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사자성어(고사성어, 한자성어)의 사례(ㄱ~ㄴ)
Ⅱ. 사자성어(고사성어, 한자성어)의 사례(ㄷ~ㄹ)
Ⅲ. 사자성어(고사성어, 한자성어)의 사례(ㅁ~ㅂ)
Ⅳ. 사자성어(고사성어, 한자성어)의 사례(ㅅ~ㅇ)
Ⅴ. 사자성어(고사성어, 한자성어)의 사례(ㅈ~ㅊ)
Ⅵ. 사자성어(고사성어, 한자성어)의 사례(ㅋ~ㅎ)
참고문헌
Ⅱ. 사자성어(고사성어, 한자성어)의 사례(ㄷ~ㄹ)
Ⅲ. 사자성어(고사성어, 한자성어)의 사례(ㅁ~ㅂ)
Ⅳ. 사자성어(고사성어, 한자성어)의 사례(ㅅ~ㅇ)
Ⅴ. 사자성어(고사성어, 한자성어)의 사례(ㅈ~ㅊ)
Ⅵ. 사자성어(고사성어, 한자성어)의 사례(ㅋ~ㅎ)
참고문헌
본문내용
爲上計
서른여섯 가지 계책 중에서 피하는 것이 제일 좋은 계책이란 뜻으로, 일의 형편이 불리할 때는 도망가는 것이 상책이라는 말.
■ 삼인성호 三人成虎
세 사람이 짜면 저잣거리에 호랑이가 나타났다는 말도 할 수 있다는 뜻으로, 거짓말이라도 여러 사람이 하면 곧이듣는다는 말.
■ 삼종지도 三從之道
봉건시대, 여자가 지켜야 할 세 가지 도리. 곧 어려서는 아버지를 좇고, 시집가서는 남편을 좇고, 남편이 죽어서는 아들을 좇음.
■ 아비규환 阿鼻叫喚
불교에서 말하는 아비지옥. 뜻하지 않은 사고가 발생하여 많은 사람이 괴로움을 당하여 울부짖는 참상.
■ 아수라장 阿修羅場
피비린내 나는 아수라의 싸움터. 아수라(阿修羅)는 범어(梵語) \'asura\'의 음역(音譯)이다. 약칭 수라(修羅)라고도 하며 또 아소라(阿素羅), 아수륜(阿須侖)이라고도 하는 \'추악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 악목불음 惡木不蔭
나쁜 나무에는 그늘이 생기지 않는다는 말로, 덕망이 있어야만 주변에 따르는 무리들이 많다는 뜻이다
■ 안자지어 晏子之御
안자의 마부. 변변치 못한 지위를 믿고 우쭐대는, 기량이 작은 사람을 말함
■ 안중지정 眼中之釘
눈에 박힌 못이라는 뜻. 곧 ① 나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의 비유. ② 몹시 싫거나 미워서 항상 눈에 거슬리는 사람(눈엣가시)의 비유.
■ 암중모색 暗中摸索
어둠 속에서 손으로 더듬어 찾는다는 뜻으로, 어림짐작으로 찾는다(혹은 추측한다)는 말.
■ 앙급지어 殃及池魚
초(楚)나라 성문에 불이 붙어, 성 밖에 있는 연못의 물로 이 불을 끄게 되었는데, 못의 물이 전부 없어져 그 속에 있던 고기들이 모두 말라 죽은 고사에서 비롯됨. 이유 없이 재앙(災殃)을 당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
■ 약롱중물 藥籠中物
약농 속의 약품이란 뜻으로, 항상 곁에 없어서는 안 될 긴요한 인물(심복) 을 이르는 말.
■ 양금택목 良禽擇木
현명한 새는 좋은 나무를 가려서 둥지를 친다는 뜻으로, 현명한 사람은 자 기 재능을 키워 줄 훌륭한 사람을 가려서 섬김의 비유.
■ 양두구육 羊頭狗肉
양 머리를 걸어놓고 개고기를 판다. 겉으로 훌륭하게 내세우나 속은 변변찮음.
■ 양상군자 梁上君子
대들보 위의 군자라는 뜻으로, ① 집 안에 들어온 도둑의 비유. ② 천정 위의 쥐를 달리 일컫는 말.
■ 양약고구 良藥苦口
\'효험이 좋은 약은 입에 쓰다\'는 뜻으로, 충언(忠言)은 귀에는 거슬리나 자신에게 이롭다는 말.
