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힘을 감소시켜 주는 것
② 간헐적 강제환기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IMV)
- 계속적으로 대상자가 자연스런 호흡을 하면서 인공호흡기가 정해진 1회 호흡량을 정해 진 횟수에 따라 전달하는 양식으로 대상자의 자발적인 호흡사이에 치료자가 설정한 강 제적 환기를 삽입하는 방식.
- 인공호흡기의 순화주기를 통해 환자가 자발적으로 호흡을 하도록 돕는다.
- 오랫동안 인공호흡이 필요했던 환자나 다른 이유로 인공호흡을 중단하기 어려웠던 환자 를 인공호흡기로부터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 또한 자발적인 호흡을 하는 환자에게도 사 용되는데 1회 호흡량과 호흡수 요구에 적절하지 못할때 사용된다(COPD환자).
- 방법 : 정규적으로 미리 설정된 횟수와 용적에 따라 강제적으로 인공호흡기 호흡을 하 도록 주기가 반복된다. 최소한의 환기를 제공한다. 환자에게 의해 시작된 호흡과 기계호 흡이 동시에 발생할 때 호흡중복이 있을 수 있다.
③ 동시성 간헐적 강제환기 (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SIMV)
- IMV의 단점을 보완하여 대상자의 환기노력과 동시에 인공호흡기에서 공기를 전달한다.
즉, 1분당 정해진 횟수만큼 대상자의 흡기 노력과 일치하여 간헐적으로 시작하도록 되 어있다.
- 인공호흡기를 통해 자발적으로 호흡을 하도록 돕는 것으로 자발적으로 호흡을 할 수 있 으나 1회 호흡량과 호흡횟수가 요구보다 적을 때 사용된다.
- 방법 : 정규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강제호흡을 하게한다. 환자자신의 흡기노력 에 의해 강제호흡이 시작되고, 기계적 호흡은 환자의 흡기노력과 동시에 발생되거나 보 조하게 된다. 환자가 흡입하는 노력을 하지 않아도 여전히 호흡은 제공되거나 또는 조 절된다.
④ 호기말 양압 호흡 (positive end-expiratory pressure, PEEP)
- PEEP는 기계적 환기를 받는 대상자의 기도를 양압 상태로 유지시켜주는 방식.
- 기계적인 인공호흡을 하는 동안 압력은 호기말에 대기압력수준이상을 유지하게 하여 기 능적 잔기량을 증가시킨다.
- PEEP의 목적은 가스교환을 하는 표면부위를 증가시키고, 폐포의 허탈과 무기폐로 진전 되는 것을 예방한다.
- 방법 : 호기가 끝날때까지 기도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기도와 폐포의 허탈을 방지함 으로서 기능적 잔기량을 증가시켜 폐포에서 폐모세혈관으로 더 많은 산소를 확산시킨다.'
- 단점 : PEEP로 인해 흉곽내 압력을 증가시키고 정맥혈이 심장으로 귀환하는 것을 감소시 킨다.
⑤ 지속성 기도양압 (continuo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 자발적인 호흡을 하는 대상자의 기도에 호기말 양압이 가해지는 방식이다.
- PEEP와의 차이는 대상자가 인공호흡기 보조를 받지 않고 자발적으로 호흡하는 것이다.
- 적절한 1회 호흡용적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은 있으나 적절한 조직 산화의 유지를 방해 하는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사용된다.
- 기계적 인공호흡이 부족하기 때문에 평균 기도압이 낮다. 이것은 압력으로 인한 손상의 위험과 정맥귀환의 장애를 감소시킨다.
- 방법 : 인공호흡기의 횟수가 "0"일 때 인공호흡기를 통해 운반되거나 인공호흡기가 필요 하지 않은 분리된 CPAPcircuitry를 통해 운반된다.
