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인주의의 정의
Ⅱ. 개인주의의 특징
1. 장점
2. 단점
Ⅲ. 공동체주의의 정의
Ⅳ. 공동체주의의 특징
1. 사회적 덕목과 합리적 전통
2. 인륜의 윤리와 공동선
3. 구성원 의식과 연대감
Ⅴ.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올바른 이해
참고문헌
Ⅱ. 개인주의의 특징
1. 장점
2. 단점
Ⅲ. 공동체주의의 정의
Ⅳ. 공동체주의의 특징
1. 사회적 덕목과 합리적 전통
2. 인륜의 윤리와 공동선
3. 구성원 의식과 연대감
Ⅴ.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올바른 이해
참고문헌
본문내용
실적으로 그가 살고 있는 사회와 문화에 영향을 받고 성장한다. 인간의 사고와 행위는 사회적 전통이나 규범, 가치체계 등에 의존하게 되며, 이런 점에서 개인은 그 삶의 내용을 공동체로부터 제공받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의 삶에는 다른 구성원들의 삶과는 구분되는 개인적 삶의 독자적인 모습을 볼 수 있고, 때로는 기본의 전통이나 문화, 규범 등에 대해 가차 없는 비판을 가하기도 한다. 이것은 결국 공동체라는 한계를 초월할 수 있는 가능성이 인간에게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개인주의는 개인적인 이상과 신념, 자유의지 등에 대한 신념을 통해서 인간 삶의 질적인 비약을 가능하게 하고, 그 결과 공동체 전체의 활성화도 가져오게 된다고 보고 있다.
인간은 또한 그가 살고 있는 공동체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사실과 개인의 자율성간의 관계는 분리나 대립이 아니라 양립 가능한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먼저 인간은 다양한 삶의 방식(form of life)에 입문됨으로써 인간이 된다는 사실을 인정함으로 인간 삶의 공동체적인 성격을 지적한다. 그러한 인간이 이와 같이 상황에 얽매여 있는 존재라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개인적인 자율성의 중요성은 확보될 수 있다고 본다. 자율성이란 스스로를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이 아니라 스스로를 재창조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이해한다. 공동체가 없는 개인적 자율성이란 자율적 능력의 원천을 상실하는 것이요, 개인적 자율성을 인정하지 않는 공동체란 재창조의 기회를 상실한, 그리하여 발전의 가능성이 부정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런 점에서 양자의 관계는 상호 보완적이며 통합적으로 이해될 정당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자율성과 공동체의식의 조화는 또한 개인에 대한 확대된 시각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자율성과 공동체의식의 갈등은 사실 개인과 전체를 대립적인 관계로 보는 시각에서 출발하고 있다. 그러나 개인은 일정 불변한 범위를 가진 실체가 아니라 개인이 가지고 있는 정신상태에 따라서 얼마든지 변동 가능한 의식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우리가 개인을 한정지을 논리적 필연성이 없으며, 개인의 의식 또는 인격여하에 따라서는 훨씬 더 넓은 범위로 확장될 수 있는 여지를 갖게 된다. 개인의 물질적 한계를 초월한 보다 큰 자아가 가능하다는 것이 사실이라면, 개인을 넘어서는 자아로서의 공동체를 위해 노력할 이론적 근거는 명백하게 존재하게 된다. 즉, 개인과 공동체가 하나로서 인식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공동체주의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해주고 있는 사상가의 한사람으로 평가받고 있는 Durkheim도 개인주의가 그 본래적인 의미에 충실할 때는 개인의 권리 못지않게 공동체의 권리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게 된다고 보고 있다. 왜냐하면 행위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란 개인의 특수한 입장이 아니라 보편성에 근거할 수밖에 없고, 이러한 보편성에 추구를 통해 개인을 초월한 공동체 전체의 관점이 반영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개인주의에서 다른 사람에 대한 관심과 개인을 넘어선 공동체 전체의 입장을 견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는 Durkheim의 이러한 시각은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기본적으로 공동체주의자들은 공동생활에 대한 이해의 공유를 위해 무엇보다 선(善)에 대한 광범위한 합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반면, 개인주의자들은 이러한 합의의 요구가 오히려 강요된 순응을 초래하지 않을 까 우려한다. 그 점에서 개인주의자들은 자유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렇게 볼 때 양자간의 가능한 타협 조건은 개인의 선과 공동의 선을 조화시키는데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를 논할 때 공동체주의가 개인주의의 기본가치를 대체한다기보다는 더 나은 공동선의 극대화를 위해 보완해 준다고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개인주의의 기반 위에 공동체주의의 이념을 포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참고문헌
