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A. 정의
B. 병태생리 및 원인
C. 임상증상
D. 진단적 평가
E. 관리
F. 합병증
G. 간호사정
H. 간호진단
I. 간호중재
J. 평가
K. 경과 및 예후
Ⅲ. 간호과정
A. 대상자 사정
B. 정신간호 진단
2. 간호 사정
결론 및 제언
ㆍ참고 자료
Ⅱ. 본론
A. 정의
B. 병태생리 및 원인
C. 임상증상
D. 진단적 평가
E. 관리
F. 합병증
G. 간호사정
H. 간호진단
I. 간호중재
J. 평가
K. 경과 및 예후
Ⅲ. 간호과정
A. 대상자 사정
B. 정신간호 진단
2. 간호 사정
결론 및 제언
ㆍ참고 자료
본문내용
. 간호 사정
(1). 병식결여와 관련된 치료지시 불이행(투약거부, 퇴원요구)
<주관적 자료>
“난 정신병자가 아닌데 왜 여기 있으란 거야. 나가게 해줘”
“내가 이약을 왜먹어? 무슨약인지 말 안해주면 안먹어”
“당뇨약은 꼭 먹어야 돼서 먹는 거지만 나머지약은 안먹어도 돼”
<객관적 자료>
-환자는 병식이 있다는걸 인지 하지 못함 그것이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아 치료를 받아야하는 이유를 모름.
*병식의 수준
1) 질병의 전적인 부정
2) 병이 들어 있지 않다고 생각 하며 도움이 필요없는 상태라고 생각함.
3) 병들었음을 인정하나 그 원인이 기질적 요인이나 외적 요인 혹은 타인에게 있다고 봄.
4) 지적 통찰: 자기가 병들었음을 인정하지 않고 남의 탓으로 돌리려고 함.
5) 진실된 감정적 통찰: 환자 자신과 자신의 일생에 중요한 인물들의 동기와 느낌을 잘 알고, 그러한 앎이 행동으로 옮겨져서 행동에 근본적 변화가 일어남.
-간호기록지상 동생과 통화 이후 퇴원요구를 하고 있음
<간호목표>
-대상자는 병원에 입원해야 하는 이유와 투약을 해야 하는 이유를 이해하고 설명 할 수 있다.
-대상자는 투약거부나, 퇴원요구를 하지 않고 치료에 순응한다.
간호계획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1. 대상자의 투약거부를 사정한다.
3.2: 약에 대한 설명이 없으면
먹지 않겠다고 함.
3/3: 투약거부 하지 않음.
3/4: 투약거부 하지 않음.
3/13: 투약거부 하지 않음.
정확한 기초 사정자료는 효과적인 간호를 계획하는 데 필요하다.(서울대학교병원(2005),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환자는 자신이 아직도 병식에 관하여 인지를 못하고 자신이 여기 있는이유는 자신의 교통사고로 가족들이 걱정할까봐, 병원에 입원해 있다고 믿고 있으나 투약에 대한 거부반응은 사라지고 있음.
3. 환자와 신뢰관계를 형성한다.
환자와 라포를 형성하여 도움이 필요한 경우 언제든지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고 치료적인 입장에서 환자를 대하며 정직하게 대하고 모든 약속은 꼭 지키도록 하여 신뢰관계를 쌓았다.
신뢰는 치료적 관계의 토대이다. (이광자 외(2006), 정신간호총론(제5판), 수문사)
4.입원의 경위와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대상자에게 기분이 항진되고, 과소비를 하고, 타인과의 마찰이 잦아지는 증상으로 인해 입원 하였음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대상자는 이것은 정신병의 증상이 아니므로 입원할 필요가 없다고 말하였다.
-대상자에게 현실적으로 300만원이나 되는 거액을 소비를 한 것은 문제가 있음을 설명하였더니 이를 인정하였다.
-조울증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해주고 환자에게 해당된다는 것을 인식시켰다.
-입원 치료를 통해 기분을 안정시키고 이를 통해 퇴원후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을 것임을 설명하였다.
