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본문내용
실을 잘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오늘날 우리사회에서 빈번히 제기되고 있는 노인문제의 양상을 살펴보면
첫째, 가부장으로서의 지위나 경제권의 상실을 들 수 있고 둘째, 경로효친사상의 감퇴나 핵가족풍조의 만연으로 인한 노인층의 고립화 현상을 들 수 있으며 셋째, 가치 및 생활관의 차이로 제기되는 老少간의 의견대립과 넷째, 현대여성의 지위향상으로 인한 姑婦간의 갈등, 다섯째, 평균수명의 연장에서 오는 생계대책 및 여가문제 등이 제기되고 있다. 박재간, 「노인문제와 대책」 (서울: 二友出版社, 1979), 1쪽.
한편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노인문제가 개인의 문제를 넘어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諸般 영역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진각국에서는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제한된 차원에서나마 諸般 노인복지정책을 수립하여 실시하여 왔다.
그러나 문제의 규모나 심각성에 비하여 이제가지 실시되어온 노인복지대책은 부분적인 범위에 제한되고 있으며 실시되고 있는 복지대책마저도 그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 우리가 안고 있는 노인문제들의 맥락에서 지금 실시되고 있는 노인복지정책들의 효과를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앞으로 정책적으로 가능한 해결책을 체계적으로 모색해 본다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2000년대 복지국가의 실현을 위해서 이때까지의 救貧 또는 온정주의에 의한 救護的 복지개념에서 탈피하여 국민의 권리로서의 복지, 국민생활의 안정이 국가의 의무라는 관점에서의 복지 개념을 받아들여 미래지향적인 복지모델을 구상하고 우리나라의 경제력과 전통적인 장점에 입각한 노인복지정책을 개발하여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노인, 노인복지의 개념규정과 우리나라의 노인복지제도와 복지 서비스의 實際를 외국의 노인복지제도와 정책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의 실정에 맞는 노인복지문제에 대한 정책방향을 강구해 보기로 한다.
제 2 절 연구의 대상과 방법
모든 인간의 문제가 그러하듯이 노인문제 또한 물질적인 면 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면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다루는 학문인 老年學은 종합과학의 성격을 띠게 된다. 현두일, “한국 노인의 생활구조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건대학술지」 1976, 474쪽.
그래서 문제의 인식과 해결방안 또한 단편적으로 究明하여서는 노인문제에 대하여 적적한 접근을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노인을 둘러싸고 있는 정치,경제,사회적인 여러 문제들을 상호연계시키는 종합적인 관점에 의하여 효과적인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서 노인문제의 원인과 문제점은 무엇이며, 우리나라 노인복지의 현황은 어떠한가를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우리나라 노인복지정책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를 아울러 고찰해 보기로 한다.
1) 이 연구는 주로 문헌분석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하였는데 기존의 사회조사를 행한 자료를 다시 재종합하는 형식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2) 우리나라에서는 미약하게나마 복지정책의 관점에서의 노인정책의 시발은 1970년대 이후로 추정되는데 이 연구는 시간적으로 주로 1980년대 이후의 노 인정책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3) 이 연구는 學際的(Interdisciplinary)인 접근방법을 취한다.
이는 복지정책적 관점에서 노인정책의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정책학, 사회 복지학, 사회학, 심리학 등 여러 학문의 지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4) 이 연구는 관련되는 항목들을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로 한다.
외국의 노인복지현황들과의 국제적 비교분석은 노인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 2 장 이론적 배경
제 1 절 노인복지의 기초이론
1. 노인의 개념
노인을 한마디로 정의하기는 어려운 문제이다. 그러나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사회정책 및 행정적인 면에서 그리고 학문적인 면에서 노인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는 분석의 편의상 노인에 대한 개념정의를 추상적인 정의와 조작적인 정의로 나누어 살펴 보겠다.
(1)노인에 대한 추상적 정의
Breen은 노인의 개념에는 적어도 생물학적, 심리적 및 사회적 노화의 개념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으며 노인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i) 생리적 및 생물학적인 면에서 퇴화기에 있는 사람
ii) 심리적인 면에서 정신기능과 성격이 변하고 있는 사람
iii) 사회적인 면에서 지위와 역할이 상실된 사람이라는 것이다.
