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외신의 특성
Ⅱ. 외신의 배경
Ⅲ. 외신보도의 정의
Ⅳ. 외신보도의 문제점
Ⅴ. 북한관련 외신보도
1. 북한 관련 외신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2. 북한 관련 외신보도의 문제점
Ⅵ. 외신보도 관련 제언
참고문헌
Ⅱ. 외신의 배경
Ⅲ. 외신보도의 정의
Ⅳ. 외신보도의 문제점
Ⅴ. 북한관련 외신보도
1. 북한 관련 외신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2. 북한 관련 외신보도의 문제점
Ⅵ. 외신보도 관련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향이 미디어의 북한 관련 뉴스의 편집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공산주의 이데올로기에 관한 한 미디어의 편집정책은 거의 획일적이다. 이데올로기 스펙트럼의 다양성은 찾아볼 수 없고 반공 이데올로기의 강-약의 정도만 보일 뿐이다. 바로 이 점은 체제(이데올로기의 正體)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있는 언론은 존재하기가 어렵다는 현실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다. F. Terrou and L. Sola Pool, Legislation for Press, Film and Radio(N.Y. :Columbia U. Press, 1951)
넷째, 언론의 보도관행에 관련하여 우리의 경우 몇 가지 특수한 조건이 북한 관련 뉴스의 보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반공 이데올로기에 대한 동의의 수준이 높고 생활 의식화된 우리의 정치문화 환경이 독자의 정보욕구를 고려하는 뉴스가치 판단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도 결코 가볍게 넘길 일은 아니다.
그러나 북한 관련 뉴스보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언론의 보도관행은 정보원과 연관된 관행이라 생각된다. 즉, 먼저 북한 관련 뉴스의 정보원의 문제를 들 수 있다. 우리 언론이 직접 북한을 취재할 수 없으므로 북한 관련 뉴스는 통일원, 안기부, 외무부 등 정부기관이 아니면 내외통신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이들 정부기관과 내외통신은 일차적(원초적) gate-keeper의 구실을 한다. 자신들의 정치적·정책적 배려에 따라 gate-keeping을 통해 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편이주의에 따라 미리 가공된 뉴스(canned news)를 취재할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다. 상기한 뉴스원들이 부처의 이해관계에 따라 가공하고 선택한 뉴스를 제공하는 경우 내용의 상이함으로 인해 곤경을 겪기도 한다. 때로는 정책적 필요에 따라 애드벌룬을 띄우기도 하는 등 직접 취재와 확인을 할 수 없는 상황을 남용하거나 오용하기도 하는 것이 현실이다.
북한 관련 외신보도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국내 언론이 수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외신에 흘려 역으로 국내에 뉴스가 흘러들게 하는 일도 행한다. 이러한 경우를 포함해 국내 언론은 외신의 북한 관련 보도를 확인할 길이 없는 것이다. 이 같은 관행들이 북한 관련 뉴스의 취재와 보도에서 일상화됨으로써 미디어는 매너리즘에 젖어버리게 되었다.
다섯째, 언론인의 개인적 속성과 관련해서는 무엇보다도 그에게 내면화된 이데올로기가 gate-keeping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된다.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우리 언론인의 경우에도 신봉하거나 내면화된 이데올로기의 스팩트럼은 다양하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언론인들은 대체로 반공 이데올로기에 동의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 비록 언론인 개인 가운데 반공 이데올로기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고 할지라도 우리 사회 전체의 높은 동의수준이 압력으로 작용함으로써 자신이 신봉하는 이데올로기에 준거하여 기사를 쓰기 어려울 것이다. 뿐만 아니라 반공 이데올로기 이외의 이데올로기 준거집단을 국내에서 찾기 어렵기 때문에 언론인 개인들은 認知不化(dissonance)에 빠지기를 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만약 그가 이데올로기의 준거집단을 국외에서 찾는다면 바로 실정법 위반의 가능성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할 것이다.
2. 북한 관련 외신보도의 문제점
어느 연구자들은 우리 언론의 북한 관련 보도의 유형을 다음과 같은 4가지로 분류한 바 있다.
첫째, 체제 우위적 권위주의로 늘 남과 북,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를 비교하는 방법이다.
둘째, 유니폼식 보도방법이다. 예를 들어 북한에 관한 부정적 기사를 어느 날 갑자기 신문과 방송에 동시에 발표하는 방법으로 내용·제호까지도 거의 비슷하게 게재되는 형식으로 북한의 형법과 금강산댐 등의 보도가 이 유형에 속한다.
셋째, 희망사항이다. 여기엔 과잉보호와 오보가 따를 수 있다. 이는 우발적일 수도 있으나 선동성까지 내포하고 있어 국내외의 독자와 시청자들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때로는 국익차원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때도 있다. 넷째, 북한을 비방하는 데 우회적인 방법을 쓰고 있다. 즉, 외국신문에 일단 실린 내용을 국내용으로 대서특필하는 형식이다. 이종수·윤석년, <통일에 관한 보도경향>, 《통일문제 보도에 관한 고찰》(제2회 최병우기자 기념 심포지엄 주제논문집), 관훈클럽, 1990, 34쪽.