병식을 갖게 하는 것은 치료지시에 순응하게 한다.(이광자 외(2006), 정신간호총론(제5판), 수문사)
5.대상자에게 약물에 관한 정보를 줄 때 정직하고 구체적으로 하며, 약물의 이름과 바람직한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실습기간동안 간호사 선생님께서 약물 투여 시 구체적으로 약물의 효능을 설명하는 것을 관찰 하였다.(10/23~26)
약물의 바람직한 효능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은 환자가 치료지시에 순응할수 있게 한다.(서울대학교병원(2005),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6. 대상자가 약물을 복용하는지 하지 않는지에 대한 의문이 있거나 또 약물 복용을 싫어 할 경우 가능하면 액체형태의 약물을 투여하는 것이 좋다.
-실습기간동안 대상자에게 액체형태의 약물은 투여되지 않았다.(10/23~26)
대상자에게 액체형태의 약물을 투여하므로써 약물섭취를 안전하게 도울 수 있다.(서울대학교병원(2005),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2).약복용으로 인한 부작용과 관련된 배변장애
<주관적 자료>
“변이 잘 나오지 않는거 같다”
“몇일 동안 화장실을 못갔어.”
<객관적 자료>
배가 볼록하고 단단하다.
식사를 다 하지만, 국과 반찬도 남긴다.
<간호 목표>
투약 없이 정상적으로 변을 볼수 있도록 한다(주 4회 이상)
간호계획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1. 대상자의 현재 배변과 관련된 상태를 사정한다.
2.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3. 변비를 완화시키는 방법을 교육한다.
4. 규칙적인 배변습관을 형성하도록 도와준다.
1-① 배변양상을 물어보았다.
(-> 일주일에 2회정도 배변하신다고 대답하심)
1-② 식이양상을 사정하였다.
2-① 수분섭취 2000L 정도로 증가시킬 것을 권장하였다.
3-① 섬유소가 많이 함유된 식품을 섭취하도록 교육하였다.
3-② 육체적 활동을 많이 하도록 권장하였다.
3-③ 변 보기 전에 장 마사지를 시행하도록 교육하였다.
4-① 식사 속도를 천천히 하고 잘 씹어서 삼키도록 교육하였다.
4-② 규칙적인 운동을 약속하였다.
4-③ 필요시 약을 투약하는것을 관찰하였다.
1-①,② 대상자에 대한정확한 사정은 앞으로 적절한 계획을 세울수 있도록 돕는다.
2-①,② 수분섭취의 증가는 대장에서의 적절한 양의 수분을 흡수하고 난 뒤 대변에서의 수분함유율을 높여 배변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3-① 섬유소가 많이 함유된 식품을 섭취하게 되면 체내 대변생성이 증가하게 되어 배변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
3-② 적절한 운동은 장운동을 활성화 시켜 대변보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감소시킨다.
3-③ 대변보기전의 장 마사지는 장운동을 활성화 시켜 대변보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감소시킨다.
4-①,② 적절한 식이와 규칙적 운동은 규칙적인 배변습관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여전히 배가 많이 나와 있었고 수분 섭취는 많이 증가하였으나 운동 등은 아직 미약한 반응만 보였다. 대상자는 5일간 2번의 대변을 보는 것으로 하여 부분적으로 목표가 성취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및 제언
본 사례연구의 대상자는 서대구 대동병원 6층(폐쇄병동)병동에 입원중이신 54세 환우 분으로 진단명은 양극성장애 입니다. 실습을 나갔을 때 언어적 폭력과 과행동등 실습나온 타 학생에게 폭력을 휘두르며 병원 분위기가 싸늘했지만, 점차적인 투약과 교육으로 행동의 완화를 보이셨으며, 때
(1). 병식결여와 관련된 치료지시 불이행(투약거부, 퇴원요구)
<주관적 자료>
“난 정신병자가 아닌데 왜 여기 있으란 거야. 나가게 해줘”
“내가 이약을 왜먹어? 무슨약인지 말 안해주면 안먹어”
“당뇨약은 꼭 먹어야 돼서 먹는 거지만 나머지약은 안먹어도 돼”
<객관적 자료>
-환자는 병식이 있다는걸 인지 하지 못함 그것이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아 치료를 받아야하는 이유를 모름.