■ 양포지구 楊布之狗
양포라는 사람의 개. 겉이 달라졌다고 해서 속까지 달라진 걸로 알고 있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
Ⅴ. 사자성어(고사성어, 한자성어)의 사례(ㅈ~ㅊ)
자포자기(自暴自棄)
自:스스로 자. 暴:사나울 포. 棄:버릴 기.
[준말] 자포(自暴), 포기(暴棄), 자기(自棄). [출전]《孟子》〈離婁篇〉
스스로 자신을 학대하고 돌보지 아니함.
전전긍긍(戰戰兢兢)
戰:무서워 떨싸움할 전. 兢:조심할 긍.
[준말] 전긍(戰兢). [동의어] 전전공공(戰戰恐恐).
[유사어] 소심익익(小心翼翼). [출전]《詩經》〈小雅篇〉
두려워서 벌벌 떨며 조심하는 모양.
전차복철(前車覆轍)
前:앞 전. 車:수레 차거. 覆:엎어질 복. 轍:바퀴자국 철.
[준말] 복철(覆轍). [대응어]~후차지계(後車之戒).
[동의어] 전차복 후차계(前車覆後車戒), 후차지계, 복거지계(覆車之戒).
[유사어] 답복철(踏覆轍), 답복차지철(踏覆車之轍), 전철(前轍).
[참조] 은감불원(殷鑑不遠).
[출전]《漢書》〈賈誼專〉,《說苑》〈善說〉,《後漢書》〈竇武專(두무전)〉
앞 수레가 엎어진 바퀴 자국이란 뜻. 곧 ① 앞사람의 실패. 실패의 전례. ② 앞사람의 실패를 거울삼아 주의하라는 교훈.
전화위복(轉禍爲福)
轉:구를 전. 禍:재화 화. 爲:할위할 위. 福:복 복.
[대응어]~인패위공(因敗爲功). [동의어] 인화위복(因禍爲福).
[유사어] 새옹지마(塞翁之馬). [출전]《戰國策》〈燕策〉
① 화(禍)를 바꾸어 오히려 복(福)이 되게 함.
② 화가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
절차탁마(切磋琢磨)
切:끊을자를 절. 磋:탄식할찬탄할 차. 琢:쫄 탁. 磨:갈 마.
[원말] 여절여차여탁여마(如切如磋如琢如磨). [준말] 절마(切磨).
[출전]《論語》〈學而篇〉,《詩經》〈衛風篇〉
뼈상아옥돌 따위를 깎고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는 뜻. 곧 ① 수양에 수양을 쌓음의 비유. ② 학문기예 따위를 힘써 갈고 닦음의 비유.
정중지와(井中之蛙)
井:우물 정. 中:가운데 중. 之:갈 지(…의). 蛙:개구리 와.
[원말] 정중와 부지대해(井中蛙不知大海). [준말] 정와(井蛙).
[동의어] 정와(井蛙), 정중와(井中蛙), 정저와(井底蛙), 감정지와(坎井之蛙).
[유사어] 촉견폐일(蜀犬吠日), 월견폐설(越犬吠雪).
[참조] 망양지탄(望洋之嘆), 득롱망촉(得望蜀).
[출전]《後漢書》〈馬援專〉,《莊子》〈秋水篇〉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식견이 좁음의 비유.
조강지처(糟糠之妻)
糟:술재강 조. 糠:겨 강. 之:갈 지(…의). 妻:아내 처.
[원말] 조강지처 불하당(糟糠之妻不下堂).
[출전]《後漢書》〈宋弘專〉
술재강과 겨로 끼니를 이을 만큼 구차할 때 함께 고생하던 아내.
조명시리(朝名市利)
朝:아침조정 조. 名:이름이름날 명. 市:저자 시. 利:이로울 리.
[유사어] 적시적지(適時適地). [참조] 일거양득(一擧兩得).
[출전]《戰國策》〈秦策〉
명성은 조정에서 다투고 이익은 저자[市場]에서 다투라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 적당한 장소에서 행하라는 말.
조삼모사(朝三暮四)
朝:아침 조. 三:석 삼. 暮:저물 모. 四:넉 사.
[준말] 조삼(朝三). [동의어] 조사모삼(朝四暮三).
