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비뇨기계_진단검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비뇨기계_진단검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에 사용되는 creatinine phosphte의 분해산물이다. 매일 생성되는 크레아틴 곧 크레아티닌은 근육부피에 의존하며 근육부피는 거의 변동이 적다. 크레아티닌은 BUN과 같이 신장으로 배설된다. 그러므로 이 두 가지는 신장의 배설기능과 정 비례한다고 볼 수 있다. 곧 신장기능이 정상이라면, 크레아티닌 수치는 일정하며, 정상이다. 오직 사구체신염, 신우신염, 급성세뇨관 괴사 및 요로폐색 등 신장질환 시에만 크레아티닌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것이다. 그러나 BUN과는 달리 크레아티닌 수준은 간장기능에 의해 별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혈청 크레아티닌 수준은 BUN수준과 거의 유사한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BUN보다 다소 늦게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크레아티닌수준의 상승은 만성적 질병과정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크레아티닌 수치가 정상치보다 2배로 상승하면 사구체여과율이 50%감소하였다고 해석한다. 또한 크레아티닌은 BUN과 관련지어 해석하기도 한다. 즉, 정상적 BUN/크레아티닌 비율은 약 20:1로 보는데(일부에서는 15:1을 사용한다), 크레아티닌에 비해 BUN이 상승하면 이는 탈수, 위장관 출혈, 영양결핍을 가리킨다. 이 비율이 떨어지는 것은 단백질 섭취감소, 과수분상태, 심한 간기능 장애시 볼 수 있으며 이때는 크레아티닌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이 아니라 BUN을 감소시킨다.
방법
말초정맥에서 혈액을 빼서 1~2개의 빨간색 뚜껑의 튜브에 담아 화학검사실로 보낸다.
간호중재
검사 전 간호
환자에게 검사절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환자에게 금식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해준다.
검사 후 간호
천자부위를 압박하거나 압박드레싱을 한다. 출혈이 있는지 혈액천자 부위를 관찰한다.
혈중 요소 질소
정의
혈중 요소 질소(BUN)는 신장기능과 사구체 여과율(간기능이 정상인 경우)을 간접적으로 혹은 대략 측정해 준다. 이 검사는 또한 간기능도 측정해준다. 이 검사는 정규임상검사 중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다단계 자동화 검사과정의 일부로서 수행된다.
BUN검사는 혈액내의 요소질소량을 측적하는 것이다. 요소(uera)는 단백질 분해과정과 소화의 대사산물로서 간에서 형성되고 모두가 신장을 통해 배설된다. 장내에서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소화되고 흡수된다. 간에서 이들 아미노산은 분해되고, 유리 암모니아(azotemia 혹은 azotemic)이라고 부른다. 거의 모든 양측성 신장질환 시 요소의 배설이 부적절해지며 혈액내 요소농도가 정상보다 높아진다. 그러나 일측성 신장질환 시에는 건강한 쪽 신장이 병든 시장의 기능을 보상하기 때문에 BUN은 상승하지 않는다. 또한 BUN은 원발성 신장질환 이외의 상태에서도 상승한다. 비경구적 질소혈증(parenteral azotemia)이란 요소가 신장으로 전달되기 전에 요소질소에 영향을 주는 병리적 상태로 인해 BUN이 상승한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면, 쇼크, 탈수, 울혈성 심부전증, 혹은 과도한 단백질 이화작용이 이에 해당한다. 신장이후 단계의 질소혈증(postrenal azotemic)은 신장을 통과한 다음 요소질소에 영향을 주는 병리적 상태를 말한다. 이와 같은 질환에는 요관폐색 혹은 요도폐색이 있다. 마지막으로 요소의 합성은 간에 의존하고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중증 원발성 간질환자의 BUN은 상승한다. 간질환과 신장질환이 결합되었을 때(hepato renal syndrome)BUN수치는 정상일 수 있는데 이는 신장기능이 좋아서 그런 것이 아니라 간기능이 나빠서 BUN합성이 감소되었기 때문이다. BUN은 크레아티닌 검사와 연결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신장기능 지표로서 BUN은 크레아티닌에 비하여 덜 정확하다.
방법
말초정맥에서 혈액을 빼서 1-2개의 빨간색 뚜껑의 튜브에 담아 화학검사실로 보낸다. 다기능 분석기계를 사용하여 BUN수치를 결정한다.
정상치
노인: 성인보다 약간 높을 수 있다.
성인: 10-20mg/dL 혹은 3.6-7.1mmol/L(SI units)아동: 5-18mg/dL
영아:5-18mg/dL
신생아: 3-12mg/dL
제대(umbical cord): 21-40mg/dL
possible critical values>100mg/dL(심각한 신기능 장애 의미)
간호중재
검사 전 간호
환자에게 검사절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금식이 필요하지 않다고 말한다.
검사 후 간호
혈액채취 부위에 압박을 가하거나 압박 드레싱을 한다. 출혈이 있는지 혈액천자부위를 관찰한다.
전립선 특이항원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정의
전립선 특이항원(PSA)은 정상적으로 모든 남성에서 발견될 수 있다. 그러나 전립선 암 환자의 경우 이 항원은 크게 증가한다. 전립선 특이항원이 높을수록 종양의 크기(tumor burden)는 더 크다. 더욱이 PSA 분석은 치료의 반응을 모니터하는데 민감한 검사다. 성공적 수술, 방사성치료 혹은 호르몬 치료 시 혈중 PSA 수준이 크게 감소한다. 치료에 대한 전립선 질환의 반응은 PSA 감소를 의미한다. 치료 이후 PSA가 유의하게 상승한 경우는 전립선암의 재발을 의미한다. 또한 PSA는 양성 전립선 비대(BPH) 치료를 모니터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PSA는 PAP보다 더 민감하고 특이성을 지닌다. BPH와 전립선염 환자에서 PSA는 경미하게 상승할 수 있다. 그러나 PSA 수준이 10ng/㎖ 이상 상승하면 전립선암일 가능성이 높다. 초기 전립선암이나 BPH 시에는 PSA가 낮게 나타날 수 있다. BPH를 위해 몇 가지 공식을 부분적으로 교정하였다. 다음 등식은 그 예 중 하나이다.
예측된 PSA= 0.12×초음파검사에서 측정된 전립선량(㎤)
PSA 수준이 예측된 PSA보다 높다면 이는 전립선암을 의미한다. PSA는 50세 이상의 남성에게 전립선암 스크린 검사로 권장되어왔다. 수지직장검진과 함께 실시된다면 전립선암의 90%를 발견할 수 있다.
-> 방해인자
전립선을 조작은 PSA 검사를 방해한다.
생검 검체를 얻거나 TURP를 실시한 경우 PSA 수준은 크게 상승할 것이다. 그러므로 PSA 검사는 이런 수술 전에 혹은 전립선 조작 후 6 주 뒤에 실시해야 한다.
방법
이 검사와 연관된 금식 혹은
  • 가격3,500
  • 페이지수48페이지
  • 등록일2011.03.29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12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