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의 시민이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로마의 시민이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로마 시민, 시민권

2. 바울의 시민권

- 결론 -

본문내용

제정으로 바뀐 뒤에는 더욱 넓은 규모로 계승된다. 그리고 서기 212년에 카라칼라 황제가 제정한 법령, 로마 제국에 살고 있는 모든 자유민에게 로마 시민권을 준다는 법령으로 이어진다. 시민 개념에서는 그리스인이 폐쇠적이고 로마인이 개방적이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시오노 나나미 지음(2000),『로마인에게 묻는 20가지 질문』, 김석희 옮김(서울 : 한길사), pp.123-125
2) 이전의적에게도 시민권을 준 ‘로마의 지혜’
‘로마 연합’의 제 4요소는 라틴어로 ‘소키(socii)’ 에트루리아·움브리아·그리스인의 도시로서 로마와 조약을 맺어 자치가 허용되었으나 전시(戰時)에는 군대를 파견할 의무가 있었다. BC 2세기에는 복속화가 강화됨에 따라 자치권도 제한되었기 때문에 자주 로마 시민의 권리를 요구하는 한편 로마를 모방하여 국제(國制)를 정비하여 라틴 시민이 갖는 통상(通商)·통혼권(通婚權)이 주어졌다. 그러나 로마-라틴 시민과는 차별되고 권리도 계속 제한되었기 때문에 BC 90∼BC 89년에 동맹시전쟁이 일어났다. 마리우스, 술라가 진압에 나섰으나 결국 무기를 버리는 시민에게 로마 시민권을 주기로 하여 BC 87년에는 전(全)이탈리아에 시민권이 부여되었다. 그리스 여러 도시(都市)는 이탈리아 동맹시보다도 많은 자유가 부여되었으나 차차 로마의 강력한 지배를 받게 되었다. (출처 : 두산백과사전)
라는 동맹국이었다. 이곳에는 로마 연합이 생긴 뒤에도 로마와 전투를 하였던 제국이 포함된다. 삼니움 족 이탈리아 중부와 남부에 걸쳐 살던 고대 이탈리아인의 한 파인 오스크어계(語系)에 속하는 민족. (출처 ; 위키백과)
이라든가 나폴리를 선두로 하는 그리스계 도시국가들은 모두 로마와의 전쟁에서 패하여 ‘소키’로서 연합에 가맹하게 된다. 그러나 군대의 발밑에 엎드린 소키에 대해 로마는 아주 너그러웠다. 이들 소키는 로마에서 완전한 자치가 허용되어 있었고, 로마는 그들에게 동화를 요구하지도 않았다. 통치 형태, 문화, 종교 등 모든 것이 전과 똑같아도 상관하지 않았다. 그리스 건국에서 시작된 나폴리 등에서는 그리스어가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그것도 문제가 아니었다. 말하자면 패전국이 아니라 완전한 독립국으로서 대우한다는 것이다.
다만 ‘로마 연합’의 일원인 이상 조건은 있었다. 그것은 ‘만약 로마 연합이 전쟁을 일으키면 동맹국으로서 병력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바꿔 말하면 이 의무만 완수하면 소키는 로마에게 세금이나 공납금을 낼 필요가 없었다고 하니, 이 또한 관대한 조건이다. 더욱 놀라운 것은 소키의 지배계급에 대해 로마 시민권의 취득을 적극적으로 권한 것이다. 로마 시민권을 취득하라는 것은 로마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로마의 국정에 참가해 달라는 것이나 다름없다. 이 경우에 자국 시민권을 버릴 필요가 없었으므로 수위 이중국적이 되었지만, 로마는 전혀 개의치 않았다. 이 같은 로마의 조치가 얼마나 놀랄 만한 것인지는 현대 세계로 바꿔 놓고 생각해 보면 금방 알 수 있다.
예컨대 제 2차 세계대전 후 미국이 패전국 일본이나 독일의 국회의원에게 “미국 시민권을 취득해 우리나라 선거에서 투표해 주십시오.”라든가 “뜻이 있으면 우리나라 선거에 입후보해도 좋습니다.”라고 말한 예가 있을까? 물론 그런 일은 미국에도 없었고, 그 이전의 강대국인 대영제국에서도 없었다. 그런데 로마는 그것을 예사롭게 행했다. 로마인은 ‘동맹국이라도 등을 돌릴 수 있다’는 현실을 냉정하게 지켜본 다음, 어떻게 하면 그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을까를 생각했다. 그리고 주저하지 않고 실행에 옮긴 것이다. ‘로마 연합’의 결속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라면 체면에 얽매일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기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3.21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81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