 없다. 도라는 이름도 빌려서 그렇게 부르는데 지나지 않다.
노자와 장자는 분명 도에 대해 모두 소리도 없고 형체도 없어 인지 할 수 있는 대상은 아니나 실제 존재하는 그 무엇으로 인식했다. 또한 노자와 장자 모두 도를 믿을 수 있다고 생각하였고, 특히 장자는 도를 배운다는 것의 인식론적인 의의를 강조한 바 있다.
노자의 사상과 저작인 도덕경에는 天人合一, 物我一體 사상을 볼때 아이키도의 사상적 기초를 볼 수 있다.
2.合氣道와 불교(선종)
아이키도의 창시자는 여러 무술을 수련하고 마지막 단계로 불교의 선종에 입문한다. 일본 무도는 옛날 부터 선종과 밀접하게 관련되어져서 마음을 다스리는 하나의 사상,철학으로 발전되었다. 그것은 무사에게 하나의 윤리와 심법의 원리로 발전된다. 아이키도의 핵심도 여기에 있다고 생각한다. 아이키도에 창시자의 이러한 종교적인 철학이 가미되어 있지 않다면 현재와 같은 틀이 되지 않았을 것이다. 이것은 아이키도의 핵심 사상인 평화의 원리와 화합의 사상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이다. (아이키도,오세용1999)
선종불교의 수행
수행의 궁극적인 목적은 깨달음이다.그것은 선(禪)적으로 말해서 나의 본래 모습을 보는 것이다.나의 본래 모습,자신의 참 모습은 어디에도 걸리지 않는 자유로운 부처의 모습이며 그것은 지극히 행복하고 평화로운 모습이기도 하다. 수행을통해서 우리는 이 영원히 행복하고 평화로운 모습을 확인하면서 궁극적으로는 그것을 완전히 회복하는 것이다
合氣道와 불교(선종) 평화
부처님이 설한 가르침의 밑바닥에는 지혜와 자비의 메시지가 있는데 그 핵심은 비폭력과 연기와 공(空)사상에 근거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부처님의 가르침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비폭력이자 불살생, 곧 평화다.(한국불교의 전쟁 참여에 관한 윤리적 역할 연구)
3.유가의 仁과 合氣道의 사랑
논어(공자의 언행록)에서 인이 자그마치 111차례나 등장하는데 이 같이 사람인자 두이가 합해져서 만들어진 글자가 바로 인입니다. 즉 仁은 두 사람 이상의 관계에서 사람으로서 지켜야 할도 리로 상대방을 대하는것 을 말합니다.
사람에 대한 우호,동정,우애 같은 것을 가리킨다고 보면 된다.
공자에게 있어서 仁 사상의 핵샘은 바로 사랑입니다. 사람을 사랑하라는 것이다. 이때 사람은 나와 타인을 모두 포함 한말이다. 자신에 대한 사랑이 진정해야만 그 사랑이 다른 사람에 대한 사랑으로 까지 확대 될 수 가 있기
4.氣心體 일치
기술의 내면에서는 氣,心,體라는 세부분의 얼굴이 있다. 기는 눈에 보이지 않는 에너지 이다. 현대적 표현으로 호르몬의 작용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그 이상으로 파악되지 않는 무엇이 있다. ‘기’에 대한 표현은 동양권에서는 일상화 되어 있으며, ‘기’에 대한 실체는 파악되지 않았지만 느껴지는 무언가에 의해 강력한 힘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이것에 마음과 몸의 동작이 일체되어야만 제대로 된 아이키도가 된다고 창시자는 표현으로 말하고 있다. 이러한 것에 대한 표현으로 기,심, 체 일치라 한다.
5.合氣道의 기술적 3원리
김이수-한국합기도 ‘자신의 기를 합일하여 타자와 화합함으로써 술자와 타자의 기가 하나로 승화하여 자유롭게 운영하고 이를 통하여 타자의 힘을 빼고 저항을 헛되게 하는 기술이다. 라고 정의하였다.
합기도는 流,圓,和의 기본원리로 구성되어 있다.
流란 힘의 흐름에 따라 동작을 행하여 그 흐름에 거슬리지 않게 한다는 말이다. 圓이란 상대의 공격에 대한 방어와 제합을 圓으로 처리한다는 말이다.
和란 상대의 동작과 화합하여 동작을 행하여 무리한 억지의 수가 되지 않도록 하여 힘의 배가를 노리고 마음도 이 화의 정신에 입각하여 수양을 쌓아 다툼을 없애란 의미다.
합기도는 이와 같은 流, 圓, 和의 원리를 바탕으로 하여 상대와의 무리한 힘의 접촉없이 상대가 들어오면 상대의 옆이나 뒤로 돌아서 기법을 쓰고, 상대가 당기거나 밀면 그 힘에 동화하면서 원운동을 하고 상대의 힘을 흡수하여 자신의 힘을 합쳐 기선을 제압하는 무술이다.