(2) 노인에 대한 조작적 정의
조작적 정의는 실제로 관찰하여 노인으로 규정하기에 편리하도록 된 정의로서 사회과학적 조사연구상 편의, 정책 및 행정적 편의를 위해서 쓰이고 있는 것이다.
i) 개인적 자각에 의한 노인
이것은 개인 스스로 주관적으로 판단하여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을 노인으로 규정하는 것이다.
ii) 사회적 役割喪失에 대한 노인(사회적 노인)
주요한 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상실된 상태에 있는 사람을 노인으로 보는 것으로 사회적 직업활동에서 퇴직 또는 가정에서 주부의 지위와 역할을 이양한 상태에 있는 사람이 여기에 해당되는 노인이다.
iii) 曆年齡에 의한 노인
시간경과의 단위인 달력상의 시간에 의하여 일정한 연령에 도달한 사람으로 일반적으로 65세 이상의 자를 노인으로 규정하고 있다.
iv)기능적 연령에 의한 노인
노인을 曆年齡에 의해 일괄적으로 규정하는 것은 개인적인 차이 특히 어떤 특수한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의 개인차를 무시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기능적 연령에 의한 노인은 개인의 특수한 신체적 및 심ㅁ리적 영역에 있어서의 기능의 정도에 의해서 노인으로 규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상의 서술을 종합하여 보면 노인이란 인간의 老人過程에서 나타나는생리적심리적 환경적 행동의 변화가 상호작용하는 복합형태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겠다.
2. 노인복지의 개념과 특성
노인복지는 非生産的인 연령에 도달한 노인들의 생활을 안정시키며 육체적정신적으로 보다 쾌적하고 행복한 여생을 누릴 수 있도록 경제사회 및 心的인 여건을 조성해 주고 도와주는 행동 또는 조처를 말한다. 따라서 노인복지는 인간의 老化現象을 연구하는 순수과학이 아니라, 노화현상에 따라 일어나는 여러가지 개
여기서 오늘날 우리사회에서 빈번히 제기되고 있는 노인문제의 양상을 살펴보면
첫째, 가부장으로서의 지위나 경제권의 상실을 들 수 있고 둘째, 경로효친사상의 감퇴나 핵가족풍조의 만연으로 인한 노인층의 고립화 현상을 들 수 있으며 셋째, 가치 및 생활관의 차이로 제기되는 老少간의 의견대립과 넷째, 현대여성의 지위향상으로 인한 姑婦간의 갈등, 다섯째, 평균수명의 연장에서 오는 생계대책 및 여가문제 등이 제기되고 있다. 박재간, 「노인문제와 대책」 (서울: 二友出版社, 1979), 1쪽.
한편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노인문제가 개인의 문제를 넘어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諸般 영역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진각국에서는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제한된 차원에서나마 諸般 노인복지정책을 수립하여 실시하여 왔다.
그러나 문제의 규모나 심각성에 비하여 이제가지 실시되어온 노인복지대책은 부분적인 범위에 제한되고 있으며 실시되고 있는 복지대책마저도 그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 우리가 안고 있는 노인문제들의 맥락에서 지금 실시되고 있는 노인복지정책들의 효과를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앞으로 정책적으로 가능한 해결책을 체계적으로 모색해 본다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2000년대 복지국가의 실현을 위해서 이때까지의 救貧 또는 온정주의에 의한 救護的 복지개념에서 탈피하여 국민의 권리로서의 복지, 국민생활의 안정이 국가의 의무라는 관점에서의 복지 개념을 받아들여 미래지향적인 복지모델을 구상하고 우리나라의 경제력과 전통적인 장점에 입각한 노인복지정책을 개발하여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노인, 노인복지의 개념규정과 우리나라의 노인복지제도와 복지 서비스의 實際를 외국의 노인복지제도와 정책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의 실정에 맞는 노인복지문제에 대한 정책방향을 강구해 보기로 한다.
제 2 절 연구의 대상과 방법
모든 인간의 문제가 그러하듯이 노인문제 또한 물질적인 면 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면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다루는 학문인 老年學은 종합과학의 성격을 띠게 된다. 현두일, “한국 노인의 생활구조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건대학술지」 1976, 474쪽.
그래서 문제의 인식과 해결방안 또한 단편적으로 究明하여서는 노인문제에 대하여 적적한 접근을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노인을 둘러싸고 있는 정치,경제,사회적인 여러 문제들을 상호연계시키는 종합적인 관점에 의하여 효과적인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서 노인문제의 원인과 문제점은 무엇이며, 우리나라 노인복지의 현황은 어떠한가를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우리나라 노인복지정책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를 아울러 고찰해 보기로 한다.