이와 같이 우리 언론의 북한 관련 보도는 단선적 이데올로기의 스펙트럼 위에서 춤을 추고 있었고, 지금도 춤은 끝나지 않았다. 물론 1987년의 6. 29 선언
넷째, 언론의 보도관행에 관련하여 우리의 경우 몇 가지 특수한 조건이 북한 관련 뉴스의 보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반공 이데올로기에 대한 동의의 수준이 높고 생활 의식화된 우리의 정치문화 환경이 독자의 정보욕구를 고려하는 뉴스가치 판단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도 결코 가볍게 넘길 일은 아니다.
그러나 북한 관련 뉴스보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언론의 보도관행은 정보원과 연관된 관행이라 생각된다. 즉, 먼저 북한 관련 뉴스의 정보원의 문제를 들 수 있다. 우리 언론이 직접 북한을 취재할 수 없으므로 북한 관련 뉴스는 통일원, 안기부, 외무부 등 정부기관이 아니면 내외통신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이들 정부기관과 내외통신은 일차적(원초적) gate-keeper의 구실을 한다. 자신들의 정치적·정책적 배려에 따라 gate-keeping을 통해 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편이주의에 따라 미리 가공된 뉴스(canned news)를 취재할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다. 상기한 뉴스원들이 부처의 이해관계에 따라 가공하고 선택한 뉴스를 제공하는 경우 내용의 상이함으로 인해 곤경을 겪기도 한다. 때로는 정책적 필요에 따라 애드벌룬을 띄우기도 하는 등 직접 취재와 확인을 할 수 없는 상황을 남용하거나 오용하기도 하는 것이 현실이다.
북한 관련 외신보도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국내 언론이 수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외신에 흘려 역으로 국내에 뉴스가 흘러들게 하는 일도 행한다. 이러한 경우를 포함해 국내 언론은 외신의 북한 관련 보도를 확인할 길이 없는 것이다. 이 같은 관행들이 북한 관련 뉴스의 취재와 보도에서 일상화됨으로써 미디어는 매너리즘에 젖어버리게 되었다.
다섯째, 언론인의 개인적 속성과 관련해서는 무엇보다도 그에게 내면화된 이데올로기가 gate-keeping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된다.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우리 언론인의 경우에도 신봉하거나 내면화된 이데올로기의 스팩트럼은 다양하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언론인들은 대체로 반공 이데올로기에 동의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 비록 언론인 개인 가운데 반공 이데올로기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고 할지라도 우리 사회 전체의 높은 동의수준이 압력으로 작용함으로써 자신이 신봉하는 이데올로기에 준거하여 기사를 쓰기 어려울 것이다. 뿐만 아니라 반공 이데올로기 이외의 이데올로기 준거집단을 국내에서 찾기 어렵기 때문에 언론인 개인들은 認知不化(dissonance)에 빠지기를 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만약 그가 이데올로기의 준거집단을 국외에서 찾는다면 바로 실정법 위반의 가능성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할 것이다.
2. 북한 관련 외신보도의 문제점
어느 연구자들은 우리 언론의 북한 관련 보도의 유형을 다음과 같은 4가지로 분류한 바 있다.
첫째, 체제 우위적 권위주의로 늘 남과 북,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를 비교하는 방법이다.
둘째, 유니폼식 보도방법이다. 예를 들어 북한에 관한 부정적 기사를 어느 날 갑자기 신문과 방송에 동시에 발표하는 방법으로 내용·제호까지도 거의 비슷하게 게재되는 형식으로 북한의 형법과 금강산댐 등의 보도가 이 유형에 속한다.
셋째, 희망사항이다. 여기엔 과잉보호와 오보가 따를 수 있다. 이는 우발적일 수도 있으나 선동성까지 내포하고 있어 국내외의 독자와 시청자들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때로는 국익차원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때도 있다. 넷째, 북한을 비방하는 데 우회적인 방법을 쓰고 있다. 즉, 외국신문에 일단 실린 내용을 국내용으로 대서특필하는 형식이다. 이종수·윤석년, <통일에 관한 보도경향>, 《통일문제 보도에 관한 고찰》(제2회 최병우기자 기념 심포지엄 주제논문집), 관훈클럽, 1990, 34쪽.
이와 같이 우리 언론의 북한 관련 보도는 단선적 이데올로기의 스펙트럼 위에서 춤을 추고 있었고, 지금도 춤은 끝나지 않았다. 물론 1987년의 6. 29 선언
추천자료
국제분쟁 보도- 걸프전과 이라크전의 보도 사례 비교 -
스포츠 내셔널리즘이 무엇인지 이론적인 측면에서 알아보고, 정부나 언론 매체가 왜 스포츠 ...
바람직한 언론의 사회적 의무와 책임 - 미얀마 유혈사태 보도를 중심으로
소실된 숭례문(남대문)에 대한 역사적 기억들과 아쉬움
독일의 새로운 가족법상의 제도로서의 동성 사이의 생활동반자관계
[뉴스][TV뉴스][텔레비전 뉴스][뉴스 보도]뉴스의 정의,가치와 TV뉴스의 특성, 항목별 분류, ...
[기사][기사의 종류][기사의 특성][기사의 오보][기사식광고][인물기사][경제기사][외신기사]...
[방송보도][윤리성][공정성][연성화][수용자][내용][문제점][제언]방송보도의 윤리성, 방송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