[출전]《列子》〈黃帝篇〉,《莊子》〈齊物論〉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라는 뜻. 곧 ① 당장 눈앞의 차별만을 알고 그 결과가 같음을 모름의 비유. ② 간사한 잔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을 이르는 말.
창업수성(創業守成)
創:비롯할시작할 창. 業:업 업. 守:지킬 수. 成:이룰 성.
[원말] 이창업 난수성(易創業難守成).
[출전]《唐書》〈房玄齡專〉,《貞觀政要》〈君道篇〉,《資治通鑑》
일을 시작하기는 쉬우나 이룬 것을 지키기는 어렵다는 말.
천고마비(天高馬肥)
天:하늘 천. 高:
서른여섯 가지 계책 중에서 피하는 것이 제일 좋은 계책이란 뜻으로, 일의 형편이 불리할 때는 도망가는 것이 상책이라는 말.
■ 삼인성호 三人成虎
세 사람이 짜면 저잣거리에 호랑이가 나타났다는 말도 할 수 있다는 뜻으로, 거짓말이라도 여러 사람이 하면 곧이듣는다는 말.
■ 삼종지도 三從之道
봉건시대, 여자가 지켜야 할 세 가지 도리. 곧 어려서는 아버지를 좇고, 시집가서는 남편을 좇고, 남편이 죽어서는 아들을 좇음.
■ 아비규환 阿鼻叫喚
불교에서 말하는 아비지옥. 뜻하지 않은 사고가 발생하여 많은 사람이 괴로움을 당하여 울부짖는 참상.
■ 아수라장 阿修羅場
피비린내 나는 아수라의 싸움터. 아수라(阿修羅)는 범어(梵語) \'asura\'의 음역(音譯)이다. 약칭 수라(修羅)라고도 하며 또 아소라(阿素羅), 아수륜(阿須侖)이라고도 하는 \'추악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 악목불음 惡木不蔭
나쁜 나무에는 그늘이 생기지 않는다는 말로, 덕망이 있어야만 주변에 따르는 무리들이 많다는 뜻이다
■ 안자지어 晏子之御
안자의 마부. 변변치 못한 지위를 믿고 우쭐대는, 기량이 작은 사람을 말함
■ 안중지정 眼中之釘
눈에 박힌 못이라는 뜻. 곧 ① 나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의 비유. ② 몹시 싫거나 미워서 항상 눈에 거슬리는 사람(눈엣가시)의 비유.
■ 암중모색 暗中摸索
어둠 속에서 손으로 더듬어 찾는다는 뜻으로, 어림짐작으로 찾는다(혹은 추측한다)는 말.
■ 앙급지어 殃及池魚
초(楚)나라 성문에 불이 붙어, 성 밖에 있는 연못의 물로 이 불을 끄게 되었는데, 못의 물이 전부 없어져 그 속에 있던 고기들이 모두 말라 죽은 고사에서 비롯됨. 이유 없이 재앙(災殃)을 당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
■ 약롱중물 藥籠中物
약농 속의 약품이란 뜻으로, 항상 곁에 없어서는 안 될 긴요한 인물(심복) 을 이르는 말.
■ 양금택목 良禽擇木
현명한 새는 좋은 나무를 가려서 둥지를 친다는 뜻으로, 현명한 사람은 자 기 재능을 키워 줄 훌륭한 사람을 가려서 섬김의 비유.
■ 양두구육 羊頭狗肉
양 머리를 걸어놓고 개고기를 판다. 겉으로 훌륭하게 내세우나 속은 변변찮음.
■ 양상군자 梁上君子
대들보 위의 군자라는 뜻으로, ① 집 안에 들어온 도둑의 비유. ② 천정 위의 쥐를 달리 일컫는 말.
■ 양약고구 良藥苦口
\'효험이 좋은 약은 입에 쓰다\'는 뜻으로, 충언(忠言)은 귀에는 거슬리나 자신에게 이롭다는 말.
■ 양포지구 楊布之狗
양포라는 사람의 개. 겉이 달라졌다고 해서 속까지 달라진 걸로 알고 있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
Ⅴ. 사자성어(고사성어, 한자성어)의 사례(ㅈ~ㅊ)
자포자기(自暴自棄)
自:스스로 자. 暴:사나울 포. 棄:버릴 기.
[준말] 자포(自暴), 포기(暴棄), 자기(自棄). [출전]《孟子》〈離婁篇〉
스스로 자신을 학대하고 돌보지 아니함.