1) 이 연구는 주로 문헌분석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하였는데 기존의 사회조사를 행한 자료를 다시 재종합하는 형식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2) 우리나라에서는 미약하게나마 복지정책의 관점에서의 노인정책의 시발은 1970년대 이후로 추정되는데 이 연구는 시간적으로 주로 1980년대 이후의 노 인정책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3) 이 연구는 學際的(Interdisciplinary)인 접근방법을 취한다.
이는 복지정책적 관점에서 노인정책의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정책학, 사회 복지학, 사회학, 심리학 등 여러 학문의 지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4) 이 연구는 관련되는 항목들을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로 한다.
외국의 노인복지현황들과의 국제적 비교분석은 노인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 2 장 이론적 배경
제 1 절 노인복지의 기초이론
1. 노인의 개념
노인을 한마디로 정의하기는 어려운 문제이다. 그러나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사회정책 및 행정적인 면에서 그리고 학문적인 면에서 노인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는 분석의 편의상 노인에 대한 개념정의를 추상적인 정의와 조작적인 정의로 나누어 살펴 보겠다.
(1)노인에 대한 추상적 정의
Breen은 노인의 개념에는 적어도 생물학적, 심리적 및 사회적 노화의 개념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으며 노인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i) 생리적 및 생물학적인 면에서 퇴화기에 있는 사람
ii) 심리적인 면에서 정신기능과 성격이 변하고 있는 사람
iii) 사회적인 면에서 지위와 역할이 상실된 사람이라는 것이다.
(2) 노인에 대한 조작적 정의
조작적 정의는 실제로 관찰하여 노인으로 규정하기에 편리하도록 된 정의로서 사회과학적 조사연구상 편의, 정책 및 행정적 편의를 위해서 쓰이고 있는 것이다.
i) 개인적 자각에 의한 노인
이것은 개인 스스로 주관적으로 판단하여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을 노인으로 규정하는 것이다.
ii) 사회적 役割喪失에 대한 노인(사회적 노인)
주요한 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상실된 상태에 있는 사람을 노인으로 보는 것으로 사회적 직업활동에서 퇴직 또는 가정에서 주부의 지위와 역할을 이양한 상태에 있는 사람이 여기에 해당되는 노인이다.
iii) 曆年齡에 의한 노인
시간경과의 단위인 달력상의 시간에 의하여 일정한 연령에 도달한 사람으로 일반적으로 65세 이상의 자를 노인으로 규정하고 있다.
iv)기능적 연령에 의한 노인
노인을 曆年齡에 의해 일괄적으로 규정하는 것은 개인적인 차이 특히 어떤 특수한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의 개인차를 무시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기능적 연령에 의한 노인은 개인의 특수한 신체적 및 심ㅁ리적 영역에 있어서의 기능의 정도에 의해서 노인으로 규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상의 서술을 종합하여 보면 노인이란 인간의 老人過程에서 나타나는생리적심리적 환경적 행동의 변화가 상호작용하는 복합형태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겠다.
2. 노인복지의 개념과 특성
노인복지는 非生産的인 연령에 도달한 노인들의 생활을 안정시키며 육체적정신적으로 보다 쾌적하고 행복한 여생을 누릴 수 있도록 경제사회 및 心的인 여건을 조성해 주고 도와주는 행동 또는 조처를 말한다. 따라서 노인복지는 인간의 老化現象을 연구하는 순수과학이 아니라, 노화현상에 따라 일어나는 여러가지 개
추천자료
1999년아동복지법전면개정의정책결정과정
아동복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노인복지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노인복지법(파워포인트 자료)
[사회보장법] 노인복지법
[사회복지] 노인복지법 요약정리
노인복지법의 입법배경과 목적 및 특성, 설치와 운영 현황 분석
노인복지법 발표
[사회복지법제론]노인복지법
기초노령 연금제도 제한성에 대한 생각, 노인복지법 제정배경과 특징
기초노령 연금제도 제한성에 대한 생각, 노인복지법 제정배경과 특징
사회복지사업법의 목적 및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사회복지사업법과 17가지 사회복지법(국민...
[사회복지법제론] 노인복지법
노인복지법 요약정리
사업복지사업법 제2조 1항에 보면, 다양한 사회복지사업 실천영역의 법들(노인복지법, 장애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