*병식의 수준
1) 질병의 전적인 부정
2) 병이 들어 있지 않다고 생각 하며 도움이 필요없는 상태라고 생각함.
3) 병들었음을 인정하나 그 원인이 기질적 요인이나 외적 요인 혹은 타인에게 있다고 봄.
4) 지적 통찰: 자기가 병들었음을 인정하지 않고 남의 탓으로 돌리려고 함.
5) 진실된 감정적 통찰: 환자 자신과 자신의 일생에 중요한 인물들의 동기와 느낌을 잘 알고, 그러한 앎이 행동으로 옮겨져서 행동에 근본적 변화가 일어남.
-간호기록지상 동생과 통화 이후 퇴원요구를 하고 있음
<간호목표>
-대상자는 병원에 입원해야 하는 이유와 투약을 해야 하는 이유를 이해하고 설명 할 수 있다.
-대상자는 투약거부나, 퇴원요구를 하지 않고 치료에 순응한다.
간호계획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1. 대상자의 투약거부를 사정한다.
3.2: 약에 대한 설명이 없으면
먹지 않겠다고 함.
3/3: 투약거부 하지 않음.
3/4: 투약거부 하지 않음.
3/13: 투약거부 하지 않음.
정확한 기초 사정자료는 효과적인 간호를 계획하는 데 필요하다.(서울대학교병원(2005),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환자는 자신이 아직도 병식에 관하여 인지를 못하고 자신이 여기 있는이유는 자신의 교통사고로 가족들이 걱정할까봐, 병원에 입원해 있다고 믿고 있으나 투약에 대한 거부반응은 사라지고 있음.
3. 환자와 신뢰관계를 형성한다.
환자와 라포를 형성하여 도움이 필요한 경우 언제든지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고 치료적인 입장에서 환자를 대하며 정직하게 대하고 모든 약속은 꼭 지키도록 하여 신뢰관계를 쌓았다.
신뢰는 치료적 관계의 토대이다. (이광자 외(2006), 정신간호총론(제5판), 수문사)
4.입원의 경위와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대상자에게 기분이 항진되고, 과소비를 하고, 타인과의 마찰이 잦아지는 증상으로 인해 입원 하였음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대상자는 이것은 정신병의 증상이 아니므로 입원할 필요가 없다고 말하였다.
-대상자에게 현실적으로 300만원이나 되는 거액을 소비를 한 것은 문제가 있음을 설명하였더니 이를 인정하였다.
-조울증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해주고 환자에게 해당된다는 것을 인식시켰다.
-입원 치료를 통해 기분을 안정시키고 이를 통해 퇴원후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을 것임을 설명하였다.
병식을 갖게 하는 것은 치료지시에 순응하게 한다.(이광자 외(2006), 정신간호총론(제5판), 수문사)
5.대상자에게 약물에 관한 정보를 줄 때 정직하고 구체적으로 하며, 약물의 이름과 바람직한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실습기간동안 간호사 선생님께서 약물 투여 시 구체적으로 약물의 효능을 설명하는 것을 관찰 하였다.(10/23~26)
약물의 바람직한 효능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은 환자가 치료지시에 순응할수 있게 한다.(서울대학교병원(2005),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6. 대상자가 약물을 복용하는지 하지 않는지에 대한 의문이 있거나 또 약물 복용을 싫어 할 경우 가능하면 액체형태의 약물을 투여하는 것이 좋다.
-실습기간동안 대상자에게 액체형태의 약물은 투여되지 않았다.(10/23~26)
대상자에게 액체형태의 약물을 투여하므로써 약물섭취를 안전하게 도울 수 있다.(서울대학교병원(2005),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2).약복용으로 인한 부작용과 관련된 배변장애
<주관적 자료>
“변이 잘 나오지 않는거 같다”
“몇일 동안 화장실을 못갔어.”