참고문헌
김희숙 외 9인,「아동건강 간호학Ⅰ」, 군자출판사(2006), p124~175
이자형 외 7인,「아동간호학Ⅰ」, 신광출판사(2003), p120-122
김미예 외 13인,「최신 아동건강 간호학 총론」, 수문사(2004), p228~229
② 간헐적 강제환기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IMV)
- 계속적으로 대상자가 자연스런 호흡을 하면서 인공호흡기가 정해진 1회 호흡량을 정해 진 횟수에 따라 전달하는 양식으로 대상자의 자발적인 호흡사이에 치료자가 설정한 강 제적 환기를 삽입하는 방식.
- 인공호흡기의 순화주기를 통해 환자가 자발적으로 호흡을 하도록 돕는다.
- 오랫동안 인공호흡이 필요했던 환자나 다른 이유로 인공호흡을 중단하기 어려웠던 환자 를 인공호흡기로부터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 또한 자발적인 호흡을 하는 환자에게도 사 용되는데 1회 호흡량과 호흡수 요구에 적절하지 못할때 사용된다(COPD환자).
- 방법 : 정규적으로 미리 설정된 횟수와 용적에 따라 강제적으로 인공호흡기 호흡을 하 도록 주기가 반복된다. 최소한의 환기를 제공한다. 환자에게 의해 시작된 호흡과 기계호 흡이 동시에 발생할 때 호흡중복이 있을 수 있다.
③ 동시성 간헐적 강제환기 (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SIMV)
- IMV의 단점을 보완하여 대상자의 환기노력과 동시에 인공호흡기에서 공기를 전달한다.
즉, 1분당 정해진 횟수만큼 대상자의 흡기 노력과 일치하여 간헐적으로 시작하도록 되 어있다.
- 인공호흡기를 통해 자발적으로 호흡을 하도록 돕는 것으로 자발적으로 호흡을 할 수 있 으나 1회 호흡량과 호흡횟수가 요구보다 적을 때 사용된다.
- 방법 : 정규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강제호흡을 하게한다. 환자자신의 흡기노력 에 의해 강제호흡이 시작되고, 기계적 호흡은 환자의 흡기노력과 동시에 발생되거나 보 조하게 된다. 환자가 흡입하는 노력을 하지 않아도 여전히 호흡은 제공되거나 또는 조 절된다.
④ 호기말 양압 호흡 (positive end-expiratory pressure, PEEP)
- PEEP는 기계적 환기를 받는 대상자의 기도를 양압 상태로 유지시켜주는 방식.
- 기계적인 인공호흡을 하는 동안 압력은 호기말에 대기압력수준이상을 유지하게 하여 기 능적 잔기량을 증가시킨다.
- PEEP의 목적은 가스교환을 하는 표면부위를 증가시키고, 폐포의 허탈과 무기폐로 진전 되는 것을 예방한다.
- 방법 : 호기가 끝날때까지 기도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기도와 폐포의 허탈을 방지함 으로서 기능적 잔기량을 증가시켜 폐포에서 폐모세혈관으로 더 많은 산소를 확산시킨다.'
- 단점 : PEEP로 인해 흉곽내 압력을 증가시키고 정맥혈이 심장으로 귀환하는 것을 감소시 킨다.
⑤ 지속성 기도양압 (continuo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 자발적인 호흡을 하는 대상자의 기도에 호기말 양압이 가해지는 방식이다.
- PEEP와의 차이는 대상자가 인공호흡기 보조를 받지 않고 자발적으로 호흡하는 것이다.
- 적절한 1회 호흡용적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은 있으나 적절한 조직 산화의 유지를 방해 하는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사용된다.
- 기계적 인공호흡이 부족하기 때문에 평균 기도압이 낮다. 이것은 압력으로 인한 손상의 위험과 정맥귀환의 장애를 감소시킨다.
- 방법 : 인공호흡기의 횟수가 "0"일 때 인공호흡기를 통해 운반되거나 인공호흡기가 필요 하지 않은 분리된 CPAPcircuitry를 통해 운반된다.
참고문헌
김희숙 외 9인,「아동건강 간호학Ⅰ」, 군자출판사(2006), p124~175
이자형 외 7인,「아동간호학Ⅰ」, 신광출판사(2003), p120-122
김미예 외 13인,「최신 아동건강 간호학 총론」, 수문사(2004), p228~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