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역시 인간의 내면에 근거한 사상이나 민족성은 항상 고유할 수는 없다. 어쩌면 현재의 일본을 이해하기에‘국화와 칼’은 오히려 편견의 독이 될 수도 있는 법이다. 전체를 묶는 개념의 접근에는 조심성이 항상 수반되어야 한다. ‘베네딕트’대에서는 이룰 수 없었던 실질적 경험과 체험의 부분이 보충된 더욱더 분명한 객관성을 지닌 제2의‘국화와 칼’을 기대해본다.
추천자료
칼의 노래를 읽고 [독후감/서평/요약]
칼세이건의 `에필로그`를 읽고
김훈 - 칼의 노래를 읽고
칼의 노래를 읽고
칼의 노래를 읽고
Jr. 칼 비테의 칼 비테의 공부의 즐거움을 읽고
[독후감] 웰니스 WELLNESS - 뇌를 바꾸는 운동 혁명 을 읽고 나서
논어를 읽고나서 (독후감)
성경의 권위(존스토트)을 읽고 독후감
부모교육에 관한 책을 읽고 독후감
[독후감] <마당을 나온 암탉>을 읽고.. _ 황선미 글
[독후감/서평/요약] 김훈의 칼의 노래를 읽고
교육학 레포트_교사와 학생 사이_제 3 장 아주 나쁜 상황 읽고 독후감
[서평] 예수와 함께한 저녁식사를 읽고 독후감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