전전긍긍(戰戰兢兢)
戰:무서워 떨싸움할 전. 兢:조심할 긍.
[준말] 전긍(戰兢). [동의어] 전전공공(戰戰恐恐).
[유사어] 소심익익(小心翼翼). [출전]《詩經》〈小雅篇〉
두려워서 벌벌 떨며 조심하는 모양.
전차복철(前車覆轍)
前:앞 전. 車:수레 차거. 覆:엎어질 복. 轍:바퀴자국 철.
[준말] 복철(覆轍). [대응어]~후차지계(後車之戒).
[동의어] 전차복 후차계(前車覆後車戒), 후차지계, 복거지계(覆車之戒).
[유사어] 답복철(踏覆轍), 답복차지철(踏覆車之轍), 전철(前轍).
[참조] 은감불원(殷鑑不遠).
[출전]《漢書》〈賈誼專〉,《說苑》〈善說〉,《後漢書》〈竇武專(두무전)〉
앞 수레가 엎어진 바퀴 자국이란 뜻. 곧 ① 앞사람의 실패. 실패의 전례. ② 앞사람의 실패를 거울삼아 주의하라는 교훈.
전화위복(轉禍爲福)
轉:구를 전. 禍:재화 화. 爲:할위할 위. 福:복 복.
[대응어]~인패위공(因敗爲功). [동의어] 인화위복(因禍爲福).
[유사어] 새옹지마(塞翁之馬). [출전]《戰國策》〈燕策〉
① 화(禍)를 바꾸어 오히려 복(福)이 되게 함.
② 화가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
절차탁마(切磋琢磨)
切:끊을자를 절. 磋:탄식할찬탄할 차. 琢:쫄 탁. 磨:갈 마.
[원말] 여절여차여탁여마(如切如磋如琢如磨). [준말] 절마(切磨).
[출전]《論語》〈學而篇〉,《詩經》〈衛風篇〉
뼈상아옥돌 따위를 깎고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는 뜻. 곧 ① 수양에 수양을 쌓음의 비유. ② 학문기예 따위를 힘써 갈고 닦음의 비유.
정중지와(井中之蛙)
井:우물 정. 中:가운데 중. 之:갈 지(…의). 蛙:개구리 와.
[원말] 정중와 부지대해(井中蛙不知大海). [준말] 정와(井蛙).
[동의어] 정와(井蛙), 정중와(井中蛙), 정저와(井底蛙), 감정지와(坎井之蛙).
[유사어] 촉견폐일(蜀犬吠日), 월견폐설(越犬吠雪).
[참조] 망양지탄(望洋之嘆), 득롱망촉(得望蜀).
[출전]《後漢書》〈馬援專〉,《莊子》〈秋水篇〉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식견이 좁음의 비유.
조강지처(糟糠之妻)
糟:술재강 조. 糠:겨 강. 之:갈 지(…의). 妻:아내 처.
[원말] 조강지처 불하당(糟糠之妻不下堂).
[출전]《後漢書》〈宋弘專〉
술재강과 겨로 끼니를 이을 만큼 구차할 때 함께 고생하던 아내.
조명시리(朝名市利)
朝:아침조정 조. 名:이름이름날 명. 市:저자 시. 利:이로울 리.
[유사어] 적시적지(適時適地). [참조] 일거양득(一擧兩得).
[출전]《戰國策》〈秦策〉
명성은 조정에서 다투고 이익은 저자[市場]에서 다투라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 적당한 장소에서 행하라는 말.
조삼모사(朝三暮四)
朝:아침 조. 三:석 삼. 暮:저물 모. 四:넉 사.
[준말] 조삼(朝三). [동의어] 조사모삼(朝四暮三).
[출전]《列子》〈黃帝篇〉,《莊子》〈齊物論〉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라는 뜻. 곧 ① 당장 눈앞의 차별만을 알고 그 결과가 같음을 모름의 비유. ② 간사한 잔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을 이르는 말.
창업수성(創業守成)
創:비롯할시작할 창. 業:업 업. 守:지킬 수. 成:이룰 성.
[원말] 이창업 난수성(易創業難守成).
[출전]《唐書》〈房玄齡專〉,《貞觀政要》〈君道篇〉,《資治通鑑》
일을 시작하기는 쉬우나 이룬 것을 지키기는 어렵다는 말.
천고마비(天高馬肥)
天:하늘 천. 高:
소개글