合氣道의 중요 原理의 기원
1.노장사상의 自然주의
노자는 도가 어떤 의지나 목적을 가지고 천지만물을 주제하는 것이 아니라, 천지만물이 스스로 존재하고 움직이도록 한다는 無爲自然 사상을 제창하였고, 장자는 노자의 사상을 이어받아 발전시켰는데, 장자는 사람들이 사사로운 자아의식을 버리고 사물들의 자연스러운 흐름에 따를 것을 주장하였다. 즉 장자는 사람들이 사물들을 도의 관점에서 보고, 사물들의 본래 성질에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자연에 따름으로써 천지만물과 조화를 이룰수 있다는 노장자상은 중국,한국,일본 등 동양 삼국의 사상적 큰 원류를 형성하여 사유방식과 예술 등 삶의 전반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장자는 기본적으로 “천지의 유구함이 나와 함께 살아 있고, 만물의 다양함도 나와 함께 하나가 된다” 하여 귀천과 시비, 피차가 없는 절대평등세계를 펼치고 있다. 노장사상은 인간이란 기본적으로 자연을 본받고 배우며 살아가야하는 존재로 인식하고 있으며,이는 결국 소박한 본성 보존을 위해 자연과 더불어조화를 이루며 物外에 초연하는 태도로 세속과 함께 살아가는 낙천적 인생관을 가지고 있다.이런 사유방식은 동양 사유의 특징인 인간과 자연의 일체를 중시하는 내면적 사유방식과 그 내면성을 道로 보고, 도를 통해서 합일 조화된 것을 중시하는 사유에 많은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노장사상과 合氣道
노장사상은 노자와 장자의 사상을 후학들이 발전시켜 묶은 것을 달리 도가 사상이라고 하고 , 여기서 종교적 형태로 발전한 것이 도교이다. 그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우선적으로 ‘도’는 도가사상에서 중요한 매개점이다. 도가에서 도란 도 앞에서는 인간이나 자연이나 서로 평등하며 그들 안에서 위계를 가릴 수 없다. 그러므로 인간이 자신의 이익추구를 위해 자연을 이용한다는 것은 도리에 어긋나는 일이다.
장자는 만물은 무성해져 각기 그 근원으로 돌아간다. 각기 그 근원으로 돌아 가지만 그것을 알려 하지 않고, 혼돈 무지한 모양으로 평생 거기서 떨어지지 않고 하나가 된다.
도란 있다고 할 수도 없고, 없다고 할 수도 없다. 도라는 이름도 빌려서 그렇게 부르는데 지나지 않다.
노자와 장자는 분명 도에 대해 모두 소리도 없고 형체도 없어 인지 할 수 있는 대상은 아니나 실제 존재하는 그 무엇으로 인식했다. 또한 노자와 장자 모두 도를 믿을 수 있다고 생각하였고, 특히 장자는 도를 배운다는 것의 인식론적인 의의를 강조한 바 있다.
노자의 사상과 저작인 도덕경에는 天人合一, 物我一體 사상을 볼때 아이키도의 사상적 기초를 볼 수 있다.
2.合氣道와 불교(선종)
아이키도의 창시자는 여러 무술을 수련하고 마지막 단계로 불교의 선종에 입문한다. 일본 무도는 옛날 부터 선종과 밀접하게 관련되어져서 마음을 다스리는 하나의 사상,철학으로 발전되었다. 그것은 무사에게 하나의 윤리와 심법의 원리로 발전된다. 아이키도의 핵심도 여기에 있다고 생각한다. 아이키도에 창시자의 이러한 종교적인 철학이 가미되어 있지 않다면 현재와 같은 틀이 되지 않았을 것이다. 이것은 아이키도의 핵심 사상인 평화의 원리와 화합의 사상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이다. (아이키도,오세용1999)
선종불교의 수행
수행의 궁극적인 목적은 깨달음이다.그것은 선(禪)적으로 말해서 나의 본래 모습을 보는 것이다.나의 본래 모습,자신의 참 모습은 어디에도 걸리지 않는 자유로운 부처의 모습이며 그것은 지극히 행복하고 평화로운 모습이기도 하다. 수행을통해서 우리는 이 영원히 행복하고 평화로운 모습을 확인하면서 궁극적으로는 그것을 완전히 회복하는 것이다
合氣道와 불교(선종) 평화
부처님이 설한 가르침의 밑바닥에는 지혜와 자비의 메시지가 있는데 그 핵심은 비폭력과 연기와 공(空)사상에 근거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부처님의 가르침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비폭력이자 불살생, 곧 평화다.(한국불교의 전쟁 참여에 관한 윤리적 역할 연구)
3.유가의 仁과 合氣道의 사랑
논어(공자의 언행록)에서 인이 자그마치 111차례나 등장하는데 이 같이 사람인자 두이가 합해져서 만들어진 글자가 바로 인입니다. 즉 仁은 두 사람 이상의 관계에서 사람으로서 지켜야 할도 리로 상대방을 대하는것 을 말합니다.
사람에 대한 우호,동정,우애 같은 것을 가리킨다고 보면 된다.
공자에게 있어서 仁 사상의 핵샘은 바로 사랑입니다. 사람을 사랑하라는 것이다. 이때 사람은 나와 타인을 모두 포함 한말이다. 자신에 대한 사랑이 진정해야만 그 사랑이 다른 사람에 대한 사랑으로 까지 확대 될 수 가 있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