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무역사 subnote(Incoterms 2010 개정 포함)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제무역사 subnote(Incoterms 2010 개정 포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국제무역사 시험 대비 요약 자료
1. 대외무역법
2. 관세법
3. 전자무역
4. 무역계약 (개정된 Incoterms 2010 포함)
5. 무역결제
6. 외환실무

본문내용

면... 환율 하락전 1000원일때 $100 이면 100,000 원을 갚아야 하는 데 반 해 환율이 900원으로 떨어진 다음에는 90,000 원만 갚으 면 되어 부채가 10,000원 줄어드는 효과를 볼수 있음.만 약 자산이 $100 만은 Long Position 이었다면 10,000원 만큼의 자산이 줄어들어 10,000원의 손해를 봄.
4. 오픈포지션(Open Position) ; 외환매입초과 포지션과 외환 매도초과 포지션을 포함한 개념으로서 외환위험에 노출되 어 있으므로 환율변동에 따라 환차손익이 발생.
* 환율 ; 두 나라간의 화폐의 교환비율.
물품
보관비용(창고비용)
3개월간 보관비용 = ?
외환현물가격
금리
이자
달러 = 5%
3개월간 이자 = ?
(USD1=KRW1,000)
원화 = 3%
우리나라의 환율은 달러에 교환비율을 맞추고 있으므로 환 율의 상승(원화의 평가절하 ; Depreciation - 환율인상)과 하 락(원화의 평가절상 ; Appreciation - 환율하락)은 한국돈의 가치가 달러에 비해 낮아지거나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
* 환율변동은 왜 일어나는가?
환율변동 :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수출이 많아지면 외화가 많이 공급되어 원화 가치가 달러 에 비해 상승되어 평가절상(환율하락)
반대로 수입이 많이지면 외화 수요가 높아져서 원화 가치 달러에 비해 하락되어 평가절하(환율상승)
주식시장 - 우리나라 주식을 구매할려면 달러를 원화로 바 꿔야 하므로 달러 공급이 한국시장에 공급되어 원화 가치 가 달러에 비해 상승되어 평가절상(환율하락), 주식거래로 수익이 발생할 경우 이를 다시 달러로 환전해서 본국으로 송금해야 하기 때문에 달러 수요가 급증하여 원화의 평가 절하(환율상승)가 된다. 환율변동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 겠지만 수출입에 따른 외환거래와 외국인의 주식거래가 가 장 큰 원인이라고 할 수 있음.
환율전광판을 보게 되면 매매기준율, 현찰 팔 때(현금매입 율), 현찰 살 때(현금매도율), 송금 받을 때(전신환 매입율), 송금 보낼 때(전신환 매도율)이 게시되어 있다.
환전을 하게되면 위 게시판에 있는 환율대로 환전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은행의 입장에서 환전을 한 후 매매기준율을 기준으로 환전수수료를 부과하여 고객이 현찰거래하거나 전 신환거래를 할 때, 또는 거래액수의 다소에 따라서 교환율 을 더하거나 뺀다.
환율이 오를 것인가 내릴 것인가를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 다. 다만 어떤 흐름을 유지할 지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환율의 예측불능의 손해를 방지하고 안전한 수익을 확보하기 위해서 외환에 대한 여러 가지 대책을 세우게 되 는데 이를 환위험의 회피, 즉 헤지(Hedge)라 한다.
예) 환희기업 - 수입과 수출을 모두 하는 기업.
3개월 뒤 : 수입대금 USD100,000을 지급예정.
5개월 뒤 : 수출대금 USD100,000 입금예정.
금일 환율 USD1=KRW1,000원이라고 가정.
환율을 정확히 예측하기 힘드므로 은행과 금일 환율 USD1=KRW1,000원을 기준으로 3개월 뒤의 환율로 약정환 율로 교환하기로 함. => 선물환계약
현재환율과 선물환율의 차이에서 생기는 미래의 환율변동에 대해서 서로 손해가 없도록 계약을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한 기준이 금리(이자)이다.
* 스왑(Swap) : 외화와 원화의 서로 다른 금리를 선물환계약에 적용하여 미래에 교환하는 행위
즉, 거래 당사자가 일정 기간동안 정기적으로 서로 다른 통 화의 일정한 원금에 대한 이자지급을 교환하기로 하는 계약
* 스왑레이트(Swap Rate) : 외환이 서로 스왑될 때 교환되는
금리. 즉 위 예를 본다면 3개월간 은행이 보유한 외환은 서
로 금리가 다르기 때문에 두 통화가 서로 교환될 때는 금리 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스왑스프레드(Swap Spread)
라 한다.
【표3-2】
*. 환희 기업이 은행에 USD1=KRW1,000의 환율로 원화를 주고
달러를 매입하지 않으면 은행은 원화보다 금리가 2% 비싼
이 달러를 3개월간 보관하고 있다가 돌려주므로 환희기업
은 2%에 대한 보상을 해줘야 하는데 이것이 이자이다. 반
대로 환희 기업이 3개월 뒤 입금예정인 달러를 현재의 금
리를 기준으로 은행에게 매도한다면 은행은 3개월 간 5%의
달러 금리를 부담하지 않고 있다가 매입을 하게 되므로
환희기업에게 2%만큼을 더 보상해줘야 한다. 위 도표에서
금리는 각각5%, 3%이며 금리차이는 2%임.
3개월 뒤의 외환의 변동금리에 따라 가감하여야 할 비율을
산출하게 되는데 이것을 스왑레이트(교환 비율)라고 한다.
산출된 스왑레이트를 가감할 때 서로 차이가 나는 것을 스
왑스프레드라 함.
두 통화를 상대비교 하였을 때 금리가 높은 통화를 고금리
통화(Discount)
금리가 낮은 통화를 저금리통화(Premium).
*. 스왑스프레드 (Swap Spread) : 선물환율 - 현물환율
선물환율이 High/Low 이면 좌측환율은 디스카운트통화이
고, Low/High이면 좌측은 프리미엄통화임.
예)우리나라의 환율은 직접표시법 : 달러를 기준통화(고시통
화)로 하고 원화를 피고시통화로 표기.
달러와 원화의 선물환율 120/100 ; 원화보다 달러의 금리가
높다는 것을 의미. 원화는 달러에 대하여 프리미엄통화라 함.
위 【표3-2】를 보고 3개월 만기 선물환율을 구하면?
※ Swap Rate = 현물환율(피고시통화 - 고시통화) X 달수/12
= 1,000(0.03 - 0.05) X 3/12 = -5원
선물환율 = 현물환율 + 현물환율(피고시통화 - 고시통화) X
달수/12 = 1,000 + 1,000(0.03 - 0.05) X 3/12 = 995원
현물환율 = 1,000 선물환율 = 995 선물환율이 현물환율보다
낮음
3개월 뒤 은행과 환희기업은 달러와 원화를 USD1=KRW995원으
로 교환함.
현재의 환율상황
USD/KRW
1050.00
USD 3개월 금리
2.5%
KRW 3개월 금리
4.5%
【표3-3】
금리만으로 Swap Rate 구하기
[연습문제] 환희기업은 3개월 뒤 수입대금결제를 위하여 3개월 만기선물환 백만달러를 신한은행과 계약.
1. 【표3-3】을 이
  • 가격9,000
  • 페이지수55페이지
  • 등록일2011.03.07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43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