▷ 강대기(2001), 현대사회에서 공동체는 가능한가? - 개인의 자유와 공동체적 결속 사이에서, 아카넷
▷ 박경란(2000), 우리주의 문화에서 개인주의적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소외,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경란(2000), 우리주의 문화에서 개인주의적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소외, 중앙대석사학위논문
▷ 아그네스 헬러(1984), 개인과 공동체, 서울 : 백산 서당
▷ 한규석(1991), 집단주의, 개인주의 이론의 현황과 그 전망, 한국 심리학회지 일반
▷ 황주병, 개인과 공동체 : 공동체주의의 논점과 해석
인간은 또한 그가 살고 있는 공동체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사실과 개인의 자율성간의 관계는 분리나 대립이 아니라 양립 가능한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먼저 인간은 다양한 삶의 방식(form of life)에 입문됨으로써 인간이 된다는 사실을 인정함으로 인간 삶의 공동체적인 성격을 지적한다. 그러한 인간이 이와 같이 상황에 얽매여 있는 존재라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개인적인 자율성의 중요성은 확보될 수 있다고 본다. 자율성이란 스스로를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이 아니라 스스로를 재창조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이해한다. 공동체가 없는 개인적 자율성이란 자율적 능력의 원천을 상실하는 것이요, 개인적 자율성을 인정하지 않는 공동체란 재창조의 기회를 상실한, 그리하여 발전의 가능성이 부정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런 점에서 양자의 관계는 상호 보완적이며 통합적으로 이해될 정당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자율성과 공동체의식의 조화는 또한 개인에 대한 확대된 시각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자율성과 공동체의식의 갈등은 사실 개인과 전체를 대립적인 관계로 보는 시각에서 출발하고 있다. 그러나 개인은 일정 불변한 범위를 가진 실체가 아니라 개인이 가지고 있는 정신상태에 따라서 얼마든지 변동 가능한 의식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우리가 개인을 한정지을 논리적 필연성이 없으며, 개인의 의식 또는 인격여하에 따라서는 훨씬 더 넓은 범위로 확장될 수 있는 여지를 갖게 된다. 개인의 물질적 한계를 초월한 보다 큰 자아가 가능하다는 것이 사실이라면, 개인을 넘어서는 자아로서의 공동체를 위해 노력할 이론적 근거는 명백하게 존재하게 된다. 즉, 개인과 공동체가 하나로서 인식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공동체주의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해주고 있는 사상가의 한사람으로 평가받고 있는 Durkheim도 개인주의가 그 본래적인 의미에 충실할 때는 개인의 권리 못지않게 공동체의 권리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게 된다고 보고 있다. 왜냐하면 행위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란 개인의 특수한 입장이 아니라 보편성에 근거할 수밖에 없고, 이러한 보편성에 추구를 통해 개인을 초월한 공동체 전체의 관점이 반영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개인주의에서 다른 사람에 대한 관심과 개인을 넘어선 공동체 전체의 입장을 견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는 Durkheim의 이러한 시각은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기본적으로 공동체주의자들은 공동생활에 대한 이해의 공유를 위해 무엇보다 선(善)에 대한 광범위한 합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반면, 개인주의자들은 이러한 합의의 요구가 오히려 강요된 순응을 초래하지 않을 까 우려한다. 그 점에서 개인주의자들은 자유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렇게 볼 때 양자간의 가능한 타협 조건은 개인의 선과 공동의 선을 조화시키는데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를 논할 때 공동체주의가 개인주의의 기본가치를 대체한다기보다는 더 나은 공동선의 극대화를 위해 보완해 준다고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개인주의의 기반 위에 공동체주의의 이념을 포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참고문헌
▷ 강대기(2001), 현대사회에서 공동체는 가능한가? - 개인의 자유와 공동체적 결속 사이에서, 아카넷
▷ 박경란(2000), 우리주의 문화에서 개인주의적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소외,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경란(2000), 우리주의 문화에서 개인주의적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소외, 중앙대석사학위논문
▷ 아그네스 헬러(1984), 개인과 공동체, 서울 : 백산 서당
▷ 한규석(1991), 집단주의, 개인주의 이론의 현황과 그 전망, 한국 심리학회지 일반
▷ 황주병, 개인과 공동체 : 공동체주의의 논점과 해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