<객관적 자료>
배가 볼록하고 단단하다.
식사를 다 하지만, 국과 반찬도 남긴다.
<간호 목표>
투약 없이 정상적으로 변을 볼수 있도록 한다(주 4회 이상)
간호계획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1. 대상자의 현재 배변과 관련된 상태를 사정한다.
2.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3. 변비를 완화시키는 방법을 교육한다.
4. 규칙적인 배변습관을 형성하도록 도와준다.
1-① 배변양상을 물어보았다.
(-> 일주일에 2회정도 배변하신다고 대답하심)
1-② 식이양상을 사정하였다.
2-① 수분섭취 2000L 정도로 증가시킬 것을 권장하였다.
3-① 섬유소가 많이 함유된 식품을 섭취하도록 교육하였다.
3-② 육체적 활동을 많이 하도록 권장하였다.
3-③ 변 보기 전에 장 마사지를 시행하도록 교육하였다.
4-① 식사 속도를 천천히 하고 잘 씹어서 삼키도록 교육하였다.
4-② 규칙적인 운동을 약속하였다.
4-③ 필요시 약을 투약하는것을 관찰하였다.
1-①,② 대상자에 대한정확한 사정은 앞으로 적절한 계획을 세울수 있도록 돕는다.
2-①,② 수분섭취의 증가는 대장에서의 적절한 양의 수분을 흡수하고 난 뒤 대변에서의 수분함유율을 높여 배변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3-① 섬유소가 많이 함유된 식품을 섭취하게 되면 체내 대변생성이 증가하게 되어 배변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
3-② 적절한 운동은 장운동을 활성화 시켜 대변보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감소시킨다.
3-③ 대변보기전의 장 마사지는 장운동을 활성화 시켜 대변보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감소시킨다.
4-①,② 적절한 식이와 규칙적 운동은 규칙적인 배변습관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여전히 배가 많이 나와 있었고 수분 섭취는 많이 증가하였으나 운동 등은 아직 미약한 반응만 보였다. 대상자는 5일간 2번의 대변을 보는 것으로 하여 부분적으로 목표가 성취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및 제언
본 사례연구의 대상자는 서대구 대동병원 6층(폐쇄병동)병동에 입원중이신 54세 환우 분으로 진단명은 양극성장애 입니다. 실습을 나갔을 때 언어적 폭력과 과행동등 실습나온 타 학생에게 폭력을 휘두르며 병원 분위기가 싸늘했지만, 점차적인 투약과 교육으로 행동의 완화를 보이셨으며, 때
키워드
추천자료
품행장애 이론 (conduct disorder) - 정의, 원인, 진단, 치료, 예방, 장애인, 장애인복지
반사회적 성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반사회적 성격장애의 정의 및 특징, ...
[의료사회사업론] 우울증 (우울장애 / depressive disorder) 주요 증상, DSM-IV의 분류, 주요...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반응성 애착장애(Reactive attachment disorder)의 이해 - 반응성 ...
[놀이치료] 발달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반항성 장애 (Oppositional-Defiant Disord...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학습장애 (Learning Disorder) - 학습장애의 정의와 발생원...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아스퍼거장애(Asperger`s Disorder) - 아스퍼거장애의 정의...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자폐장애 (自閉障碍 / autistic disorder) - 자폐장애의 정...
[아동청소년이상심리 兒童靑少年異常心理] 정서장애 - 분리 불안장애(Separation Anxiety Dis...
정신장애, 정신지체, 정신질환에 대해 정리하고, 현재 상황에서 정신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는...
[이상심리학] 동통장애(Pain Disorder) - 동통장애의 사례와 임상적 특성(개념과 증상 및 진...
[이상심리학] 신체변형장애(Body Dysmorphic Disorder) - 신체변형장애의 사례와 임상적 특징...
[이상심리학] 전환장애(Conversion Disorder) - 전환장애의 사례와 임상적 특징(개념과 증상 ...
[이상심리학] 공황장애(Panic Disorder) - 공황장애의 사례와 임상적 특징(개념, 진단기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